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올해 1~11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의 배터리 사용량에서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1~11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250.8GWh로, 지난해보다 112.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51.5GWh로, 중국 CATL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1~11월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점유율은 20.5%로 집계됐다. 직전 통계인 1~10월 누계 점유율(21.2%)보다 0.7%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중국 CATL은 직전보다 0.6%p 늘어난 31.8%의 점유율로 글로벌 배터리 사용량 1위를 유지했다. 2위인 LG에너지솔루션과 점유율 격차는 기존 10%p에서 11.3%p로 더 벌어졌다. 3위인 일본 파나소닉은 점유율이 소폭 하락한 12.5%를 기록했고, 4위 중국 BYD는 0.5%p 오른 9.0%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국내 배터리 기업인 SK온은 5.8%의 점유율을 유지하며 5위를 차지했고, 삼성SDI는 0.1%p 하락한 4.5%의 점유율로 6위였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올해 들어 10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전기버스, 전기트럭 제외)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2위를 이어가며 CATL을 뒤쫓았다. SK On과 삼성SDI는 각각 5위와 6위를 차지했다. 버스와 트럭을 제외한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계 3사 모두 꾸준한 성장세를 시현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1월부터 10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 승용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98.8GWh로 전년 대비 2.2배 이상 증가했다. CATL과 BYD를 필두로 상당수의 중국계 업체들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중국 시장 팽창이 장기 추세로 자리잡으면서 중국계 업체들 대부분의 점유율이 올라갔다. 국내 3사는 각 사의 성장률이 시장 평균과 비슷하거나 밑돌았으며, 전반적으로는 점유율이 다소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늘어난 45.7GWh로 2위를 기록했다. SK On은 124.7% 급성장하면서 전년 동기와 같은 5위를 점유했다. 작년 연간 6위를 기록한 이래, 올 들어 연간 누적 기준 5위를 이어간 것은 나름 청신호로 볼 수 있다. 삼성SDI는 65.5% 증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5위 자리 굳히기에 들어갔다. CATL의 독주는 이어졌고 LG에너지솔루션은 2위를 고수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등록된 글로벌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95.4GWh로 전년 동기 대비 2.3배 늘어난 양이다. 작년 3분기부터 시작된 전기차 판매 회복세는 적어도 연말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CATL과 BYD를 필두로 한 중국계 업체들이 전반적인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 중국계 업체들 대부분의 점유율이 전년보다 상승했다. 파나소닉 등 일본계 업체들은 성장률이 시장 평균에 한참 미치지 못해 대부분 점유율이 내려갔다. 국내 3사는 각 사의 성장률이 시장 평균과 대비해 일부 혼조세를 보였다. 점유율로 보면 다소 하락한 모습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2.4배 증가한 46.5GWh로 순위는 2위를 유지했다. SK이노베이션은 125.1% 증가해 순위가 전년 동기보다 한 계단 상승했다. 올해 기준으로는 지난 상반기부터 점유해왔던 5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양상이다. 삼성SDI는 71.1% 증가한 9.0GWh를 기록했지만, 순위는 두 계단 내려간 6위에 머물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세계 1위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가 자사의 주력 차량 '스탠다드' 모델의 배터리를 중국 업체들이 주도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교체키로 하면서 배터리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최근 들어 전기차 업체들의 LFP 배터리 선호 추세가 갈수록 뚜렷해지면서 지금까지 LFP에 소극적이었던 한국 배터리 업체들도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어 중국과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 2위 배터리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은 LFP 배터리 개발을 검토해 왔으며, 25일 열리는 LG화학 3분기 실적발표에서 이를 공식 언급할 것으로 전해졌다. 또 SK온 지동섭 사장은 최근 LFP 배터리 생산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SDI는 "LFP 배터리 개발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공식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내부에서는 고민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한국 업체들은 니켈 함량이 높은 NCM(니켈·코발트·망간) 등 삼원계 리튬이온 배터리에 치중하며 LFP 배터리를 채택하지 않았다. 삼원계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 거리가 길고 부피가 작은 장점으로 전기차 업체들이 선호해 왔다. 다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서 SK이노베이션이 5위로 부상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전기버스와 전기트럭은 제외)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SK이노베이션은 전년 동기 대비 136.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삼성SDI를 제치고 5위에 올랐다. 삼성SDI는 78.6%라는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6위로 내려앉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155.1%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중국 시장을 기반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한 CATL에 밀려 2위에 머물렀다. 국내 3사의 성장률은 시장 평균과 대비해 혼조세 양상이다. 전체적으로는 점유율이 다소 내려간 모습이다. 이에 비해, CATL과 BYD를 비롯한 중국계 업체들은 200%를 웃도는 폭발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 중국 시장의 팽창에 따라 중국계 업체들은 대부분 점유율이 상승했다. 파나소닉을 비롯한 일본계 업체들은 시장 평균을 크게 밑도는 성장률에 그쳐 대부분 점유율이 하락했다. 한편, 2021년 8월 글로벌 전기 승용차 배터리 사용량은 23.1GWh로 전년 동기 대비 2.3배 이상 급증했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코로나 사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올해 8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의 선두 행보가 이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2위를 차지하면서 추격했고, SK이노베이션은 5위 자리 굳히기에 들어갔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62.0GWh로 전년보다 2.4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부터 시작된 전기차 판매량 회복세는 연말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CATL과 BYD를 필두로 중국계 업체들이 시장 성장을 주도했다. 중국 시장의 팽창이 이어지면서 중국계 업체들 대부분 점유율이 전년보다 오른 모습이다. 파나소닉 등 일본계 업체들은 시장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성장률을 기록해 대부분 점유율이 떨어졌다. 국내 3사의 성장률은 시장 평균과 비교해 혼조세를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점유율이 조금 내려갔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 대비 2.5배 이상 증가한 39.7GWh를 기록했으며, 순위는 지난해와 같은 2위를 차지했다. SK이노베이션은 사용량이 2.4배 가량 증가하면서 전년보다 한 계단 상승한 5위를 기록했다. 삼성SDI는 7.9GWh로 77.9% 증가했지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세계 전기차 배터리 선두 업체들이 생산한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서 최근 화재 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안전성 이슈가 부각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는 화재 사고는 전기차 시장 초기의 불가피한 성장통 같은 과정이라고 항변하지만, 연이은 화재로 소비자 불안과 논란이 커지면서 전체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4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최근 노르웨이 홀멘에서 푸조 e-208 차량이 충전 중에 불에 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차량에는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이 생산한 NCM811(니켈 80%·코발트 10%·망간 10%)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CATL의 배터리를 장착한 중국 광저우기차의 '아이온 S' 차량에서도 몇 차례 화재 사고가 보고된 바 있다. 중국 CATL, BYD 등이 니켈 함량이 높은 NCM 삼원계 배터리 보다 가격이 낮으면서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높다는 이유로 채택한 LFP 배터리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보고서와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지난해 5월과 8월, 12월에 세계 4위 배터리 업체 BYD의 LFP 배터리를 탑재한 E5 순수 전기차와 전기버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중국 자동차 수출이 앞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중국 자동차 로컬 브랜드의 수출이 중국에 호의적이지 않은 국제 정세 속에서도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간 주목을 끌지 못했던 중국 완성차 수출은 로컬 브랜드의 주도로 올해 초부터 급증했다.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세계 주요 완성차 시장에서 줄곧 존재감이 미미했지만, 최근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성숙 단계에 접어들고 완성차 내수 판매가 증가하지 않는 가운데, 2021년 상반기 완성차 해외 수출량이 급증해 최근 10년 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중국의 승용차·상용차 수출량은 최근 10년 간 최고치인 82.8만대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로컬 완성차 브랜드의 선전이 두드러지는 모양새다. 중국의 완성차 수출량 증가는 중국산 테슬라의 수출 개시에 힘입은 측면도 있으나 그 외에도Chery(奇瑞汽车), GWM(长城汽车, Haval 포함), Geely(吉利汽车) 등 로컬 브랜드가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중국 완성차는 브랜드 파워의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틈새시장 수출에 집중했다. 중국 기업들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전기버스와 전기트럭은 제외)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2위,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각각 5, 6위를 차지하면서 한국계 3사 모두 성장세를 보였지만, 모두 시장 평균 성장률을 하회하면서 전체적으로 점유율이 다소 내려갔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2.5배 증가한 33.1GWh를 기록하면서 1위 CATL을 뒤쫓았고, 삼성SDI는 6.9GWh로 87.6% 증가했으나, 순위는 5위로 전년 동기보다 한 계단 낮아졌다. SK이노베이션은 2.4배가 넘는 급성장세를 시현했음에도 순위는 한 계단 하락한 6위를 기록했다. 올해 초부터 7월까지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 승용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26.2GWh로 전년 동기 대비 2.5배 이상 증가했다. 증가세를 이끈 것은 중국계 업체들로, CATL과 BYD를 비롯한 중국계 업체들이 지속적인 중국 시장 팽창에 힘입어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SNE리서치는 “2021년 들어 거세지고 있는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에 맞서 국내 3사가 꾸준히 버텨내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국계 업체들의 기세가 당분간 수그러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7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이 계속 선두를 유지한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이 2위로 뒤따랐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상반기에 이어 5위에 올랐다. SNE리서치가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를 발표했다. 국내 3사는 7월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했지만,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37.1GWh로 전년 동기 대비 2.4배 늘어났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작된 전기차 판매 회복세가 이제는 완연한 성장세로 넘어가는 양상으로, 이러한 추이는 앞으로도 연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위 CATL과 4위 BYD를 비롯한 상당수 중국계 업체들이 견조한 추이로 시장 성장세를 견인했다. 중국 시장의 지속적인 팽창에 힘입어 중국계 업체들 대부분의 점유율이 상승했다. 반면, 3위 파나소닉을 비롯한 일본계 업체들은 시장 평균을 크게 밑도는 성장률에 그쳐 대부분 점유율이 하락했다. 국내 3사는 각 사의 성장률이 시장 평균 대비로는 일부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전체적으로는 점유율이 약간 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글로벌 전기차 브랜드 순위에서 테슬라와 BMW가 각각 순수전기차(이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이하 하이브리드) 부문 1위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두 부문에서 모두 10위권 안에 들었지만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로 순위는 다소 하락했다. SNE리서치가 2021년 상반기 전세계 80개국에 판매된 전기차 브랜드 순위를 공개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기차 부문에서는 테슬라가 모델 3와 모델 Y 판매 급증에 힘입어 전체 판매량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중국 전기차 업체인 상하이GM울링과 BYD, 장성기차, 니오는 자국 시장 회복에 힘입어 전체 시장 성장세를 주도했다. 특히, 상하이GM울링은 홍광 미니 EV를 앞세워 무려 15배에 육박하는 성장률로 2위에 올랐다. 폭스바겐도 ID.3와 ID.4 수요 급증에 따라 3배가 넘는 고성장을 구현하면서 순위가 전년 동기보다 두 계단 상승했다. 이에 비해 르노는 트윙고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조에 판매 감소가 전체 증가분을 상쇄시키면서 시장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성장률에 그쳤다. 현대는 코나 일렉트릭과 아이오닉5, 포터2 일렉트릭 전기트럭 판매가 모두 증가했지만, 성장률이 시장 평균을 밑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올해 상반기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의 독주가 이어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2위로 바짝 추격했다. 전반적으로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가 더욱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5, 6위 점유를 이어갔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상반기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14.1GWh로 전년 동기 대비 2.5배 이상 증가했다. 2020년부터 이어져온 전기차 판매 회복세가 가속화되고 있는 양상으로, 동 추이는 앞으로도 좀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6월 한달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25.4GWh로 전년 동월 대비 2.2배 이상 증가했다. 1위 CATL과 4위 BYD를 필두로 다수의 중국계 업체들이 전체 시장 성장세를 주도했다. 중국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에 힘입어 중국계 업체들 대부분 점유율이 올라갔다. 반면에 3위 파나소닉을 비롯한 일본계 업체들은 성장률이 시장 평균에 한참 미치지 못해 점유율이 떨어졌다. 국내 3사는 각 사의 성장률이 모두 세 자릿수를 나타냈지만 시장 평균 대비로는 일부 혼조세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활약에 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가 지속된 가운데 국내 3사는 글로벌 시장의 평균 성장률을 맴도는 성장률을 시현하며 그런대로 선방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1년 5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전기버스와 전기트럭은 제외)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CATL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각각 5위와 6위를 기록했다. 2021년 5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 승용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9.7GWh로 전년 동월 대비 3.3배 이상 증가했다. 2020년 상반기 신종 코로나 사태로 위축됐던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11개월째 회복세를 보였으며, 앞으로도 당분간 이러한 추이가 좀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반적으로는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가 지속됐다. CATL과 BYD를 비롯한 상당수 중국계 업체들이 지속적인 중국 시장 팽창에 힘입어 점유율을 늘렸다. 국내 3사는 각 사의 성장률이 시장 평균과 비교해 혼조세를 보였지만 LG에너지솔루션의 급성장세가 전체 점유율 상승을 이끌었다. 파나소닉을 비롯한 일본계 업체들은 시장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성장률에 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이어지는 중국계 공세 속에 국내 3사가 다소 위축되고 있는 모양새다. SNE리서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5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이 1위를 차지한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이 2위로 뒤쫓았다.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각각 5위와 6위를 기록했다. 시장 전체적으로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1위 CATL과 4위 BYD를 비롯한 상당수 중국계 업체들이 시장 성장세를 이끌었다. 중국 시장이 지속적으로 팽창하면서 중국계 업체들 대부분 점유율이 상승했다. 한국계 3사는 견조한 성장세를 시현했다. 각 사의 성장률이 모두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다만 시장 평균 대비 일부 혼조세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점유율은 다소 내려갔다. 배터리 사용량 자체만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2.6배 이상 증가한 20.5GWh를 기록했지만, 순위는 전년 동기보다 한 계단 낮은 2위를 차지했고, 삼성SDI는 4.7GWh로 2배 이상 증가했지만, 순위는 4위에서 5위로 하락했다. SK이노베이션은 4.5GWh로 2.5배 이상 증가했으며, 순위는 6위를 유지했다. 일본 기업에 비하면 우리 기업은 사정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신규 등록한 중국의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0일 중국의 기업 정보 관련 회사인 치차차(企査査)를 인용해 올해 1월부터 5월 사이 신규 등록된 중국의 반도체 관련 기업이 1만5천700여곳으로, 작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이 '무역ㆍ기술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반도체 기술 자립을 향한 중국 측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지표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소프트웨어 분야 자문 기업인 인트라링크의 스튜어트 랜달 전자분야 선임은 더 많은 반도체 기업을 육성하려는 중국 당국의 움직임이 2019년 미국의 반도체 기술 수출 제한 조치 이후 시작됐지만 최근 들어 신규 반도체 기업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한국, 대만 등 반도체 선진국에 비해 기술 열세에 있는 중국은 국내 기업의 수요를 위해 미국을 비롯한 외국으로부터의 수입과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보조금 지급 및 세제 혜택 등과 함께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중국의 거대 기술기업들도 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