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메르세데스·마이크로소프트 등 다국적 기업 대거 참여 인공지능·빅데이터·ESG 전략 등 지속가능한 성장 비전 공유 산업단지를 글로벌 혁신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산업단지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KICXUP Global 2025)’이 오는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홀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신용보증기금이 공동 주최하고, 글로벌선도기업협회(GLCA)와 씨엔티테크가 주관한다. 슬로건은 ‘Connect&Co-Innovate : 글로벌 협업, 산업단지를 담다’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혁신 생태계 확장을 이끌겠다는 목표를 담았다. 행사의 핵심은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밋업이다. AWS,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국적 기업과 미국 드레이퍼하우스, 영국 심산벤처스 등 해외 전문 투자자가 참여해 총 126회의 비즈니스 밋업이 진행된다. 또한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모빌리티, LG전자, CJ ENM, 한국앤컴퍼니 등 40여 개 대·중견기업이 수요기업으로 나서며, 산업단지를 매개로 한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의 확대를 현실화한다. 행사와 병행해 열리는 글로벌 세미나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의 오픈이노
마키나락스가 9월 4일인 오늘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ATTENTION 2025’를 열고 산업 AI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생각하고, 행동하며, 산업을 바꾸는 AI’를 주제로, 에이전틱 AI가 어떻게 초생산성 시대를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한 로드맵과 실제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은 이번 컨퍼런스는 LG,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리얼월드,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오토에버, 육군사관학교, 엔비디아 등 주요 기업과 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해 산업별 AI 활용 가능성을 논의했다. 행사장은 1200여 명이 사전 신청해 조기 마감될 만큼 뜨거운 관심을 끌었다. 윤성호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100X 혁신 : 산업 AI가 여는 초생산성의 시대’를 주제로, “GPT와 같은 범용 AI는 대화나 텍스트 생성에는 강점이 있지만 센서 데이터 해석, 도면 판독 등 정밀도가 필요한 산업 업무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조, 국방, 중공업 분야는 AI를 통해 100배 수준의 생산성 향상 잠재력을 가진 만큼, 이제는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중견기업도 수백, 수천 개의 AI 에이전트를 직접 구축하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AX(AI Transformation) 시대 국내 제조 분야 혁신을 이끌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미라콤아이앤씨는 오는 9월 25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 3층 한라홀에서 ‘미라콤 솔루션 페어 2025’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MSF는 ‘AX로 진화하는 SDF, 혁신의 패러다임을 바꾸다’를 슬로건으로 제조 AX의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 성공 사례를 폭넓게 공유한다. MSF는 미라콤아이앤씨가 매년 주최하는 기술 행사로 제조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키노트 연사로는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표가 나서 ‘The Rise of Agentic AI: 산업 특화 인공지능은 어떻게 제조업을 혁신하는가?’를 주제로 Agentic AI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이어 미라콤아이앤씨 이영수 연구소장이 ‘지금 바로 AX: 미라콤 플랫폼으로 시작하는 SDF 로드맵’을 발표하며, 제조 기업이 AX를 실행해야 하는 이유와 구체적인 전략을 설명한다. 미라콤아이앤씨는 국내 제조 기업들의 AI 실사용률이 0.1%에 불과한 현실을 지적하며, 데이터 확보 난항과 활용 가이드라인 부재가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MSF에서는 MES, QMS,
SAP코리아가 오는 11일 부산 윈덤그랜드부산 그랜드볼룸에서 ‘SAP 이노베이션 데이(SAP Innovation Day)’를 연다. 올해 주제는 ‘AI 기반 생산성과 수익성의 균형을 통한 혁신’으로, 영남 지역 기업들이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대응 전략을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통합 재무 플랫폼, AI 기반 공급망 혁신 전략, 스마트 제조 솔루션 등 SAP의 최신 기술을 중심으로 실제 고객 사례를 공유하며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복잡한 비즈니스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혁신 기술과 실행 전략을 다루며, 참가 기업들에게 새로운 가치 창출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오전 세션에는 유튜브 채널 ‘경제 읽어주는 남자’를 운영하는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이 초청돼 신정부 정책과 관세전쟁을 중심으로 2026년 경제 전망을 제시한다. 영남 지역 기업들이 거시경제 흐름을 이해하고 전략적 사고를 확립할 수 있도록 돕는 강연이다. 이어 안상원 SAP코리아 CFO, 아밋 베르나 SAP 아태지역 CFO 오피스 솔루션 자문 총괄, 아담 피아나 SAP 아태지역 공급망 고객 자문 총괄이 ‘생산성과 수익성의 균형을 통
대표 솔루션 ‘가디원 pdx’와 AI 팩토리 OS 전격 공개 산업 디지털 전환 선도…원프레딕트, 정부 포상 수상 산업AI 전문기업 원프레딕트가 오는 9월 3일부터 5일까지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회 산업AI 엑스포’에 참가해 차세대 산업AI 플랫폼과 주력 솔루션을 공개한다. 이번 전시는 원프레딕트가 새로운 브랜드 태그라인 ‘AI 팩토리 회사’를 공식적으로 선포하며 자율제조AI 전문기업으로 포지셔닝하는 첫 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전시의 핵심은 산업AI 운영체제인 ‘AI 팩토리 OS’와 이를 구성하는 제조데이터 플랫폼 ‘Cyclone’, 그리고 설비·공정 단위 성능 관리 플랫폼 ‘가디원 pdx’다. Cyclone은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정제·관리하는 기반 플랫폼으로, 데이터의 자산화와 AI 모델 운영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가디원 pdx는 설비와 공정의 상태를 진단·예측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과 품질예측(Predictive Quality)을 동시에 수행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이미 검증을 받았다. 원프레딕트는 AI 팩토리 OS를 통해 단일 장비 모니터링 수준을 넘어
급변하는 CAD 시장, 새롭게 요구되는 ‘효율적 혁신’ 현재 컴퓨터지원설계(CAD) 기술은 제품 설계, 건축, 엔지니어링, 제조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변혁기를 맞은 글로벌 CAD 시장은 인공지능(AI),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클라우드 컴퓨팅, 빌딩정보모델링(BIM), 3D 스캔 데이터 통합 등 최신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추세다. 최근 CAD 시장의 주요 이슈는 AI와 머신러닝이 설계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원격 근무 환경 확산과 글로벌 협업 증가로 클라우드를 통한 실시간 설계 공유 및 협업 기능이 핵심 역량으로 부상하고 있다. 건축 및 건설 분야에서는 설계·시공·유지보수 등 전 생애주기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BIM의 도입이 의무화되거나 권장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호환성, 특히 DWG(Drawing) 파일의 충실도와 특정 공급업체(Vendor)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적인 생태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2차원(2D)에서 3차원(3D)
“폭염의 도시, 쾌적성을 다시 설계해야” 올여름, 전 세계 대도시들은 유례없는 폭염과 씨름하고 있다. 도심 곳곳에서 발생하는 도시열섬(UHI) 현상은 시민들의 체감 온도를 극단적으로 끌어올리며 일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이다. 글로벌 주요 도시들은 이러한 미세 기후 변화로 인해 평균 기온 상승을 경험하고 있다. 이 같은 지역에서는 심지어 새벽에도 기온이 30°C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 일수 또한 매년 경신되고 있다. 한반도 또한 최근 기록적인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서울은 지난 7월 8일 최고 기온 37.1°C를 기록하며, 지난 1908년 기상 관측 이래 7월 상순 최고 기온을 경신했다. 광명·파주 등 경기도 일부 지역도 최고 기온이 40°C를 넘어서기도 했다. 이러한 고온 현상은 국민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7월 초 기준으로 전국에서 1200명 이상의 온열 질환자가 발생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올해 폭염의 강도와 지속성이 예사롭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에 지자체들은 도심 녹지 확대, 쿨루프(Cool Roof) 도입, 안개 분사형 쿨링 포그(Cooling Fog) 설치 등 다양한 폭염 완화 수
마키나락스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추진하는 ‘국방인공지능 무기체계용 MLSecOps 환경 구축’ 사업의 수행업체로 최종 선정됐다. 총사업비는 약 20억 원 규모며 사업 기간은 착수 후 1년이다. 최근 AI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와 외부 라이브러리 활용은 필수지만, 군의 폐쇄망 환경 특성상 보안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MLSecOps 환경 구축이 핵심이다. 마키나락스는 자사 AI 플랫폼 ‘런웨이(MakinaRocks Runway)’를 기반으로 이 사업을 수행한다. 런웨이는 AI 모델의 개발부터 학습, 배포, 운영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시스템으로, 팔란티어의 AIP, AWS의 세이지메이커, 구글의 버텍스 AI 등과 비교되는 글로벌 수준의 플랫폼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지난 2024년 CB인사이트가 공개한 ‘머신러닝 운영 시장 맵’에서 데이터브릭스, 데이터이쿠, 허깅페이스 등과 함께 ‘AI 개발 플랫폼’ 부문에 이름을 올린 국내 유일 기업으로 선정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번 사업에서 마키나락스는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AI 개발·운영 체계를 구축할 계획
캐디안은 18일 폴라리스오피스와 ‘AI 기반 CAD 디지털 문서 혁신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의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도면 중심의 버티컬 AI(Vertical AI)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산업 맞춤형 AI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협력이다. 폴라리스오피스는 클라우드 기반 문서 작성, 편집, 공유 기능을 제공하며 전 세계 1억35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오피스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최근 AI 기능과 협업 도구를 접목해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 캐디안은 1998년 오토캐드를 대체하는 CAD 소프트웨어를 출시한 이후 AEC(건축·엔지니어링·건설) 분야에서 13%의 점유율을 확보하며 업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공공 부문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객체 인지(Object detection), 의미 분할(Semantic Segmentation) 등 AI 기반 설계 기술을 개발해 dwg 기반 AI-CAD 산업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산업 맞춤형 설계·문서 워크플로우 구축 ▲AI 기반 도면 및 문서 자동화 기술 개발 ▲오피스와 CAD 통합 서비스 공동 기획 ▲해외 시장 공동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주관하는 ‘AI 팩토리 전문기업’에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AI 팩토리 전문기업’ 사업은 AI 기반 자율제조 전문기업을 발굴·육성해 AI 자율제조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조 현장에 AI 기술, 로봇, 스마트 장비를 적용해 생산성 향상과 공정 자율화를 실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자체 개발한 제조 특화 AI 솔루션 역량을 인정받아 ‘AI 솔루션 기업’ 부문에 선정됐다. 회사는 품질예측, 이상탐지, 예지보전, 공정최적화 등 제조 현장에 특화된 주요 AI 서비스를 개별 애플리케이션으로 재구성한 ‘MICUBE.AI’를 제공하고 있으며, AI 모델링과 서비스 개발·운영을 지원하는 로우코드 MLOps 플랫폼 ‘SmartAI’도 자체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제조 AI 영역 외에도 MES(제조실행시스템), EES(설비엔지니어링시스템), 물류 솔루션, 디지털 트윈 플랫폼 등 다양한 스마트팩토리 및 자율제조 솔루션을 제공한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제조 데이터 기반 시뮬레이션, 생산계획 최적화, 지능형 제어를 지원한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2017년부터 제조 특화 A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슈나이더 지속가능성 임팩트(Schneider Sustainability Impact, SSI)’ 프로그램의 2025년 2분기 성과를 발표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2025년까지 SSI 프로그램 전체 목표를 10점 만점에 8.80점으로 설정하고, 분기별로 별도 목표치를 산정해 성과를 평가하고 있다. 올해 2분기 점수는 10점 만점에 8.06점을 기록했으며, 이는 SSI 프로그램의 마지막 6개월을 앞둔 성과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글로벌 평가에서도 성과를 인정받았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과 글로벌 통계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기업’에 2년 연속 포함됐고, 코퍼레이트 나이츠(Corporate Knights)가 발표한 ‘유럽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기업’에도 이름을 올렸다. 주요 목표 중 하나였던 전 세계 100만 명 대상의 에너지 관리 교육도 조기에 달성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현재 60개국 이상에서 운영 중이며, 기술과 창업 역량을 기반으로 청년이 에너지 전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환경 성과도 이어졌다. 2018년 이후 고객 솔루션을 통해 누적 7억3400만 톤의 이산화탄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로봇과 혁신적인 창고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도의 애드버브 테크놀로지스가 지멘스 엑셀러레이터(Siemens Xcelerator) 포트폴리오의 소프트웨어를 도입해 지능형 자동화 솔루션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게 됐다고 12일 밝혔다. 애드버브는 제품 수명 주기 관리(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를 위해 지멘스의 Teamcenter 소프트웨어를 도입해 제품 개발을 간소화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하며, 엔지니어링 팀과 제조 팀의 부서 간 협업을 강화했다. 또한 지멘스의 Tecnomatix Plant Simulation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물리적 하드웨어를 구축하기 전, 가상으로 전체 생산 시스템과 물류 프로세스를 설계, 검증, 최적화하고 있다. 또한 애드버브는 자사의 분야별 전문성과 지멘스의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거의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제품에 대해 디지털 트윈을 개발했다. 이 가상 모델들은 타사 서드파티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애드버브는 이를 통해 제조 이전 단계에서 전체 창고 시스템을 구축, 시각화, 검증, 최적화할 수 있다. 아울러 애드버브는 지멘스 Mendix 로우코드
미라콤아이앤씨가 ‘미라콤 솔루션 페어 2025’를 오는 9월 25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 3층 한라홀에서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미라콤 솔루션 페어는 미라콤아이앤씨가 매년 하반기에 개최하는 기술 행사로, 제조 기업에 최신 제조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에는 AI 시대를 맞아 제조업계가 직면한 과제에 대한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하며 지속 가능한 혁신을 지원하는 것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지난해 미라콤 솔루션 페어에는 600여명에 달하는 제조 기업 관계자들이 사전 등록했고, 210개사가 참여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또 같은해 참석자 중 약 3분의 1은 임원 및 팀장 등 의사결정권자였을 만큼 제조 업계 리더들 사이에서 신뢰와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미라콤아이앤씨는 강조했다. 지난해 미라콤 솔루션 페어의 핵심 주제는 SDF(Software-Defined-Factory,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였다. SDF는 소프트웨어가 공장 내 모든 요소와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재구성한다는 개념이다. 생산성, 수율, 품질, 효율, 원가 등 다방면에서 괄목할 만큼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어 최근 몇 년 사이 제조 업계의 메가 트렌드로 떠오른 바 있다.
마키나락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정예팀으로 최종 선정됐다. 마키나락스는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의 산업 확산 파트너로 참여해 제조와 국방 분야에 특화된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주도한다. 이번 사업은 ‘국가대표 AI 선발전’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했다. 총 15개 팀이 지원해 서면 심사와 발표 평가를 거쳐 5개 정예팀이 선정됐으며, 마키나락스가 속한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은 AI 네이티브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주축인 유일한 팀이다. 대기업 주도의 기존 컨소시엄과 달리,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산업별 특화 AI 기술을 모두 갖춘 기업들이 연합해 독자 AI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제조 분야에서 마키나락스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MES, ERP 등 산업용 솔루션과 연동 가능한 현장 특화 AI 에이전트를 개발한다. 국내 2000여 개 중견 제조기업이 약 494조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AI 도입률은 0.1%에 그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겠다는 목표다. 공정관리, 품질 분석, 작업 지시 자동화 등 핵심 업무를 지원하는 모델을 산업군별로 세분화하고, 중소기업 대상 SaaS형 경량 서비스와
미소정보기술이 건설 및 제조 현장의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안전관리 및 위험성 평가 솔루션 ‘세이프위(SafeWE) 2.0’을 이달 말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세이프위2.0은 최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산업재해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최신 AI기반 위험성 평가 솔루션으로 추락, 끼임, 부딪힘 등 주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기존의 경험 중심 위험성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AI와 데이터 기술 기반의 선제적 대응 체계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세이프위 2.0은 계획·시행·점검·조치에 이르는 위험성 평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며, 현장 관리자와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위험 요소를 인지하고 즉시 조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미소정보기술의 핵심 기술인 ‘스마트TA(Text-Analysis)’와 ‘M(MISO)-LLM’이 적용된 세이프위 2.0은 건설 및 제조 현장의 문서형 안전지식(텍스트, 표, PDF, 그래프 등)을 정형 데이터로 전환해 실시간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각 산업군에서 발생 가능한 중대재해를 업종별, 형태별로 사전 탐지·예방하며 위험요소 자동 분석, 누락된 위험 요소 탐지 등 작업자 중심의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