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테크는 세계 최초 지워지지 않는 레이저 라벨 프린터를 개발했다. 기존 열전사 프린터 표면 인쇄 방식이 아닌, 레이저를 이용한 라벨 중간층 인쇄 기법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또한 PET 재질의 리본 및 프린터 헤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 레이저 라벨 프린터로 공익적 가치까지 실현하고 있는데, 투테크의 남의조 대표는 “레이저 라벨 프린터 넘어 전체적인 라벨링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전한다. Q. 주력사업과 경쟁력은. A. 투테크는 세계 최초 지워지지 않는 레이저 라벨 프린터를 개발했다. 2003년 회사 설립 이래 끊임없는 연구 개발을 거듭한 결과다. 투테크는 기존 열전사 프린터의 표면 인쇄 방식이 아닌, 레이저를 이용한 라벨 중간층 인쇄 기법으로 국내외 특허 및 레이저 라벨 UL 인증을 취득했다. PET 재질의 리본 및 프린터 헤드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레이저 라벨 프린터를 통해 환경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Q. 2022년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나. A. 2022년은 레이저 라벨 프린터 TTE-72FK의 판매가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며 2021년 대비 대폭 상승한 판매율을 기록한 해였다. 하반기부터는 해외 전시회에 참여하기 시작해 미국, 베트남,
로이체(Leuze)는 1963년에 독일 'Owen'에서 설립한 자동화 센서 전문 기업이다. 60년의 굳건한 노하우와 넓은 영역의 축적된 데이터로 산업에서 인정받아 왔다. 로이체의 핵심 먹거리는 산업 자동화를 위한 센서 솔루션이다. 김원기 로이체 대표는 ‘ESG 경영’을 지속적으로 강조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ESG 경영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김원기 대표를 만났다. Q. 독자들께 로이체(Leuze) 기업을 소개해 주세요. A. 로이체는 자동화 산업계에서 60년 전통의 노하우를 보유한 자동화 센서 전문 기업입니다. 지금까지 축적한 애플리케이션 노하우를 바탕으로 매년 혁신적인 센서 솔루션과 센서 시스템을 개발해 전 세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물류 자동화에 대한 수요의 급격한 증가를 소화하기 위해, 다년간 쌓아온 국내외 고객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집중적인 영업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산업 안전 시장의 요구와 강화된 안전 법규에 따라, 산업 이해관계가 모두를 위한 세이프티 제품과 서비스, 전문 안전 컨설팅까지 지원하고 있다. Q. 올해 산업 자동화 시장의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A. 코로나19 팬더믹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반도체…
최근 반도체 및 전자 부품의 수준 높은 집적화로 인해 제품 제조 과정에서 정전기 피해(ESD Damage)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다. 제이엔제이테크는 정전기 제거 장치 전문회사 '시시도 정전기(SHISHIDO-EDS)의 한국 총판이다. 부품 생산시 정전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장치(이오나이저)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다. 정전기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는 '안정성'을 목표로 고군분투하는 제이엔제이테크 박정훈 대표를 만났다. Q. 제이엔제이테크와 주력 제품을 소개해 주십시오. A. 제이엔제이테크는 정전기 제거장치를 주력으로 다루는 회사입니다. 반도체 및 전자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정전기 피해 방지를 위해 정전기 제거장치를 필수로 설치합니다. 장치의 크리닝 및 부품 교환 등의 업무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제이엔제이테크의 독보적인 기술로 탄생한 '하이브리드 타입 이오나이저(Hybrid Digital Controlled-AC Ionizer)는 고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크리닝 및 부품 교환의 부담이 거의 없는 제품입니다. 이온 밸런스 또한 우수해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의 보호 및 정전기 제거에 탁월합니다. Q. 반도체 및 전자부품 생
2006년에 설립한 에스엠인스트루먼트는 소음·진동 측정에 특화한 회사다. 초음파 음향 카메라, 환경 소음 모니터링, AI기반 S&V 측정 솔루션 등 다양한 혁신 제품을 개발하고 공급하고 있다. 에스엠인스트루먼트는 현재 68개 이상의 소음·진동 측정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경쟁사들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해외특허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우수한 제품과 솔루션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인정받으며 순항하고 있는 에스엠인스트루먼트의 김영기 대표다. Q. 에스엠인스트루먼트의 주력 제품과 회사 소개를 해주십시오. A. 저희 회사는 소음 및 진동 측정과 관련한 뛰어난 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력 제품인 초음파 음향 카메라 'BATCAM'은 실시간으로 소리를 시각화하는 기기입니다. BATCAM은 에스엠인스트루먼트의 원천기술로 탄생한 국내 제작 및 생산 제품으로 NEP 인증을 획득했고 시범구매제품으로 등록해 있습니다. 카메라처럼 생겼지만 BATCAM을 활용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소리의 위치와 크기를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BATCAM은 세계에서 가장 작고 가벼운 초음파 음향 카메라로 소음원의 위치를 간편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Q.
젝스컴퍼니는 2013년에 설립한 산업용 안드로이드 보드 및 산업용 컴퓨터를 개발/생산하는 전문 회사다. IT 20년 경력의 안정된 기획력과 지원 시스템으로 상담 및 기획부터 설계, 생산, 품질관리와 더불어 사후관리에 이르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임베디드 솔루션 전문업체로 발돋움을 꿈꾸고 있는 젝스컴퍼니의 이천호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Q. 젝스컴퍼니를 소개해 주세요. A. 젝스컴퍼니는 2022년 경기도 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된 팬리스형 산업용 컴퓨터 및 임베디드보드 전문업체입니다. 오랜 기간 산업용 메인보드를 개발한 노하우와 기획력을 기반으로 산업용 미니 PC와 터치패널 PC를 개발했습니다. 산업용 컴퓨터 업계 최초로 직영 온라인몰에 선제작 당일 발송 시스템을 도입해 퀵서비스, 당일 배송, 태배서비스 익일 배송 등의 서비스도 함께 제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 발맞춰 용도별 전문가 추천, 온라인 자동 견적 산출, 주문 후 세금계산서 자동 발행 기능 등도 직영 쇼핑몰에 도입해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는 회사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Q. 젝스컴퍼니의 작년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습니까? A. 경량·슬림화 하고 있는 자동화 설비와 키오
제우스는 1970년에 설립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와 산업용 로봇을 전문으로 다루는 회사입니다. 특히 생산 자동화 시스템과 관련해서 오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자체 생산중인 산업용 로봇을 활용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제우스 황재익 부장은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로봇 기술의 53년 노하우로 산업용 로봇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한다. 제우스의 황재익 부장 만났다. Q. 제우스가 진행하고 있는 혁신 과정 또는 계획이 있을까요? A. 제우스 자체적으로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통해 규칙 기반의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업무 관련자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를 장려하기 위해 매년 500만 원 가량의 포상제도도 마련하고 있습니다. 로봇 사업과 관련한 사항으로는, 기존에 외산 로봇이 활용되고 있던 공정에 저희 회사가 개발한 컨베어 트래킹 기술과 제로를 접목한 시스템이 유명 화장품 생산라인에 채택된 사례도 저희 회사 혁신의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AI를 활용한 비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라인업의 확대로 사이즈를 키울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해당 차별화를
셰플러 그룹의 이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셰플러코리아는 60여 년간 다져진 국내의 기술과 독일 선진 기술을 접목하여 각종 베어링 및 부품을 생산 판매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라이프타임 솔루션이라는 전략 부문을 통해서 베어링을 사용하는 고객을 위한 솔루션들을 개발, 공급하고 있으며, 산업기계 분야에서는 스트레인웨이브 타입의 고정밀 감속기 ‘RT시리즈’와 유성기어 타입의 고정밀 감속기 ‘PSC 시리즈’를 로보틱스와 정밀 장비에 공급하고 있다. 셰플러코리아의 김민건 팀장과 이정균 마스터는 “다양한 고객과의 접점을 확보하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진출해 제조업 경쟁력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Q. 2023년 산업 자동화 시장, 어떤 전망을 해볼 수 있나. A. (김민건 팀장) 스마트 팩토리는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업 중에 하나인 것은 경영을 하는 모든 관리자들이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국내외 상황은 제조업 고객들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고, 실제로 투자 규모가 축소되거나 투자 시기가 조정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선별된 스마트 팩토리 프로젝트들만 실현될 가능성이 많다. 쉽게 도입하고 검증할 수 있으며…
캐디언스시스템은 CAD/CAM/CAE/DM/PLM/ALM/MOM/Cloud 분야의 자동화·디지털화 영역에 핵심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IoT 전문기업이다. 현재 지멘스와의 협력을 통해서 스마트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사가 성공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캐디언시스템 이형복 대표는 “고객사는 경제성과 확장성을 갖춘 솔루션을 요구한다”며 “스마트 통합 솔루션으로 도입 초기 부담을 줄이고 유연하고 확장성 있는 업무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Q. 2023년 산업 자동화 시장, 어떤 전망을 해볼 수 있나. A. 매년 어려움은 있었지만, 2022년은 유독 어려운 한 해였다. 우-러 전쟁 등의 글로벌 위기로 촉발된 경기 침체는 인플레이션 방지를 위한 금리 인상과 자재비 증가 등의 악재들을 유발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내 제조업계는 당연하게도 성장보다는 안전을 먼저 고려하게 되는 다소 경직된 정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2023년은 다소 희망적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2022년 정부 목표인 ‘스마트공장 3만개’를 달성하며 ‘스마트제조혁신’의 확대를 이루었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로봇 및 산업 자동화 시장은 계
“2023년은 글로벌 기업으로 변모하는 해가 될 것이다.” 트윔의 AI 검사 장비는 높은 정확도로 불량을 검출하며 고객이 원하는 사양에 맞게 크기나 옵션을 추가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가 높다. 이러한 배경에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기 전부터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인공지능 시스템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이는 등 다양한 산업에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어 가능했다. 얼마 전에는 베트남과 인도 해외 법인에 이어 북미 조지아주 법인을 설립하며 글로벌 고객 발굴에 박차를 가했다. 트윔의 임희경 부장은 “다양한 검사기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선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Q. 2023년 산업 자동화 시장, 어떤 전망을 해볼 수 있나. A. 갑작스럽게 공포에 밀어 넣었던 COVID-19로 인해 제조산업에서는 자동화의 중요성을 일깨우게 되었으며, 말로만 또는 생각만 하던 스마트 팩토리에 대해서도 실천으로 옮길 수 있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도태되는 글로벌 시대에서 자동화는 제조업의 중요한 축을 이룬다고 본다. 따라서 2023년에는 더욱 효율적이며 지속가능한 공장자동화를 위해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Beckhoff 제품을 사용하면 공정 문제들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안전하게 해결해 고객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것이다.” Beckhoff는 IPC, I/O, Motion, Automation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TwinCAT 플랫폼을 통해 하나의 원활한 제어시스템 기술로 통합된다. Beckhoff Korea 김용성 차장은 2023년에도 신기술이 적용된 혁신적인 신제품들은 출시될 예정이며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한다. Q. 2023년 산업 자동화 시장, 어떤 전망을 해볼 수 있나. A. 2022년 하반기부터 경기가 좋지 않은 분위기로 흘러가면서,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가 점점 더 위축 될 것으로 보이며, 기업들의 투자 또한 축소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국내 산업의 주축이 되고 있는 반도체, 자동차 산업의 투자가 축소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 본다. 다만, 코로나 이후 기후 변화의 관심이 커지면서, 이와 관련된 신재생 분야 및 전기차(2차전지) 분야는 2023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본다. Q. Beckhoff의 주력사업은. A. Beckhoff는 PC 기반 제어…
노바인스트루먼트는 오랜 경험과 노하우로 일찍이 다양한 계측기의 국산화에 성공하며 고객에게 맞는 자동화시스템을 제안, 국내 계측기 시장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노바인스트루먼트 문건호 차장은 “코로나 팬더믹 이후 주요 산업 고객들은 비대면 방식으로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 상황”이며 “노바인스트루먼트 또한 고객들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위해 신뢰감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비대면 시스템에 맞게 제안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년에는 휴대용 노점계 ‘DP500’을 비롯해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온습도 측정 장비들을 집중 소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Q. 2023년 산업 자동화 시장, 어떤 전망을 해볼 수 있나. A. 자동화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 및 공장의 자동화를 통하여 제품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이는 작업의 정확성으로 이어진다. 또한, 근로자의 안전과 근무 환경을 향상시킴으로써 근로자가 만족한 업무 생활을 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더믹 이후 자동화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면서 2023년에는 산업 자동화 시장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Q. 노바인스트루먼트의 주력사업은. A. 노바인스트루먼트는 한마디로 ‘혁신’이다. 회
“zenon의 최대 강점은 개방성, 유연성, 경제성을 꼽을 수 있다.” 코파데이타코리아의 김선미 과장은 zenon의 이러한 특장점 덕분에 기계, 장비, 건물, 전력망을 자동화, 관리, 모니터링, 통합 및 최적화할 수 있으며, 전 세계 20만 개 이상의 설치 건수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한다. 최근엔 고객사들의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모듈화된 기술 솔루션을 개발했으며, 2022년부터 zenon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모듈식 패키지를 통합 제공하고 있다. 개방성과 유연성을 갖춘 zenon의 모듈화된 기술 솔루션으로 제조업체는 시장 출시 시간을 최대 50% 단축하고, 생산 비용도 40%까지 절감할 수 있다. Q. 2023년 산업 자동화 시장, 어떤 전망을 해볼 수 있나. A. 최근 3년 동안 코로나19 팬데믹, 미중 무역분쟁, 그리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까지 국제정세의 혼란은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 혼란과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 인플레이션 통제를 위한 선진국들의 금리 인상으로 2023년에는 경제 성장세의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주요 국가들이 탈세계화를 통한 자국과 동맹국 중심의 무역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은 이러한 변화에 가장 직접적
피에스유코리아가 오는 2023년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SF+AW 2023)'에 참가한다. 피에스유코리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민웰의 고전압 파워 서플라이 RST-15K 및 양방향 파워 서플라이 BIC-2200를 선보인다. 민웰의 고전압 파워 서플라이 RST-15K-HV는 15KW 3상 AC 입력 엔클로즈드 타입 제품이며 115V, 230V, 380V의 DC 출력을 제공한다. 최대 94%의 고효율과 최대 28.5K까지 병렬 지원이 가능하며 팬 냉각식 모델이다. RST-15K-HV는 PV(출력 전압 프로그래밍), PC(정전류 모드 프로그래밍), Remote ON-OFF, DC-OK/OTP/FAN fail/AC fail 신호 기능을 갖췄으며, 전압조정은 1~120%까지 가능하다. 보증기간은 5년이다. 민웰의 양방향 파워 서플라이 BIC-2200은 180~264V 입력전압범위 및 12V, 24V, 48V, 96V의 DC 출력을 제공한다. 최대 93%의 고효율로, 4+1의 병렬 구성으로 최대 11KW까지 구성 가능하다. 1U의 low profi
투테크가 오는 2023년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SF+AW 2023)'에 참가한다. 투테크는 이번 전시회에서 주력 레이저 라벨프린터 제품인 TTE-72FK, TTE-72FX, TTE-72FW 그리고 레이저 엔진을 선보인다. 투테크 라벨프린터의 특징은 레이저로 인쇄하기 때문에 리본이 필요 없고 그래서 PET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기존 열전사 라벨프린터 헤드와 같은 소모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헤드가 없기 때문에 헤드가 마모되어 바코드가 잘못 인쇄되는 문제도 해결한다. 또한, 라벨 중간층에 인쇄를 하기 때문에 바코드 및 데이터가 화학물질 및 마찰에 절대 지워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투테크는 이번 전시기간 동안 홀로그램과 홍보영상을 이용하여 관람객들이 방문을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TTE-72FK, TTE-72FX, TTE-72FW 각 레이저 프린터를 비치하여 라벨에 인쇄되는 모습, 금속라벨에 인쇄되는 모습을 직접 시연할 예정이다. 또한 열전사프린터로 인쇄한 라벨과 레이저 프린터로 인쇄한 라벨을 비치해 알코올에 지
제이엔제이테크가 오는 2023년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SF+AW 2023)'에 참가한다. 제이엔제이테크는 이번 전시회에서 오토 밸런스와 하이브리드 기술이 더해진 정전기 제거 장치 'BF-X2ME'와 'LV 시리즈'를 새롭게 소개한다고 밝혔다. 방전침의 오염이나 마모를 일반 제품보다 줄여주어 청소나 부품 교환 등의 유지 관리업무를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하이브리드 기술에 '5V 이내'의 이온밸런스를 장기간 유지시켜 주는 오토 밸런스 기술을 결합해 정밀한 정전기 제거능력과 장기간 성능 안정성을 향샹시켰다. 제이엔제이테크 관계자는 "정전기 제거를 위해 이오나이저에서 생성된 이온은 눈으로 직접 볼 수 없다. 이번 SF+AW 2023에서는 이온 측정이 가능한 전용 장비로 제품의 시현,체험 과정에서 성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준비했다"고 밝혔다. 또한 실험 영상과 사진으로 구성된 자료를 배포 및 설명하여 현장에서 많은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 덧붙였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3(Smart Factory+Au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