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획특집

[AI 도입과 DX 전략-①] 제조 산업에 불어닥친 ‘디지털 전환’·‘AI 도입’…政 지원책 파헤치기

URL복사

디지털 전환(DX)이 단순한 업무부터 거시적인 비즈니스 영역까지 산업 안에서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디지털 전환은 IIoT, 디지털 트윈, 클라우드, 5G, 증강현실(AR)·확장현실(XR) 등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차세대 기술을 활용하는 데 기본 토대 역할을 한다. 여기에 근간을 둔 인공지능(AI)은 디지털 전환과 더불어 제조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기술로 적극적인 도입이 요구된다.

 

이에 여러 제조기업은 제조 영역의 원초적 목적인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 수율 상승, 제조 기술 제고 등을 실현하는 이른바 ‘제조혁신’ 로드맵의 핵심요소로 디지털 전환과 AI 도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규모가 큰 기업 대비 중소 규모의 기업은 디지털 전환과 AI 도입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분석한다. 인프라 구축 및 투자가 필요한데 중소·중견기업은 이러한 과정에서 애로에 직면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주관부처 및 전담기관을 선정해 우리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생산설비 자동화, 로봇 자동화, 시스템 구축 및 정보 디지털화, 디지털 전환 고도화, 빅데이터 및 AI, 에너지 및 환경, 신제품 및 신기술 개발 등을 포함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주관하는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사업은 중소·중견 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은 총 16개의 세부사업으로 구성됐다. ‘제조혁신 구축’을 지향하는 사업은 선도형 제조혁신, 제조혁신 자동화, 스마트 공장 수준 확인 등 총 3개로 세분화된다.

 

이 중 선도형 제조혁신은 정부 일반형, 지역 특화 정부 일반형, 자율형 공장, 대중소 상생형, 부처 협업형, 탄소중립형, 디지털 협업 공장으로 사업이 나뉜다. 특히 정부 일반형 두 종은 지원 요건이 타 사업 대비 개방돼있어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다. 또 자율형 공장은 스마트 공장 초기 수준을 넘어서는 ‘고도화 2’ 역량을 지원하고, 대·중·소 상생형은 대기업과 벤더사가 협력해 추진한다.

 

이어 제조혁신 자동화 사업은 제조로봇 활용, 제조 기반 기업 등 두 종으로 나뉘고, 스마트 공장 수준 확인은 지원금 비중이 100%인 점이 주목할 지점이다. 앞선 3개의 제조혁신 구축 사업은 대부분 지원급 비중이 50%에 달한다.

 

‘제조혁신 인프라 조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은 클라우드형 종합 솔루션, 공급기업 역량진단, 스마트 공장 AS 지원 등 3종이다. 또 ‘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은 제조 데이터 상품 가공지원 가공기업 Pool 모집, 제조 데이터 상품 가공지원, 제조 데이터 상품 구매지원으로 구성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기술개발(R&D) 사업’을 통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다. 세부적으로 ‘기업 주도형 R&D’ 사업은 기업의 수출 및 시장 확대, 성장 등을 지원한다. 또 ‘협력형 R&D’ 사업은 대상 기업과 산학연을 연계해 기술 개발 역량을 도모한다. 끝으로 ‘정책 목적형 R&D’ 사업은 제조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인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AI 바우처, 데이터 바우처 등 사업을 구체화해 디지털 전환을 원하는 중소·중견 기업을 매년 돕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참여 희망기업이 국가 사업에 지원하기 전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제언했다. 그는 “디지털 전담 부서 운영, 인증·교육 등 가점항목 사전 준비, 데이터 수집 환경 구축, 참여 희망사업 구체화, 주관 부처 및 전담기관과의 협력체계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업 대표자의 디지털 전환 의지”라고 역설했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