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핀 스피커는 유연성이 뛰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도가 뛰어나 디스플레이 전면에서 음을 재생하며, 유리창 및 거울 전면에 부착할 수 있다. 때문에 모바일 IT 트렌드에 적합한 소재라고 할 수 있으며, 그래핀의 가볍고 강한 성질과 신축성 및 내마모성 등으로 인해 뛰어난 음질을 지닌다. 최근 미국 UC버클리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그래핀으로 만든 진동판을 사용한 이어폰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 이어폰은 두께 30nm, 넓이 7mm의 그래핀 시트를 사용해 진동판을 만들고, 이 그래핀 진동판을 두 개의 실리콘 전극 사이에 넣어 음파를 생성한다. 이러한 그래핀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은 표 1과 정리할 수 있다. ▲ 표 1. 그래핀의 기계적 성질 그래핀을 적용한 스피커는 크게는 정전(Electrostatic) 방식과 열음향(Thermoa-coustic)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열음향 방식은 세부적으로 3가지 정도로 분류돼 개발이 진행 중이다. 각각의 스피커 특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그림 1. 기존 PVDF 스피커 ▲ 그림 2. 그래핀 스피커 정전형 그래핀 스피커 정전 방식의 그래핀 스피커는
[업체 탐방] 홈 시큐리티 사업의 선두주자 디벨로피언스 스마트홈이란 주택(건물) 내 공간과 디바이스의 제약 없이 보다 폭넓고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을 한층 더 높게 만들어 주는 Total Home 정보 제어 시스템 및 서비스 솔루션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스마트홈 시스템은 빠르게 변화하는 ICT가 주거환경에 접목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개념으로 표시하는 것은 쉽지 않다. 스마트홈은 정보 가전 기기들이 인터넷에 항상 연결돼 물리적인 제약 없이 접근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커넥티드 홈(Connected Home)과 집 안의 사용 가전 기기 간 상호 정보 교환이 가능한 유무선 인프라 환경을 일컫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로 구분된다. 스마트홈을 서비스, 플랫폼, 제품으로 구분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플랫폼 제품 스마트폰, 태블릿 PC 시장의 급성장과 다양한 커넥티드 기기 및 서비스의 확대, 통신 인프라의 고도화(기술 발전 및 비용 하락)에 힘입어 스마트 커넥티비티 시스템(Smart Connectivity System)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 중 국내 스마트홈 시장 내 홈 시큐리티(Home Security)는
스마트폰 무선충전기 시장의 봄은 오는가 최근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의 사용자 수와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무선통신을 원활하게 사용하는 데 필수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2차전지와 무선충전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은 휴대폰 기능의 발전 속도가 배터리수명의 발전 속도보다 더 빨라 배터리 수명이 충분치 않았기 때문에 원활한 충전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높아져 왔다. 이에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옵션으로 무선충전 기능을 포함시키고 삼성 갤럭시와 LG 옵티머스에도 자기유도방식의 무선충전 기술이 도입되면서 시장 확대를 기다리는 무선충전기 제품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자기유도방식의 무선충전 기술은 전기면도기와 전동칫솔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된 기술이다. 그림 1. 전동칫솔에 사용되는 무선충전 기술 시중에서 판매되는 전동칫솔은 물기에 노출이 많은 점을 고려해 충전거치대와 칫솔 간에 금속 접촉하는 부분이 없도록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동칫솔 아랫면에는 오목한 홀이 있고, 칫솔을 세워 두는 충전거치대에는 이와 짝을 이루는 원형 기둥이 있다. 칫솔의 오목한 부분 주변과 칫솔 충전거치대 내부에는 각각 코일이 들어 있어, 교
성공한 골든 크리에이터들의 선견지명 2015년 1월 언론보도에 의하면 민간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사와 전기자동차 업체인 테슬라모터스의 CEO인 엘론 머스크 회장이 새로운 비즈니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그 새로운 사업은 ‘지구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 사업’으로서 향후 화성 식민지 개발 계획도 연계할 예정이라고 한다. 엘론 머스크 회장은 남이 하지 않거나 생각지도 못하는 다소 엉뚱하다고 싶을 정도의 사업에 뛰어 들어서 그 사업을 끝내 성공시킴으로써 큰 부를 창출한 어찌 보면 괴짜 CEO이다.그런데 그는 나름대로 사업에 대한 선견지명적인 안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보통 사람들은 생각도 하지 못하는 사업을 추진하여 대부분 성공시켰기 때문이다. 지금은 잘 알려진 전자결제 서비스인 Paypal의 전신으로서 온라인 결제 서비스 회사인 X.com을 설립하여 성공을 거둔 것이나, 우주여행을 위한 로켓을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고 싶다는 비전으로 세운 스페이스X사의 사업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 최신 보도에 의하면 구글은 스페이스X에 10억달러(약 1조 786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2015
3D 금속광조형 복합가공 기술에 주목하라 1. 개요 최근 3D 프린팅이 차세대 생산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에서는 2013년 10대 유망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3D 프린팅은 플라스틱 액체 또는 분말과 같은 원료를 사출해 3차원 모양의 고체 물질을 자유롭게 찍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즉, 대상 물체를 3D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으로 생성한 후에 3D프린터를 통해 분말(Powder), 액체(Photopolymer), 선(Polymer Wire) 형태의 원료로 사출해서 소재를 무수히 층층이 쌓아 만드는 부가가공(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이다. 지금까지 3D 프린팅 기술은 시제품 제작을 목적으로 1980년대부터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미국에서 개발된 쾌속조형(RP : Rapid Prototype) 기술은 제품의 CAD 데이터로부터 수지, 종이, 광경화성 수지, 금속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품을 직접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정으로, 광조형법(SLA : StereoLithography)이란 이름으로 개발된 공정을 비롯하여 현재는 수많은 공정이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적층조형 기술은 크게 RP(RP : Rapid P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및 중소기업청 등 5개 부처는 2015년 1월 15일 청와대 합동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역동적 혁신경제’를 보고했다. 이 보고의 핵심은 수도권 지역인 판교․테헤란로․홍릉을 창조경제 전진 기지로 육성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올 상반기 중 전국적으로 17개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대한민국의 기술을 총괄하는 기관이 기획하고 준비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는 좋은 기획과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이 외에 필자 나름대로 제안할 사항들이 있어 이 글을 쓰게 됐다. 역동적 혁신경제 내용 1. 창조경제 구현 미래창조과학부는 창조경제 생태계 확산을 위해 경기도 판교에 창조경제밸리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는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를 조성할 예정이다. 판교에는 제2 테크노밸리를 건설해 혁신 클러스터로 육성하며, 테헤란로에 10,000㎡ 규모로 설치되는 창업 캠퍼스에는 창업팀뿐만 아니라 투자사 등도 함께 입주시킬 예정이다. 더불어 민간 창업양성 업체 등과 협력해 미국 실리콘밸리식의 네트워킹 환경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2017년까지 테헤란로에는 160개 팀이 입주하며, 이들
[업체 탐방/나노플렉스] EPD 개발에 주력...니치마켓 겨냥한 블루오션 국내에서 유일하게 EPD를 활용한 제품을 자체 개발 및 생산하는 나노플렉스(NanoFlex, www.nanoflex.co.kr, 김명종 대표)는 2013년 2월 경기도 평택시 모곡동에 공장을 세우고 EPD를 활용한 모듈 및 제품의 생산을 본격화했다. 이제까지 페이지 전환 시간이 약 1초 소요되는 약 200ms의 화면 반응 속도는 e-북 리더의 취약점으로 지적돼 왔다. 나노플렉스는 낮은 실용성과 흑백의 디스플레이만을 보여 준다는 약점을 극복한 제품군을 스스로 개척한 좋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여기서는 나노플렉스 제품을 소개하기에 앞서 EPD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EPD란 무엇인가? 먼저 EPD(Electrophoretic Display)는 LCD나 다른 디지털 스크린과 달리 실제 종이에 잉크로 쓴 것 같은 모습으로 배경 조명이 필요하지 않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전자종이는 E-ink의 EPD 기술로, 투명한 액체 위에 떠 있는 흰색과 검정색의 입자들을 움직여 이미지를 만든다. EPD의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lexible : Segment type에 한정
// fndled3.c #include #include /* FND */ #define BUS_FND_COM_SEL*((unsigned char *)0x1008) // COM select #define BUS_FND_WR_DATA*((unsigned char *)0x1004) // write data void delay (int d){ int i; for (i=0; i } // convert ascii code to FND font index unsigned char ascii_to_fnd_font(unsigned char character) { unsigned char font_index;// FND font index if(character == 0xFF) { // FND font index - 8 and dot point font_index = 0x12; } else if(character == 0x2E) { font_index = 0x11;// FND font index - dot point } else if(character == 0x2D) { font_index = 0x10;// FND font index - dash } else if((chara
마이크로콘트롤러(이하 MCU)로 LED를 제어하는 것은 제어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실무에서는 소스 코드(source code)가 상당히 긴 편이므로 기본적인 코드를 많이 숙지하면 응용에 도움이 된다. 그래서 LED 제어로 기본 응용을 파악하고, 노하우를 잘 익히면 LED 제어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LED 제어에는 기본적으로 DDR(Data Direction Register) 레지스터와 PORT 레지스터를 사용한다. DDR 레지스터는 Atmega128 MCU의 PORT 입출력을 결정하며, PORT 레지스터는 실제 데이터를 설정해 준다. DDR 레지스터와 PORT 레지스터의 리셋 후 초깃값은 0이다. 여기서는 Atmega128 MCU를 사용하여 LED를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간단한 LED 제어 비교적 간단한 LED 제어에 대한 회로는 그림 1과 같다. 이 회로에서 PORT에 직접 LED가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적인 동작을 할 때는 Buffer IC(74HC244)를 사용할 수도 있다. LED는 Active Low 방식으로 구동된다. 회로를 구동하기 위하여 WinAVR2010의 Mfile에서 Makefile을 만든다. Mak
얇아지는 스피커(Ⅱ)-그래핀 소재 필름 스피커 그래핀 스피커는 유연성이 뛰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도가 뛰어나 디스플레이 전면에서 음을 재생하며, 유리창 및 거울 전면에 부착할 수 있다. 때문에 모바일 IT 트렌드에 적합한 소재라고 할 수 있으며, 그래핀의 가볍고 강한 성질과 신축성 및 내마모성 등으로 인해 뛰어난 음질을 지닌다. 최근 미국 UC버클리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그래핀으로 만든 진동판을 사용한 이어폰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 이어폰은 두께 30nm, 넓이 7mm의 그래핀 시트를 사용해 진동판을 만들고, 이 그래핀 진동판을 두 개의 실리콘 전극 사이에 넣어 음파를 생성한다. 그림 1. 기존 PVDF 스피커 그림 2. 그래핀 스피커 그래핀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은 표 1과 정리할 수 있다. 표 1. 그래핀의 기계적 성질 그래핀을 적용한 스피커는 크게는 정전(Electrostatic) 방식과 열음향(Thermoacoustic)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열음향 방식은 세부적으로 세 가지 정도로 분류돼 개발이 진행 중이다. 각각의 스피커 특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전형 그래핀 스피커
AVR MCU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사항 마이크로컨트롤러(이하 MCU) 개발 시 하드웨어 또는 C 언어 프로그래밍 오류에 의해 장비가 원하는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MCU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살펴본다. 현재 AVR MCU가 많이 사용되므로 AVR 위주로 설명한다. 시뮬레이션과 회로 동작 일반적으로 전자회로를 개발할 때 양산하기 전에 회로를 미리 구성하여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파악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사용하여 전자회로의 동작을 체크하기도 한다. 비교적 간단한 회로인 경우 시뮬레이션에서 잘 동작하면 실제로도 잘 동작한다. 그러나 회로가 복잡해질수록 시뮬레이션에서는 잘 동작했지만 실제로 회로를 꾸며보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WinAVR Programmer's Notepad와 Codevision C의 특징과 비교 1. WinAVR WinAVR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WinAVR Programmer’s Notepad가 깔린다. WinAVR에는 gcc 컴파일러를 구동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무료 프로그램치고는 사용하기 좋은 편이다. 단, gcc 컴파일러를 사용할 때는 소스 파일을 작성한 후, 작성
/////////////////////////////////////////////////////////////////////////////////////////////////////////////////// AVR Studio V4.19 // WinAVR 20050214 #include "main.h" #include "localmath.h" #ifdef ADC_BubbleSort_Enable #define SWAP(a, b) { dword t; t=a; a=b; b=t; } word BubbleSort(word *p, byte num){ byte i, j; long k=0; for(i=0; i<_AVERGE_NUMBER_-1; i++) { for(j=1; j<_AVERGE_NUMBER_-i; j++) { if(p[j-1] > p[j]) SWAP(p[j-1],p[j]); } } for(i=_AVERGE_NUMBER_/3; i < (_AVERGE_NUMBER_/3)*2; i++) k += p[i]; return k/(_AVERGE_NUMBER_/3); } #endif void Is_Rx(void){ while(g_RxTopCount
NTC Thermometer를 이용한 디지털 온도계 제작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는 반도체를 이용하는 것과 두 금속의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열기전력을 이용하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써미스터(Themistor)는 가격이 낮고 높은 신뢰성을 지닌다. NTC Themistor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써미스터는 대부분 사용 온도가 300℃ 미만으로 Co, Mn, Ni, Cu, Fe 등의 금속산화물을 두 종류 또는 그 이상 혼합한다. 소결성 향상을 위해 CuO를, 저항값 감소를 위해 F₂O₃나 Li₂O를, 저항값 증가를 위해 Cr₂O를 첨가한다. 또한 1200∼1400℃의 고온에서 소성한 소결체로, 안정된 Spinel 구조나 Rock Salt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저항이 (-)의 온도계수를 갖는 Thermally Sensitive Resistor이다. 그림 1. 써미스터 종류별 특성 그림 2. 디스크형 그림 3. 터미널형 그림 4. 막대형 써미스터의 한 선을 +5V에 연결하고 직렬로 저항을 연결시킨 후 저항의 한 쪽은 0V로 향하게 한다. 써미스터와 직렬로 연결된
시스템 엔지니어링 (126) 요구 도메인 솔루션은 시스템, 제품, 하부체계 등 개체의 솔루션 영역이 기법, 기술, 비용 및 일정 제약사항과 리스크에 달려있다. 요구도메인 솔루션은 이하와 같은 사항으로 나타난다. · 어떤 능력과 성능 특성이 시스템, 제품, 용역으로부터 요구되는가 · 어떤 성능 수준을 기대하고 있는가. 그리고 얼마나 잘 수행하는가 ·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능력 이행을 위한 시스템 요소 수행책임이 있는가 · 그 능력은 언제 요구되는가 · 어떤 운용환경 상태와 상호작용 아래에서 수행되는가 · 사용자 운용요구를 충족하고 시스템과 임무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어떤 결과와 산출물을 기대하고 있는가 이 글은 앞서 SE 프로세스 모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요구사항 도메인 솔루션을 기술토록 한다. 따라서 요구도메인 솔루션의 목적, 주요 요소, SE 프로세스 모델 업무 흐름 순서, 개발책임, 의존성, 개발방법, 도전 및 산출물을 다룬다. 1. 얻고자 하는 내용 · 요구 도메인 솔루션의 목적은 무엇인가 · 요구 도메인 솔루션의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 · 요구 도메인 솔루션과 SE 프로세스 모델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 요구 도메인 솔루션과 운용, 거동 및 물
최근 스피커는 점점 얇아지고 있는 추세다. 그 중 압전 스피커는 압전 소자의 기계적 움직임을 진동판에 의해 음향적으로 변환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부품이다. 압전 필름 스피커 교세라와 LG전자가 곡면 OLED TV용으로 세계에서 가장 얇은 두께 1mm의 스피커를 개발했다(그림 1). 스피커는 교세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했으며, LG와 공동으로 OLED TV에 탑재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즈 작업을 했다. 그림 1. 교세라와 LG전자의 압전 필름 스피커 교세라는 이와 함께 경량, 초박형 스피커를 개발했다. ‘스마트 Sonic 사운드’ 라고 불리는 이 제품은 특수필름과 결합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고, 교세라의 독자적인 세라믹 소재기술과 적층기술과의 접목으로 탄생한 기술이다. 대형, 중형, 소형 등 3 종류의 제품을 개발했으며, TV 이외에 태블릿 단말이나 스마트폰 등의 용도로도 판매 중이다. 그림 2는 교세라에서 개발한 압전용 필름 스피커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 압전용 필름 스피커 구조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는 물체에 힘을 가하여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하는 순간에 전기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