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적자원관리(ERP)는 기업 전반의 비즈니스 상황을 확인하고, 다양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초기 ERP는 단순한 기업 내 자원 관리를 담당했다면,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업 경영과 직접적으로 결속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ERP는 생산관리프로그램(MES)·제품수명주기관리(PLM)·창고관리시스템(WMS) 등과 통합돼 다양한 분야의 기업 경영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기업 비즈니스 차원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한 ERP는 90%가량의 국내 기업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러한 ERP는 각 기업에 맞게 최적화된 형태로 구축돼야 한다. 각자의 산업군·직무에 맞는 프로세스가 조성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앞서 언급한 또 다른 시스템과의 유기적인 연계도 가능해야 한다. ERP는 단독 기능으로 활용되는 것보다, 타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기술적·기능적인 고도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ERP 솔루션 업체 영림원소프트랩은 이 같은 가치를 내재화한 차세대 ERP 솔루션을 내세운다. 각 기업의 전체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각각의 업무 단위에 맞는 ERP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영림원소프트랩 ERP 솔루션은 직관적인 내부 프로세스를 확인부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업무 생산성 혁신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과거 PC, 인터넷, 스마트폰의 등장과 마찬가지로 AI는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백인송 이사는 지난 2월에 열린 ‘스마트 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AI가 조직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AI는 더 이상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현실에서 조직과 개인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도구”라며, AI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Microsoft Copilot)을 비롯한 다양한 AI 솔루션이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 그리고 기업이 이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AI(인공지능)는 과거 10~15년 주기로 등장한 혁신적인 기술들과 유사하게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1983년 첫 PC인 맥킨토시의 출시 이후, 1992년 그래픽 기반 웹브라우저인 M O S A I C , 2007년 스마트폰 혁명, 2022년 ChatGPT의 등장까지 기술 혁신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백인송 이사는 “ChatGPT는 불과 3개월 만에 1억
ABB가 조선 기자재 전문기업 에스엔시스(S&SYS)와 손잡고 자사의 저압 배전반 솔루션 ‘System Pro E Power’의 국내 시장 확대에 본격 나선다. 양사는 최근 제품 교육과 인증 수여식을 통해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조선·해양 산업 전력 시스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System Pro E Power는 정격 전류 최대 6300A, 단락 전류 최대 120kA를 지원하는 ABB의 주력 저압 배전반 솔루션으로, 최신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보호 등급과 전기적 특성, 그리고 뛰어난 호환성을 자랑한다. 특히 ABB의 저압 전장품과 완벽한 시너지를 발휘하며, 다양한 전기 설비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돼 있다. 에스엔시스는 해당 솔루션의 탑 버스바 개폐 장치 시스템(Top Busbar Switchgear System)에 대한 기술 교육과 IEC 61439 국제 표준, 관련 소프트웨어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수함으로써 공식 인증 파트너 자격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을 통해 에스엔시스는 ABB가 제공한 설계 지침과 기술 문서, 시공 매뉴얼을 바탕으로 System Pro E Power를 자체 설계·조립·판매할 수 있게 됐다. 에스엔시스는 이미 자사 선박
로봇 굴기 나선 중국, 산업용 점유율 50% 돌파 휴머노이드 로봇 집중 투자…글로벌 기술패권 겨눈다 중국 정부가 로봇과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첨단 기술 산업 육성을 위해 약 1조 위안(한화 약 1,000조 원)에 달하는 초대형 국가지원 벤처펀드를 조성한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해당 펀드를 향후 20년간 장기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며, 지방정부 및 민간 부문과의 공동 참여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번 정책은 중국이 제조업 기반의 기술 중심 경제로 탈바꿈하려는 전략적 흐름 속에서 로봇 산업을 국가 경쟁력의 핵심 축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반영한다. 국제로봇연맹(IFR)의 다카유키 이토 회장은 “중국은 2021년 말 발표된 국가 로봇 전략 이후 제조 경쟁력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며 세계적인 수준의 산업 성장을 달성했다”며, “로봇 산업의 급성장은 유례없는 속도”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중국의 산업용 로봇 설치 대수는 지난 10년간 전 세계 시장 점유율 20% 수준에서 절반 이상으로 급등했다. 자국 내 로봇 제조사들의 점유율 역시 빠르게 늘고 있다. 2020년 기준 30%였던 중국 내 산업용 로봇 설치 비중은 2023년 47%로 확대됐으며, 특히 전자산업
에스피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텔레센트릭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텔레센트릭 렌즈는 촬영 대상에서 출사된 평행광이 카메라 센서 방향으로 구현되는 특수 광학 렌즈로, 일반 렌즈와 달리 원근감 없이 동일한 배율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렌즈는 작업 거리(W.D)가 변해도 배율 변화가 없으며,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정밀 측정 및 검사가 요구되는 머신비전, 반도체, 정밀 계측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에스피오는 머신비전 광학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FPD(TFT·LCD·OLED), SMT·PCB, 반도체, 자동차 부품, 차세대 반도체 산업, 정렬, 계측 등 다양한 비전 시스템에 적합한 렌즈 및 광학 모듈을 설계·제조하고 있다. 고객 맞춤형 광학 솔루션을 제공하며, 대구경 렌즈부터 저가형 렌즈까지 다양한 텔레센트릭 렌
굿모닝계측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산업용 계측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1999년 설립된 굿모닝계측기는 산업용 계측기 전문 기업이다. 현재는 산업용 공정 시스템까지 공급하는 회사로 성장해 이슬점 측정기, 산소 분석기, 온도 및 습도 측정기, 유량계, 이산화탄소 측정기, 유중수 분석기, 통신 변환기, 원격 입출력 모듈, 이더넷 입출력 모듈, 컨트롤러 등 다양한 제품을 공급한다. 굿모닝계측기가 전시회에서 소개한 휴대용 노점계 ‘SADPmini 2’는 블루투스 프린터를 지원하며 압력하 노점 계산이 가능하다. ‘SADPmini’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하고 7가지 수분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보정 및 단일포인트보정 기능이 내장됐다. 두 제품 모두 센서 보관시 제습제를 사용해 빠른 측정이 가능하다. 오토메이션월드 이창현 기자 |
푸른기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SYMPHONY-15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SYMPHONY-15는 각 관절에 토크센서를 내장하고 15Kg의 가반하중과 1300mm의 작업반경을 갖는 협동로봇이다.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충돌감지 및 직접교시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EN ISO 10218-1, CE, EMC & KCs 안전인증을 취득하였다. 또한 모듈화를 통한 유지보수 편의성 증대 및 여유자유도를 활용한 최적의 동작을 구현한다. 푸른기술은 1997년 창사 이래로 기술을 중시하여 탁월한 R&D를 바탕으로 글로벌 금융자동화와 역무자동화 분야에서 발군의 업체로 자리 잡았다. 전세계를 아우르는 글로벌 리더로서 지속적인 기술혁신과 부단한 도전을 통해 효율적인 시스템과 신뢰성 있는 솔루션 공급 업체로의 도전을 지
로거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설비 진동 머니터링 시스템, 진동 가속도 센서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설비 진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장 자동화 설비(생산, 이송 등등)의 설비에 진동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설비의 (모터, 기어박스, 베어링 등) 상태 감시 및 설비의 이상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진동 가속도 센서는 공장 자동화 설비(생산, 이송 등등)의 설비를 장시간 가동시 일어날 수 있는 설비의 이상 유무를 진동 감지하며, 주로 설비의 모터, 기어박스, 베어링 부위에 부착하여 설비의 진동 상태를 측정한다. 로거테크는 진동 데이터 로깅 업계의 선도적인 혁신 기업으로 SERVO / MEMS 유형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및 와전류 유형 변위 센서를 포함한 진동 측정 및 분석 장비를 제공한다. 또한 고객의 중요한 프로세스 및 애플리케
이플러스이일렉트로닉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EE310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EE310은 복잡한 산업용 적용 분야에서 신뢰성 있는 측정을 위해 최적화 되어 상대 습도 및 온도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뿐만 아니라 노점, 절대습도, 혼합비 등의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Wall mount, Duct mount, Remote probe 등 다양한 종류의 모델이 있으며, Remote probe는 180 °C(356 °F)까지 사용 가능하고 압력 프로브는 20bar(290 psi)까지 사용 가능하다. 이플러스이일렉트로닉코리아는 센서 전문업체 E+E Elektronik의 한국 지사로 온습도, 오일 내 수분, 노점(이슬점 온도), 풍속, 차압, 질량유량, CO2센서, 트랜스미터, 휴대용 계측기, 데이터로거와 습도발생기를 수입 판매한
엣지크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SCAUTR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SCAUTR는 데이터 기반 AS 정비 시스템으로, 원격 CS 기술지원 및 이력파악을 통해 출장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출고 기계장비 데이터 수집, A/S 원격 기술 지원, 가동현황 모니터링, 개발 고객 이력 조회, 전체 고객사 공지사항 등 전국으로 출고 납품된 기업의 모든 기계장비를 주도적 관리 가능하다. 엣지크로스(EdgeCross)는 스마트 머신을 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스타트업이다. 기계 제작자와 기계 사용자인 고객을 대상으로 기존의 기계를 쉽고, 빠르고, 무엇보다 부담 없이 스마트 머신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선도한다. 현재까지 판매된 AIoT 장비는 약 8,000개 이상,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계장비에서 수집되고 있는
Rexroth A Bosch Company(이하 보쉬 렉스로스 코리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프로그래밍 없이 사용 가능한 스마트 프레스 패키지 솔루션을 제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보쉬 렉스로스 코리아가 이번 AW 2025에서 제시한 스마트 프레스 패키지 솔루션은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설정 및 운영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품질 관리와 유지 보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보쉬 렉스로스 코리아는 보쉬 그룹의 산업 기술 부문을 담당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자동화 및 제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어. 특히, 스마트 프레스 패키지(Smart Press Kit)와 같은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제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igus(이하 한국이구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일체형 리니어 볼가이드 방식의 코어 라인업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한국이구스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drylin ZLW-1040 타이밍 벨트는 폴리머 플레인 베어링을 사용하여 오일이나 그리스 없이도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알루미늄 및 폴리머 소재로 제작되어 무게를 최소화하면서도 강성을 유지해 경량 설계가 돼 있으며, 타이밍 벨트 구동으로 저소음 운전이 가능하다. drylin ZLW-1040 타이밍 벨트는 픽 앤 플레이스 로봇, 조립 라인 등에서 정밀한 위치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특히 자동 주문 피킹 시스템에서 빠르고 정확한 물품 이동을 지원하며, 실험실 자동화 장비 등에서 청결하고 조용한 작동이 필요한 곳에서도 사용된다. 한편, 한국이구스는 독일의 자동화 전문
멘토티앤씨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일체형 리니어 볼가이드 방식의 코어 라인업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멘토티앤씨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코어 라인업은 일체형 리니어 볼가이드 방식의 JMGX 시리즈로, 높이가 낮고 가이드 폭은 넓어 안정적인 허용 하중값을 구현했다. 이와 함께 고강성 알루미늄 베이스에 베어링 강 레일을 조립 부착하였으며 베이스, 커버 차페형 구조로 두 가지 라인업이 등장했다. 해당 시리즈는 Servo Moter와 Step Moter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멘토티앤씨는 자동화 사업부, 에너지 사업부, 화재대피함사업부, 그리고 중국의 합작법인인 C&K Mechatronix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외 업체에 공급하는 전문회사 설계부터 품질관리, 납기 솔루션을 제공한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피짜토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 자동화 및 기계 안전을 위한 컨트롤 박스 장비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피짜토코리아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컨트롤 박스는 긴급 정지(E-STOP) 버튼, 셀프 모니터링 접점 블록, 방수 보호(IP69K, IP67) 기능이 포함된 제품들이 나열되어 있다. 컨트롤 박스 내에는 자기유지 기능이 있는 모델도 있어, 버튼이 눌린 상태를 감지하고 복구될 때까지 자동으로 잠겨 있다. 모듈형 컨택트 블록의 경우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며, 고온 및 고압, 방진, 방수 보호 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피짜토코리아는 산업 현장에서 기계를 안전하게 제어하고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우며 공장 자동화 산업에서 로봇과 커네이어 벨트의 긴급 정지 및 제어를 돕고 산업용 장비의 정밀한 동작 관
센소파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Target Mark3D 사용한 다각도 위치 보정 어플리케이션 장비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센소파트코리아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Target Mark 3D 기술은 로봇의 공간 인식을 단순화하여, 로봇이 작업 환경에서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로봇이 작업 공간 내에서 타겟 마크를 인식하여 자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정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센소파트코리아는 광학 센서, 초음파 센서, 유도 센서 등 다양한 산업용 센서를 개발 및 제조하고 있다. 스마트 카메라 및 비전 센서를 통해 자동화된 품질 검사, 로봇 가이던스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기존에 센서나 머신비전에 대한 지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