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획특집

[K-제조업 방향-③] 급성장 중인 배터리 산업…규제 대응 위해선 유기적 정보공유 위한 협업 필요

URL복사

전기차 및 EV가 최근 화두로 부각됨에 따라 자동차 배터리 분야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 영역에서 봤을 때 환경적·사회적 영향이 너무나도 크기 때문에 여러 관계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특히, 탄소 배출량·재활용 회수·재사용 등 순환 경제 관련 규제가 속속 등장하면서 배터리 주원료를 일정 기준 이상 재활용 원료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원료를 재활용하고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투명하게 배터리 수명주기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네트워킹 및 협업이 필요하다. 이번 하노버메세 2023에서도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많은 시사점을 주었다. 지난 5월 22일 열린, ‘2023 독일 하노버메세 INSIGHT WRAP-UP 세미나’에서 한성식 SAP코리아 파트너가 발표한 내용을 정리했다.

 

 

속속 등장하는 순환 경제 관련 규제

 

현재 공급망 영역에서 혼자 살아남기 힘든 세상이 도래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OEM사부터 Tier M까지 서로 어떻게 협업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내용을 다뤄보겠다.

 

전기차 및 EV가 최근 화두로 부각됨에 따라, 관련 자동차·배터리·화학·전자부품 등 산업 또한 함께 부상하기 시작했고, 변동성 또한 예상보다 빠르게 커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 배터리 분야 시장이 급성장 중인 상황에서 미·중 패권전쟁이 시작됐다.

 

조 바이든 美 대통령은 우리나라 기업에게 자국 내 배터리 및 자동차 공장 설립을 권유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제정했다. 이 배경이 현재 산업 내 가장 중요한 주제다.

 

배터리 영역에서 봤을 때 환경적·사회적 영향이 너무나도 크다. 왜냐하면, 배터리 관련 원자재 및 모든 원료가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배터리 원료 주도권에서 가장 앞서있는 나라가 중국이다. 이와 관련해 IRA에는 중국 원료를 사용했을 때 추후 불이익을 감소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이를 통해 추론해보면, 전 세계 배터리 관련 원자재 이슈는 진행 중인 상태다. 환경 문제·희토류 등 원자재 희소성 등 여러 관계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한편, 탄소 배출량·재활용 회수·재사용 등 순환 경제 관련 규제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실제로 이에 따른 비용과 노력이 많이 발생한다. 작년부터 올해까지 IRA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전달됐다. 특히, IRA에 따라 세액 공제 요건이 해마다 달라진다는 점이 우리한테 중요할 것이다. 핵심 광물인 니켈·코발트 등 자원과 관련해 FTA 등 규정을 통해 미국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는 나라들과 일정 비율 관계를 맺는 것은 필연적이다. 2025년부터 중국 등에서 생산되는 원료를 활용할 시 불이익을 부여하는 IRA의 규정이 이를 부추긴다.

 

구체적 규제사항을 보면, 특정 국가에 전기차를 수출하려고 하면 PP(Product Passport) 및 BP(Battery Passport)가 필요하다. PP 혹은 BP는 광물 채굴·가공·생산·제작·완성 등 전기차 생산 전 과정을 담은 여권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미국은 나아가 배터리 충전 속도·배터리 에너지 공유 등 부분까지 통제 영역으로 두려고 한다. 해당 사례에서 보듯, 산업 속도는 굉장히 빠르게 변하고 있다.

 

한편, 관련 규제가 가장 강한 곳은 유럽연합(EU)이다. 그들은 2024년부터 의무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공개하는 탄소 발자국을 시행하고, 코발트·리튬·니켈 등 배터리 주원료를 일정 기준 이상 재활용 원료로 활용해야 한다. 그들은 환경뿐만 아니라 경제 모멘텀으로 해당 정책을 활용한다. 또한 원재료 독점국인 중국 의존도를 경감하면서, 원료를 재활용한다는 철학이 담긴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배터리 수명주기에 대해 아날로그 및 디지털로 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최근 핵심 어젠더다.

 

자동차 배터리 산업과 순환 경제와의 상관관계

 

자동차 배터리 산업과 순환 경제와의 상관관계는 어떨까? 채굴-활성물질·양극재·음극재·팩·모듈 제작-전기차 장착-수명 한계 해체-폐기·재활용·재사용이 보통 수명주기다. 이 과정에서 업체가 가지고 있는 과제가 있다.

 

BP 등으로 투명하게 배터리 수명주기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트렌드로 다가오고 있는데, 보통 기업은 배터리 전주기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힘들다. 그것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 과제다. 결국 네트워킹 및 협업을 통해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모든 것을 통제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현대기아차 등 대기업부터 Tier 1,2,3 등과 정보를 유기적으로 공유해야 주기 추적 및 정보 수집이 용이하다.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킹 및 협업이 앞으로 생존을 위해 필수로 챙겨야 할 과정이다. 이것이 바로 카테나-X(Catena-X)가 탄생한 배경이 됐다.

 

카테나-X 이전에 가이아-X(Gaia X)가 있었지만, 카테나-X가 왜 탄생했는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2010년부터 아마존·MS·구글 등 기업이 진격하면서 그들은 데이터 주권과 데이터 유출에 대한 위협을 느꼈다. 기업은 콘텐츠만큼은 주권을 가져야 한다는 관점으로 가이아-X가 탄생한 것이다. 가이아-X 기반이 적용되는 산업이 자동차 산업이기 때문에 카테나-X가 관련해서 탄생했다고 본다. 데이터를 교환하고, 데이터 주권을 가져가고, 상호 합의된 한도 내에서 교환을 하자는 개념이다.

 

실제 산업에 적용해보면, Tier 3 기업이 자신의 모든 정보를 내놓고 카테나-X에서 활동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 주권을 가지고 카테나-X 내 구성원끼리 합의된 범위 및 수준 내 내용만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카테나-X 초기에는 소수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148개 기업이 카테나-X에 소속돼 있다. 아시아 및 미국 회사는 많지 않고 대부분 유럽 회사다.

이해를 돕기 위해 사례를 보겠다. 배터리 및 자동차 분야 밸류체인이다. 채굴-정제-활성물질 제작-셀 제작-팩 제작-자동차 탑재-재활용 등 단계다. 이 과정에서 핵심은 배터리 자체도 디지털 트윈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배터리의 모든 상태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디지털 트윈 관점에서 배터리 상태를 추적하고, 탄소 배출량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디지털 쓰레드(Digital Thread)다. 디지털 쓰레드를 통해 BP 등이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SAP 솔루션은 설계·계획·제조·출하·운영 등 모든 과정을 다루는 솔루션이 포진돼 있다. 이 중 SAP Business Network Material Traceability(추적 관리) 솔루션이 대표적이다. 구체적 예시로, 카테나-X 상황에서 Tier 2가 Tier 3를 초대하고 싶을 때 네트워크상에서 초대한 후 이슈에 대한 경고 및 해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통합적 API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대한 준비도 돼있다.

 

자동차 분야의 경우도 Tier 2~3 업체가 부품을 생산하고 조립해서 Tier 1인 현대모비스에 전달하면, 모비스는 그것을 모듈화해 완성차로 가는 과정을 거친다. Receiving-Producing-Delivering 등 세 단계를 거치는 것인데, 추적이 필요하면 해당 과정의 모든 과정을 추적 가능케 하는 솔루션이다. 카테나-X 내 IDS(International Date Space)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즉 IDS를 통해 비즈니스 파트너 간 정보가 교환된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