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LG전자가 1일 ‘새로운 공간에서 경험하는 LG의 혁신(Experience LG Like Never Before)’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IFA 3D 가상 전시관을 오픈했다. ▲LG전자가 IFA 2020 개막을 앞두고 3D 가상 전시관을 오픈한다. LG전자는 뉴노멀 시대에 맞춰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인 IFA 2020에 새로운 방식으로 참여하기 위해 가상 전시회를 선택했다. 혁신적인 제품과 인공지능 LG 씽큐(LG ThinQ) 솔루션을 기반으로 집에서의 삶을 새롭게 정의하고 이색적인 방식으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가상 전시관은 PC나 모바일로 누구나 쉽게 관람할 수 있으며, 고객은 마이크로사이트에 접속해 PC나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해 전시를 즐길 수 있다. 콘텐츠는 한국어·영어·독일어 등 여러 언어를 지원한다. 앱을 다운로드하지 않아도 마이크로사이트에서 웹 버전에 접속해 바로 관람할 수도 있다. 가상 전시관은 LG전자가 2015년부터 매년 전시관을 꾸며온 메세 베를린(Messe Berlin) 18홀을 그대로 옮겨놨다. 고객이 접속한 시간에 맞춰 베를린 현지의 낮과 밤을 구분해 표현한 전시관 입구를 포함해
▲LG전자 황정환MC사업본부장(출처 : LG전자) [첨단 헬로티] 철저한 고객 관점 지키며, 핵심가치 ABCD 강화할 것 강조 LG전자가 4일 서울 마곡에 위치한 LG사이언스파크에서 국내 언론 대상 MC사업본부 기자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MC사업본부장 황정환 부사장, 한국모바일그룹장 이상규 부사장, 단말사업부장 하정욱 전무 등 경영진과 기자 250여 명이 참석했다. 황정환 본부장은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스마트폰 시장의 역성장이 예상되고 해외 저가 제품의 공세가 강화되는 등 사업 환경이 어려워지고 있지만, LG 스마트폰의 지향점이 고객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라며, “가장 많이 쓰는 기능이자 가장 불만이 많은 기능이기도 한 카메라에 역량을 집중해 고객의 편익을 최대한 끌어올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객이 원하는 카메라위해 화질부터 편의성까지 ‘철저한 고객 관점으로’ LG전자는 시장 조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카메라를 SNS나 웹서핑만큼 많이 사용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왔다. 또한, 여행이나 기념일 등 특별한 순간에만 사진을 찍기보다 일상을 촬영해 SNS에 공유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경향
[첨단 헬로티] LG 올레드 TV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고 있는 IFA 2018에서 잇단 수상 소식을 전했다. 영국의 IT 전문매체 ‘테크레이더(Techrader)’는 올해 IFA에서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공개한 LG 8K 올레드 TV를 ‘전시 최고 제품’으로 선정했다. 입을 다물 수 없을 정도로 선명한 화질을 보여준다고 호평했다. LG 8K 올레드 TV는 미국의 대표 IT 매체 ‘위버기즈모(Ubergizmo)’로부터 ‘전시 최고 제품’ 상을 받았다. 영국의 IT 매체 ‘스터프(Stuff)’가 선정한 ‘최고 제품들’에도 선정됐다. 글로벌 IT 매체 ‘가젯매치(GadgetMatch)’로부터도 ‘전시 최고 제품’ 상을 받았다. 유럽 영상음향 분야 최고 권위의 ‘유럽영상음향협회(EISA; Europe Imaging and Sound Association)’는 IFA 2018에서 별도 시상식을 마련해 LG 올레드 TV에 ‘EISA 프리미엄 올레드 TV’
ⓒ삼성전자 제공 [헬로티] 삼성전자는 세리프TV가 미국 '오프라 매거진'에서 매년 발표하는 '오프라가 가장 좋아하는것 2016(The Oprah's Favorite Things 2016)'에 선정되었다고 4일 밝혔다. '오프라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미국의 유명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의 이름을 따 발행되고 있는 '오프라 매거진'에서 매년 12월 한 해 동안 화제가 된 각 분야의 아이템들 중 오프라 윈프리가 직접 선정해서 발표한다. 이 리스트는 연말연시 선물 가이드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리스트로 손꼽히고 있으며 올해 추천 리스트 중 TV 제품은 삼성 세리프 TV가 유일하다. 오프라 매거진은 "삼성 세리프 TV 디자인이 하나의 가구와 같이 집안 어느 곳에서나 조화롭게 어울릴 뿐만 아니라 최상급 화질과 세리프 TV만의 커튼모드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스피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춘 제품"이라고 평가했다. 삼성 세리프 TV를 비롯한 '오프라가 가장 좋아하는 것 2016'은 온라인 웹사이트 '오프라닷컴'과 오프라 매거진 12월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3월 국내에 세리프 TV를 출시한 데 이어 지난주 연말 연휴 시즌을 맞아 32형 '레드
▲키보드 상단에 터치스크린 바를 탑재한 2016년형 애플 '맥북프로' © News1 애플이 키보드 상단에 터치 스크린바를 탑재한 2016년형 맥북프로를 공개했다. 애플은 27일(현지시각) 미국 쿠퍼티노 타운홀에서 신제품 발표회를 열고 신형 맥북프로를 공개했다. 신형 맥북프로는 화면 크기에 따라 13인치, 15인치 버전으로 분류된다. 색상은 실버와 스페이스 그레이 2가지다. 이 제품은 키보드 상단에 기존에 있던 'Fn'키 대신 바 형태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만들어진 '터치바'를 탑재했다. 사용자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가에 따라 터치바에 뜨는 기능이 수시로 변경된다. 예를들어 인터넷 브라우저 '사파리'를 켰을 때는 즐겨찾기 목록이 표시되고, 메시지 앱을 실행하면 이모티콘이 뜨는 식이다. 터치바의 오른쪽 끝에는 애플 T1 칩을 탑재한 터치ID 지문인식센서가 장착됐다. 트랙패드는 전작보다 2배 커졌고 표면의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를 구분해 인식하는 '포스터치' 기능이 추가됐다. 외관 측면에서는 전작보다 얇고 가벼워졌다. 13인치 모델은 두께 14.9밀리미터(mm)에 무게는 3파운드(약 1.3kg)다. 15인치 모델의 경우 두께가 15.5mm, 무
ⓒLG전자 [헬로티] 이제 4K를 넘어 5K 모니터 시대가 열렸다. LG전자는 맥북(MacBook)과 맥북 프로 사용자를 위한 초고화질 5K 모니터를 28일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 '울트라파인(UltraFineTM) 5K 모니터'는 27인치 크기에 5K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풀HD보다 7배 이상 해상도가 높다. IPS패널을 채택해 색상을 정확히 표현하고 측면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다. 색재현력은 DCI-P3 규격을 99% 충족하고 PPI가 218개에 달해 복잡한 영상도 세밀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용량이 큰 5K 화면을 손실 없이 보여주기 위해 전송 속도가 1초에 40기가비트(Gbps)인 썬더볼트3(Thunderbolt3) 단자를 세계 최초로 적용했다"며 "이전에는 5K 영상을 보기 위해 케이블이 2개 필요했지만 이제는 썬더볼트3로 별도 충전기가 없어도 5K 영상을 보면서 노트북을 충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LG전자는 21.5인치 크기에 4K 해상도를 적용한 '울트라파인 4K 모니터'도 선보였다. USB 타입-C 단자를 통해 맥북의 4K 화면을 전송 받으면서 동시에 노트북을 충전할 수 있는 이 제품은 지난해 출시된 맥북부터
ⓒLG디스플레이 제공 [헬로티] LG디스플레이가 26-28일 3일간 삼성동 코엑스에서 '제16회 국제정보디스플레이 전시회(IMID 2016)'에 참가해 20여 종 첨단 올레드(OLED) 디스플레이 제품들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LG디스플레이는 UHD 해상도의 77인치, 65인치 올레드(OLED) TV와 OLED 양면 디스플레이, 65인치 곡면OLED 6대로 만든 양면 웨이브디스플레이 제품을 어트랙션으로 설치한다. 특히 부스내 오토모티브 존(Automotive Zone)에는 자동차 대시보드 모형에 햇빛에서도 잘 보이는 고시인성 계기판용 디스플레이와 사용하기 편리한 in-TOUCH기술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을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터치방식을 한층 진일보시킨 in-TOUCH 방식을 5인치대 스마트폰부터 24인치급 모니터용 디스플레이까지 확대 적용해 전시한다. LG디스플레이는 "in-TOUCH 기능은 우수한 터치성능은 물론 고해상도에 따른 터치회로 증가 없이 좌우 베젤 폭을 1mm 이하로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LG디스플레이는 기존 LCD대비 휘도와 소비전력을 크게 개선한 M+ HDR라인업 TV,
사진=LG전자 [헬로티] LG전자는 영국 천재 화가 스티븐 월셔와 함께 21대 9 화면비인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알리는 동영상을 19일 공개했다. 월셔는 서울 여의도동 LG 트윈타워에서 바라본 서울의 풍경을 가로 250㎝, 세로 50㎝ 크기의 초대형 캔버스에 그려냈다. 이번 영상은 월셔가 그린 작품과 실제의 한강 사진을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로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서번트 증후군으로 알려진 스티븐 월셔는 복잡한 장면들을 자세하게 기억한 후 한 번에 그려내는 천재 화가로 런던, 뉴욕, 싱가포르, 도쿄 등 세계적인 도시를 상세하게 그린 작품으로 널리 알려졌다. LG전자는 "월셔가 단 한 번 서울의 풍경을 봤지만, 서강대교에서 한강철교까지 약 3㎞에 이르는 풍경을 생생하게 표현해냈다"고 전했다.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는 가로 방향으로 길어 사진, 웹 디자인 등 미디어 작업은 물론 여러 개의 창을 동시에 띄워놓고 작업하는 멀티 태스킹에도 적합하다. 지난해 세계에서 판매한 21대 9 화면비 모니터는 1년 전보다 약 80%나 늘었으며 LG전자 측은 이 시장에서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수량, 매출 기준으로 1위를 차지하며 프리미엄 모니터 시장을 이끌고 있다고 설
LG전자가 차원이 다른 올레드로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AV 전시회 ‘인포콤 2016(InfoComm 2016)’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전세계 108개 국가의 1,000여개 업체가 참여했다. LG전자는 300㎡ 규모의 전시부스를 마련해 △차원이 다른 올레드 사이니지, △58:9 화면비로 공간 활용도를 높인 ‘울트라 스트레치’, △쉽고 직관적인 사이니지 플랫폼 ‘웹OS’를 적용한 솔루션 등 다양한 상업용 디스플레이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LCD와는 차원이 다른 올레드의 강점을 앞세웠다. 올레드는 백라이트 없이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색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올레드는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색의 왜곡이 없어 넓은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보는 상업용 디스플레이로서 탁월하다고 덧붙였다. 올레드는 기존까지 주로 사용하던 LCD 패널에 비해 두께가 얇고,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LG전자는 이 같은 올레드의 장점을 활용해 물결 형태, 아치
LG전자가 압도적인 화질의 올레드를 앞세워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9일부터 4일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상업용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 2016(Integrated Systems Europe 2016)’에 참가했다. 지난해 대비 약 35% 늘어난 규모로 전시부스를 마련했다.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차원이 다른 올레드 사이니지들을 선보였다. 올레드는 백라이트 없이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색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 자연색에 가장 가까운 화질을 구현한다. 또 올레드는 빛샘 현상이 없어 관람객들이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색의 왜곡이 없다. LG전자는 얇은 두께에도 제품의 앞쪽과 뒤쪽에서 동시에 화면을 볼 수 있는 양면 사이니지를 전면에 내세웠다. 이 제품은 디자인이 파격적이고 공간 활용도가 높아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물결 형태로 휘어진 화면을 이어 붙인 사이니지, 위아래로 구부러진 사이니지 등 기존에 볼 수 없었던 형태의 제품들도 주목을 받았다. 올레드는 기존까지 주로 사용하던 LCD 패널에 비하면 두께가 얇고 곡면 형태의 조형물 제작이 가능하다. LG전자는 58:9 화면비율의 LCD 사이
LG전자가 이달 4일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5’에서 글로벌 공략을 위한 시장선도 제품을 대거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LG전자는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Innovation for a Better Life)’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3,799제곱미터(㎡) 규모의 부스에 차원이 다른 올레드 TV, 프리미엄 고효율·스마트 가전, 연결성을 강화한 모바일 기기 등을 전시한다. LG전자는 전시장 규모를 지난해 대비 43% 늘려 역대 최대 규모로 선보이며 관람객들에게 차별화된 시장선도 제품들을 선보이며 글로벌 프리미엄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또한 HDR 기술을 적용한 울트라 올레드 TV를 이번 전시회에 전시한다. HDR은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세밀하게 분석해 어두운 곳은 더욱 어둡게, 밝은 곳은 더욱 밝게 표현하는 기술이다. 이 때문에 HDR 기술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는 한층 선명하고 또렷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올레드 TV는 각각의 화소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뒤에서 빛을 비춰줘야 하는 LCD TV와 달리 완벽한 블랙을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