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이하 헥사곤)은 다양한 제조 검사 장비를 보완하는 새로운 핸드헬드 3D 스캐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헥사곤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핸드헬드 3D 스캐너인 ATLASCAN Max와 MARVELSCAN은 엔지니어와 제조 담당자가 공장 내부와 외부에서 필요한 부분을 쉽게 스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두 가지 새로운 핸드헬드 3D 스캐너는 자동차, 철도, 산업 장비, 일반 제조업뿐만 아니라 문화재 보존 및 복원 프로젝트와 같은 다양한 검사 환경에서 부품을 측정하는 데 이상적이다. 휴대성이 뛰어난 이 3D 스캐너는 핸드헬드 및 자동화된 품질 검사 애플리케이션, 다양한 리버스 엔지니어링 요구에 적합하다. 피르민 비치 헥사곤 이동식 측정 장비 총괄 매니저는 “핸드헬드 3D 스캐너는 고정 장치나 환경 조건을 걱정하지 않고 부품을 디지털화할 수 있게 하며, MARVELSCAN의 최첨단 통합 포토그래메트리 시스템은 부품에 타겟을 따로 부착할 필요 없이 검사가 가능하다”며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인체공학적 설계의 이 스캐너는 작업 현장부터 조선소까지 원활하고 즉각적인 스캐닝 경험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생산성은 검사 환경에 관계없이 중요한 요소
HPE는 5세대 AMD 에픽(EPYC) 프로세서와 AMD 인스팅트(Instinct) MI325X 가속기를 탑재한 복합 AI 모델 학습용 HPE 프로라이언트 컴퓨트 XD685(HPE ProLiant Compute XD685) 서버를 출시했다. 새로운 HPE 시스템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학습, 자연어 처리 및 멀티 모달 학습을 위한 고성능의 에너지 효율적 인공지능(AI) 클러스터를 신속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최적화됐다. AI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인력 생산성, 의료, 기후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AI 서비스 제공업체, 정부, 대규모 모델 개발자들은 신속하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유연하고 고성능의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 트리시 댐크로거 HPE HPC 및 AI 인프라 솔루션 부문 수석 부사장 및 책임자는 “대규모 언어 모델을 효율적으로 학습하려면 뛰어난 확장성, 대규모 병렬 컴퓨팅 성능, 그리고 HPE의 고성능 컴퓨팅 솔루션만이 제공할 수 있는 독보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며 “AMD와 협력해 HPE 프로라이언트 컴퓨트 XD685로 AI 모델 개발자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향상된 속도와 보안으로 지능형 엣지를 위한 고객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장치 간(cross-device), 분야 간(cross-market)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통합한 개발자 중심 제품군을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출시의 핵심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새롭고 포괄적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인 코드퓨전 스튜디오(CodeFusion Studio)로서, 이 개발 환경은 ADI 최초의 완전 통합형 소프트웨어 및 보안 솔루션 제품군이다. 코드퓨전 스튜디오는 최신 통합 개발 환경(IDE) 및 명령 라인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며 오픈 소스 설정 및 프로파일링 도구를 통합함으로써 이종 프로세서 상에서 개발을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여준다. 코드퓨전 스튜디오는 광범위한 문서, 지원, 파트너십 및 커뮤니티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리소스 허브인 ADI의 새로운 개발자 포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코드퓨전 스튜디오는 또한 지능형 엣지 장치에서 기본적으로 보안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유연한 방법을 제공하는 ADI의 범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보안 기반인 ADI
에어로텍이 XA4 서보 드라이브 시리즈를 확장하며 단일, 듀얼, 쿼드 축 구성 옵션을 추가했다. 이번 확장은 고객에게 고성능이면서도 경제적인 선택지를 제공하며 전체 시스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에어로텍의 신형 XA4 서보 드라이브 시리즈는 컴팩트한 설계와 다양한 구성 옵션으로 더 많은 기계 제작자들이 정밀 제어의 장점을 누릴 수 있도록 개발됐다. 단일, 듀얼, 쿼드 축 구성이 가능하며 특히 10kHz 서보 루프 업데이트 속도를 통해 인포지션 지터(in-position jitter)를 개선해 시스템 성능을 한층 더 높였다. 또한 AC 및 DC 버전으로 제공되는 XA4 시리즈는 공간 절약형 설계로, 패널 장착 시 기존 XC4 드라이브 대비 최대 72%, XC2 드라이브 대비 최대 27%의 패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는 제한된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의 유연성을 극대화했다. XA4 서보 드라이브 시리즈의 또 다른 특징은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주문 옵션이다. 4축 구성 옵션과 함께 직류 전원 공급 장치, 표준 I/O 확장 및 고밀도 I/O 확장 옵션을 새롭게 도입해 사용자의 특정 어플리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이하 키사이트)가 전자 부품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반도체 제조용 와이어 본드 검사 솔루션인 'EST(Electrical Structural Tester)'를 공개했다. 반도체 산업은 의료 기기 및 자동차 시스템과 같은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칩 밀도 증가로 인한 테스트 문제에 직면해 있다. 기존 검사 방식은 와이어 본드의 구조적 결함을 감지하는 데 한계를 보이며, 이는 비용이 많이 드는 잠재적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전통적인 검사 방법은 샘플링 기법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와이어 본드의 구조적 결함을 충분히 식별하지 못한다. EST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 벡터리스 테스트 성능 향상 기술(nVTEP)을 활용해 와이어 본드와 센서 플레이트 사이에 정전용량 구조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EST는 와이어의 처짐, 근접 단락, 그리고 미세 결함을 식별해 와이어 본드의 무결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EST는 정전용량 결합 패턴의 변화를 분석해 전기적 및 비전기적 와이어 본드 결함을 식별, 전자 부품의 기능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20개의 집적 회로를 동시에 검사해 시간당 최대 7만2000개의 유닛을 처리할 수 있어 대량 생산
인텔 제온 스케이러블 CPU, 엔비디아 L40S GPU 이식해 신속한 디지털 트윈 구축 지원 개인용 가상 아바타 생성부터 건축정보모델링 데이터 기반 3D 모델링까지 시뮬레이션 턴키 기능 제공 어드밴텍이 디지털 트윈 환경 구축을 위한 고성능 서버 ‘SKY-620V3’을 시장에 내놨다. SKT-620V3는 인텔 제온 스케이러블 CPU와 엔비디아 L40S GPU가 탑재됐다. 특히 L40S는 엔비디아 에이다 러브레이스(NVIDIA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 기술로, 인공지능(AI) 기능을 가속화하는 DLSS 3과 8비트 부동소수점(FP8) 등 설계를 갖췄다. 아울러 6개의 L40S를 수용하기 위해 2U 사양의 스토리지 아키텍처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신속한 디지털 트윈 환경 생성이 가능하다. 또 거대언어모델(LLM) 추론 및 교육, 그래픽 및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 기능을 고도화하는 데 특화됐다. 이번 신모델은 앞선 성능을 바탕으로, 3D 시뮬레이션 분야의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특히 설계, 훈련, 검증 등에 최적화된 설계를 통해 개인용 아바타 생성부터 건축정보모델링(BIM) 데이터 기반 3D
디지타이저·제너레이터 전문기업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가 첨단 기술을 탑재한 DDS(직접 디지털 합성) 제너레이터 ‘96xx 시리즈’를 새롭게 출시했다. 이 제품은 다양한 산업에서 복잡한 신호 생성과 제어를 필요로 하는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에게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96xx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단일 출력 채널에서 최대 50개의 사인파 캐리어를 제공해 멀티톤 사인 신호를 생성하고, 주파수와 진폭, 위상을 실시간에 가까운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기술은 주로 바이오 의약품, 통신, 반도체, 양자 과학 등에서 필수적인 고순도 신호를 생성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새로운 DDS 제너레이터는 최대 200MHz의 광범위한 작동 주파수와 6.4나노초의 주파수 전환 속도를 자랑하며, 다양한 폼팩터로 제공된다. PCle 카드, PXIe 모듈, 이더넷 기반 계측기로 구성된 12가지 모델은 각각의 특성에 맞춰 다중 톤 신호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더넷 계측기는 최대 24개의 채널을 지원하며, NETBOX 장비를 통해 최대 300개의 톤을 생성할 수 있는 확장성이 돋보인다. 96xx 시리즈는 음향 광학 디플렉터(AOD) 및 음향 광학 변조기(A
ams OSRAM이 가정용 및 산업용 로봇 애플리케이션의 장애물 감지 및 충돌 방지를 위한 차세대 단일 영역 dToF(direct Time-of-Flight) 센서 모듈 TMF8806을 24일 공개했다. 새로운 센서는 이미 50개 이상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모델은 물론 자율 가전 기기 및 스마트 홈 장치에 채택된 ams OSRAM의 dToF 제품군을 더욱 확장해 향상된 성능과 다양성을 제공한다. TMF8806은 새로운 초저전력 동작 설계로 측정 시 완전히 꺼질 수 있으며, 사전에 설치된 펌웨어로 시작 시간이 매우 빨라 이벤트에 즉시 응답할 수 있다. 또한 향상된 동작거리(1cm ~ 5m)와 1.2V 및 1.8 / 3.3V 호환 I/O를 갖춘 TMF8806은 카메라, 건물 자동화, 재고 관리 시스템, 보안 시스템, 가상 장벽 등을 위한 가전 제품, 모바일 로봇, 자동초점에 dToF 방식의 빠른 감지 속도와 정밀도를 제공한다. 데이비드 스미스 ams OSRAM ToF 제품 매니저는 “이 콤팩트하면서도 강력한 센서는 정밀도와 성능을 재정의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탁월한 정확도를 제공한다”며 “초단파 광 펄스 기술, 확장된 감지 범위 및 에너지 효율적인 설계를 갖춘
힐셔는 B+M key 규격 M.2 폼 팩터의 netX 90 기반 신규 PC 카드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신규 카드는 산업용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슬레이브로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다. 새로운 cifX 카드는 힐셔의 미니 PC 카드 제품군 중 가장 최근에 추가된 제품이다. 미니 PCIe부터 하프 사이즈 미니 PCIe를 비롯, 최신 M.2에 이르기까지 힐셔의 공간 및 전력 절약형 신규 미니 PC 카드들은 A+E 와 B+M key 규격 모두 지원 가능하다. 힐셔의 netX 90 통신 컨트롤러는 PC 기반 자동화 장치와 생산 시스템 간의 안정적인 통신을 위한 최적의 기반을 제공하며 cifX 카드의 보안 기능도 지원한다. 힐셔의 전문성을 통해, 사이버복원력법(CRA)과 같은 새로운 표준과 업계 최신 동향들이 신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에 적용됐다. 여기에는 OPC UA 및 MQTT를 통한 산업용 IoT의 수직 통신과 더불어 싱글 페어 이더넷(SPE)을 통한 데이터 통신도 포함된다. 42mm x 22mm(L x W) 크기에 불과한 소형 cifX 카드는 거의 모든 기계나 장치에 설치 가능하다. 힐셔는 동일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및 도구 등
요꼬가와가 새로운 배터리 전극 시트 측정기인 ‘OpreX Battery Web Gauge ES-5’를 발표하며, 전기차 및 충전식 배터리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이번 신제품은 기존 모델인 ‘WEBFREX3ES’의 모든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더 나은 에너지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제공한다. 요꼬가와는 1962년부터 필름 시트 제조 공정에서 두께 측정기를 개발해왔으며,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배터리 제조 시장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OpreX Battery Web Gauge ES-5‘는 전기차 상용화와 함께 급성장 중인 배터리 시장에서 더욱 향상된 생산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됐다.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에너지 효율성이다. 기존 모델 대비 전력 소비는 50%, 무게는 75% 감소했으며, 공기 소비량 또한 90% 줄어들었다. 이러한 개선은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CO2 배출을 크게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 또한 OpreX Collaborative Information Server를 활용해 중앙에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공정의 전반적인 최적화를 지원한다. 이 시스템은 전극 시트의 균일한 코팅을 보장해 배터리의 성능과 품질을 한층 더 높이
와고코리아가 DC 회로 보호를 위한 전자 회로 차단기 ‘WAGO ECB’를 출시했다. WAGO ECB는 새로운 24 VDC용 멀티 채널 ECB는 4채널과 8채널 버전으로 제공되고, 프로세스 및 제조 산업·자동차 생산·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센서 및 액추에이터와 함께 사용된다. 32mm 폭의 콤팩트한 멀티 채널 모듈로 만들어진 전자 회로 차단기로, 8채널 모듈은 싱글 채널 모듈보다 최대 50%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4채널 모듈은 8채널 모듈로 교체 가능하다. LED로 표시되는 온·오프·리셋 버튼과 DIO 신호는 각 ECB 채널의 직관적이고 안정적인 제어를 지원한다. 트립 전류 설정 조정이 용이하고, 플러그인 커넥터는 오 배선을 방지하여 설치 시간을 단축한다. 또한 조정 가능한 사전 경고 기능으로 과전류 발생을 사전에 경고하여 다운타임을 줄인다. 와고코리아는 이번 출시에 이어 통신 기능을 갖춘 멀티채널 ECB 제품도 출시 예정이다. 오토메이션월드 김승준 기자 |
미국 매사추세츠주 월섬에 본사를 둔 마크포지드(Markforged Holding Corporation)가 새로운 기술 혁신을 선보였다. 마크포지드는 지난 29일, 기존 고속 연속섬유 강화 복합소재 3D 프린터에 금속 모듈을 장착해 금속, 복합 소재, 연속섬유 강화 부품을 모두 프린팅할 수 있는 ‘FX10 올인원 3D 프린터’를 공식 발표했다. 이와 함께, 고속 첨단 복합소재 3D 프린터에서 금속 프린트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프린트 엔진인 ‘FX10 Metal Kit’도 소개됐다. 마크포지드의 샤이 테렘 CEO는 “이번 제품 출시로 인해 고객들이 금속 프린터와 복합소재 프린터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고민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며, “수년간의 연구개발(R&D) 투자와 현장 경험을 결합해, 설치 직후 즉시 투자비용 회수가 가능한 3D 프린팅 올인원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고 발표했다. FX10은 특히 생산 라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장비의 활용성과 운용 효율성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테렘 CEO는 “기존 고객들도 금속 모듈을 추가 장착하여 금속 부품, 복합 소재 부품, 플라스틱 부품을 단 하나의 장비로
산업용 모터 고장 예측 솔루션 ‘모터센스(Motorsense)’가 미국 제조업계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AI 기업 이파피루스는 올해 초 미국 산업 자동화 서비스 및 컨설팅 전문기업 테트라솔루션과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현재 다수의 미국 기업들이 모터센스를 현장에 적용하여 기술 검증(PoC)을 진행 중이며, 특히 조지아주에 위치한 국내 대기업들도 이 솔루션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모터센스는 AI 기반 예지보전 솔루션으로, 진동 센서와 고장 분석 AI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기존의 유선 방식과 달리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 IoT 센서를 제공하여 설치 및 유지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이파피루스의 최재욱 영업 이사는 “미국 내 여러 산업 현장을 방문한 결과, 기존의 예지보전 솔루션들은 유선 센서의 한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고 전하며, “모터센스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현지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파피루스는 앞으로 본격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달 말부터는 본사 엔지니어를 미국 조지아주에 파견하여 제품 설명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북미 내 한국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자사 FieldFox 휴대용 RF 분석기에 펄스 발생 기능을 포함해 포트폴리오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확장했다고 29일 밝혔다. 다운로드 가능한 옵션 357 펄스 발생기는 B- 및 C-시리즈 FieldFox 핸드형 분석기에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장 엔지니어에게 최대 주파수 54 GHz 에서 다양한 펄스 유형을 제공한다. 현장 엔지니어는 RF, 마이크로파, 밀리미터파(mmWave) 시스템에 대한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작업 중에는 펄스 발생기에서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사용해 다양한 장치와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현장 테스트에 필요한 다양한 유형의 펄스를 생성하기 위해 엔지니어는 현장용으로 설계되지 않은 고가의 펄스 발생기 여러 대를 사용해야 한다. 키사이트 필드폭스 옵션 357 신호 발생기 소프트웨어는 엔지니어가 기존 B- 및 C-시리즈 필드폭스 핸드형 분석기를 신속하게 업그레이드해 특정 테스트 요구를 즉시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현장 엔지니어가 펄스 발생기가 내장된 업계 유일의 핸드형 분석기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키와 펌
엠비젼이 SWIR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SWIR 렌즈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최근 반도체 업계는 고성능, 다기능 반도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개의 반도체 칩과 소자를 단일한 전자 패키지로 만드는 첨단 패키징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반도체 고집적화와 기판의 대형화로 인해 웨이퍼 절단 후 발생하는 내부 크랙이나 반도체 패키지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고자 하는 수요 역시 덩달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에 엠비젼이 개발한 SWIR 렌즈는 웨이퍼 및 반도체 내부 크랙 검사용 SWIR 시스템을 위한 전용 렌즈다. 적외선의 회절현상을 고려한 최적의 설계를 바탕으로 기존 SWIR 렌즈 대비 훨씬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SWIR 렌즈 개발과 더불어 엠비젼은 SWIR 렌즈에 사용하기 위한 SWIR 동축 조명 개발도 완료했다. 엠비젼의 SWIR 동축 조명은 일반적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출력이 높고 1100/1200/1300/1450/1550/1650nm 등 넓은 파장대로 출시되어 있어 활용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특성에 따라 선택해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엠비젼 관계자는 “SWIR 렌즈는 0.5X, 0.7X 1.0X 배율로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