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KROBOT(이하 하이크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 제조 현장에 응용 가능한 로봇암 배터리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하이크로봇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로봇암 배터리는 멀티 센서 데이터 융하 감지로 유연한 장애물 회피를 지원한다. 높은 종확도의 동작 제어 및 업무 도킹이 가능하여 다양한 공업, 창고 물류 및 스마트 제조 현장에 응용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하이크로봇은 머신 비전 및 모바일 로봇에 특화된 글로벌 제품을 선보이는 솔루션 기업으로 IoT, 스마트 물류는 물론 스마트 제조 등을 중심으로 개방형 협력 생태계 및 산업 물류 고객에게 혁신 기술 솔루션을 제공한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에이치알티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세계 최초 금속, 복합소재 3D 프린터 인더스트리얼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이치알티시스템이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인더스트리얼 시리즈 중에서도 FX10 모델은 산업용 복합소재 3D 프린터로, 고강도 및 고내열성 소재를 사용하여 정밀하고 견고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했다.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 다양한 강화 섬유를 사용하여 금속에 버금가는 강도와 내구성을 지닌 부품을 출력할 수 있으며 대형 부품 제작 역시 가능하다. 한편, 에이치알티 시스템은 산업용 3D 프린터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기업이다. 산업용 3D 프린터를 개발하여 제조업체들이 복잡한 부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동화 시스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사의 요구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 산업 트렌드를 위한 산업용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ST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품 중 하나는 'STM32N6 시리즈'다. STM32N6 시리즈는 ST의 NPU(Neural Processing Unit)인 뉴럴-ART 가속기가 내장된 최초의 제품으로, 최신 하이엔드 STM32 MCU보다 600배 더 뛰어난 머신러닝 성능을 제공한다. 부스에서는 STM32N6 기반의 사람 자세 추정 AI 모델을 활용한 AI Assistant 데모, 사람 동선 추적 AI 모델을 활용한 짐벌 데모 시연을 진행했다. ST측은 "STM32N6 시리즈는 임베디드 AI의 진정한 실현을 지원한다. 비용 및 전력소모에 민감한 컨슈머 및 산업용 제품에서도 컴퓨터 비전, 오디오 프로세싱, 사
Trivision(이하 트리비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성능 트리비전 솔루션 VC3000 시리즈 컨트롤러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트리비전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트리비전 솔루션 VC3000 시리즈 컨트롤러는 최신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원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와 호환성이 높으며 유연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환경을 재공하여 비전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트리비전은 머신 비전 분야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취급하며 산업 및 과학적 용도로 사용되는 카메라, 렌즈 및 조명 등을 공급한다. 검사 프로그램 개발도 진행하며 이와 함께 해외 업체에서 제작된 다양한 부품을 국내에 제공한다. 산업 현장에서의 품질 관리와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EdmundOptics(이하 에드몬드옵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버전의 텔레센트릭 렌즈(Telecentric Lenses)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드몬드옵틱스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텔레센트릭 렌즈 중에서도, TECHSPEC SilverTL 텔레센트릭 렌즈의 경우, 이중 텔레센트릭 설계가 되어 있어 렌즈의 입사 및 출사 광선이 모두 평행하고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머신 비전 생산 응용 분야, 측정 및 계측 애플리케이션 등 분야에 적합하다. 한편, 에드몬드옵틱스는 광학 부품 및 이미징 제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광학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렌즈, 필터, 미러 등 다양한 광학 부품을 제조하며 뿐만 아니라 머신 비전 렌즈와 카메라 등 이미징 시스템에 필요
동일기연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비전과 협동 로봇 기반의 솔루션 inno-eye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동일기연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AI비전과 협동로봇 기반 솔루션 inno-eye는 AI 기반 이미지 분석을 활용한 도면 비교검사로, 협동 로봇을 통한 유연한 검사 자동화를 추구한다. 부품 및 조립 공정에서 정밀 품질 관리는 물론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제품 검사 역시 가능하다. 한편, 동일기연은 각종 전자제품 및 장비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EMC 부품을 제공한다. 대기 환경 모니터링, 대기 중 이물 제거 및 정화를 위한 다양한 제품 제공뿐만 아니라 가정, 공공시설 및 제조현장 등에 최적화된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압전세라믹 기술을 기반으로 동일기연의 완제품에 적용되는 압전세라믹 소재와 부품을 공급하고
CREVIS(이하 크래비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RTEX 기반의 통신모듈 GL-9041 장비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크래비스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통신모듈 GL-9041 장비는 RTEX를 기반으로 G-시리즈 I/O 160여정 호환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파나소닉, 이모션텍 RTEX 마스터 연결이 가능하여 빠른 데이터 수집 및 처리가 가능해 실시간 제어에 적합하다. 이는 공장 자동화, 프로세스 제어, 에너지 관리에 활용되며 제품 공정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기여한다. 한편, 크래비스는 산업 현장의 다양한 장비와 시스템을 연결하고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한다. FA 카메라 및 비전 시스템을 통해 제조 공정의 자동화와 품질 관리를 위한 머신 비전 카메라 제품을 개발하며, 뿐만 아니라 산업용 임베디드 시스
더블유이엔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컨트롤러(PLC)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더블유이엔지가 소개한 PLC 솔루션은 다양한 산업 자동화 시스템의 핵심 제어 장치로, 정유, 석유화학, 발전소, 신재생에너지 및 빌딩자동화 등의 다양한 산업군에서 안정적인 제어 및 운영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해당 솔루션은 EtherNet·IP 기반의 고속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고 다양한 모션 제어 기능 및 실시간 데이터 처리 기능 제공한다. 또한 컨포멀 코팅 적용으로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작동하며 전원 공급 중에도 모듈 제거 및 삽입을 지원한다. 더블유이엔지는 DCS System(Honeywell, Emerson, ABB) 및 PLC System (Allen-Bradley, Siemens) 등의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의 제
Coral Link(이하 코랄링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자동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 CODESYS를 제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코랄링크가 이번 AW 2025에서 제시한 CODESYS는 사용하기 쉬운 편집기와 ST, LD, FBD, IL, SFC, CFC 표준 언어를 지원한다. 데이터 모니터링과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작동 중 프로그램 변경이 가능하며 다양한 CPU에 대한 컴파일러 통합 및 Fast Machine Code를 제공한다. 특히 표준 필드 버스 통합 구성기와 스택을 포함하며, 전문가 프로젝트 옵션까지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코랄링크는 IFC61131-3 표준을 준수하며, 공장 자동화 및 빌딩 자동화 분야에서 사용되는 컨트롤러에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사용자 정의 중심의 프로토콜 개발도 전문적인 가이드
ENVISION(이하 앤비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해상도 고속 스캔 지원 가능한 1800dpi CIS 모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앤비젼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1800dpi CIS 모듈은 1800dpi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며, 컬러 및 흑백 이미지 스캔이 가능한데다 고속 스캔을 통해 생산 라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모듈은 반도체 및 전자 부품 검사, 의료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고해상도 스킨을 통해 인쇄 품질 확인과 오류 감지가 용이하다. 한편, 앤비젼은 머신 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산업용 카메라와 렌즈, 조명, 이미지 프로세싱 소프트우웨어 등 다양한 제품을 지원하고 있다. 앤비젼의 머신 비전 솔루션은 전자, 반도체,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품질
RTM(이하 알티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 제공 가능한 허블 솔루션 머신을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알티엠이 이번 AW 2025에서 공개한 허블 솔루션 머신 초정밀 AI 검사 솔루션 및 검사장비로, 검사원이 필요한 2차 검사 작업을 최소화하고 검사 공정의 자동화 구축이 가능하다. 허블 딥러닝 솔루션을 통해 반도체부터 산업재까지 모든 제조업 품질검사에 사용할 수 있고,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진행하여 고객사 사용 시나리오에 최적화된 AI 검사 기능 및 맞춤 솔루션을 개발하도록 한다. 한편, 알티엠은 공정 생산성 혁신을 위해 제조산업에 특화된 딥러닝, 머신러닝 기술을 구현해낸다. 인공지능과 제조도메인의 협동으로 양산 현장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솔루션을 제공하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PCB 등 첨단 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센서, 자동화 부품 등 다양한 기술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마우저는 이번 전시에서 센서, 자동화 부품, 산업용 AI, 사물인터넷(IIoT), 클라우드 컴퓨팅, 로보틱스 등 다양한 최신 기술 솔루션을 선보이며, 엔지니어와 구매 담당자를 위한 혁신적인 서비스도 소개했다. 마우저 APAC 마케팅 및 사업개발 부사장인 데프니 티엔(Daphne Tien)은 “마우저는 한국의 공장 자동화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하게 됐다”며, “전 세계 1200개 이상의 제조사와 협력해 730만 종 이상의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제공하며, 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및 자동화 도구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우저
세이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기반의 제조 최적화 솔루션 3종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세이지는 이번 전시회에서 AI 머신비전 품질 검사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 제조 공정 모니터링 AI 솔루션 ‘세이지 빔스(SAIGE VIMS)’, 산업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를 선보였다. 각 솔루션은 AI 기술을 활용해 품질 검사, 공정 모니터링, 작업장 안전 관리를 자동화하고, 실시간 분석 기능을 통해 제조업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이지 비전은 AI 기반의 고정밀 품질 검사 솔루션으로, 제품의 외관을 자동으로 검사하고 불량 검출, 통계 분석, MLOps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업계 최고 수준의 검사 정확도를 자랑하며, 사용자의 편의
마키나락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AI 에이전트 기술과 다양한 제조 지능화 사례를 공유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마키나락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AI 에이전트 기술을 선보인다. 이 기술은 제조업의 핵심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공개했다. 마키나락스 측은 산업용 로봇 예지보전으로 설비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했으며, 디지털 팩토리 운영 제어 최적화로 공정 효율성을 높인다고 밝혔다. 또한, 제품 디자인 자동 생성 기능으로 설계 시간을 단축하고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지원하며, PLC 코드 분석 및 변환으로 기존 공정의 디지털화를 추진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마키나락스의 AI 플랫폼 ‘런웨이(Runway)’를 활용한 운영 사례도 공
와고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전자전기 결선 및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품 중 하나인 'PFC200 컨트롤러'는 산업, 프로세스 및 빌딩 자동화 분야의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 PLC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컴팩트한 사이즈로 고성능 퍼포먼스를 제공한다. 독립적인 필드버스로서 분산식 필드버스 시스템에 활용되며, 해당 컨트롤러는 극한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 750 XTR 시리즈 제품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와고코리아는 WAGO의 한국 지사로, 전기·전자 및 자동화 산업을 위한 혁신적인 연결 및 인터페이스 기술을 제공한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건설, 조선,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제품을 선보이며, 고객 중심의 솔루션과 글로벌 표준을 준수하는 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