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SF+AW

[AW 2025] 마키나락스, AI 에이전트 기술로 제조 혁신 선도한다

URL복사

 

마키나락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AI 에이전트 기술과 다양한 제조 지능화 사례를 공유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마키나락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AI 에이전트 기술을 선보인다. 이 기술은 제조업의 핵심 프로세스 전반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공개했다. 마키나락스 측은 산업용 로봇 예지보전으로 설비 고장을 사전에 예측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했으며, 디지털 팩토리 운영 제어 최적화로 공정 효율성을 높인다고 밝혔다. 또한, 제품 디자인 자동 생성 기능으로 설계 시간을 단축하고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지원하며, PLC 코드 분석 및 변환으로 기존 공정의 디지털화를 추진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마키나락스의 AI 플랫폼 ‘런웨이(Runway)’를 활용한 운영 사례도 공개된다. 이 플랫폼은 AI 운영 체계(ML옵스)를 구축해 신속한 AI 서비스 적용을 지원한다. 마키나락스는 산업용 모터 예지보전, 식품 제조업의 재고 최적화 등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AI 도입 효과를 증명했다. 


마키나락스 부스에서는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와 협업한 ‘산업용 엣지 AI(Industrial Edge AI)’ 특별 부스가 운영됐다. 이 공간에서는 지멘스의 PLC, 엣지 디바이스, 소프트웨어에 마키나락스의 런웨이 기반 AI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AI 솔루션을 선보인다.

 

여기에서는 설비의 이상을 조기에 감지하는 예지보전 및 이상탐지, 공정 효율성을 높이는 제어 최적화 AI, 고속·고정밀 시각 검사를 위한 머신비전 기술, 보안이 중요한 폐쇄망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AI 에이전트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멘스의 하드웨어와 마키나락스의 AI 기술이 결합된 이 솔루션들은 제조업체의 생산성 향상과 공장 운영 최적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마키나락스는 전시 기간 동안 ‘제조 생산성을 혁신하는 AI 활용 전략’을 주제로 제조 AI 세미나를 개최했다.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디지털 팩토리 운영 최적화 사례, 공공 데이터 기반 AI 플랫폼 구축 사례,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해 중견 제조업체의 AI 기반 수요 예측을 고도화한 사례 등을 공유했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생산성 혁신을 위해 기존의 자동화 패러다임을 지능화로 전환할 시점이 도래했다"며, "자율적이면서 최적화한 기계 운영, 제조 핵심 프로세스의 업무 효율 향상 등 마키나락스의 AI 기술이 제조업체의 AI 전환(AX)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오토메이션월드티 서재창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