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여 업체 2200여 부스 ‘역대 최대’ 규모…참관객 8만 명 불러 모은다 혁신 기술 총망라…콘퍼런스 통해 전하는 200여 개 인사이트 세션 마련 코로나 엔데믹(Endemic)을 기점으로, 글로벌 산업에는 새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수 년 동안 이어진 비대면 프로세스로 인해 자동화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이 급증한데다, 이것이 확장돼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는 연결성(Connectivity) 트렌드가 주목받는 양상이다. 특히 제조업은 앞선 국면에 더해, 인공지능(AI)·디지털 전환(DX)·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등 트렌드를 등에 업고 다음 챕터를 기약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산업은 변화의 흐름에 안착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 전략을 구축하고 있다. 이 양상은 제조 시스템 끝판왕으로 기대받는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로의 도약을 기대케 한다. 슬로건은 ‘자동화에서 자율화로’ 미래 제조 트렌드를 미리 내다보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이 개막을 앞두고 있다.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 펼쳐지는 이번 전시
오토닉스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자동차, 포장, 반도체, 물류 등 자동화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적용 가능한 하이엔드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오토닉스는 이번 행사에서 제품군에 따라 4개의 존을 운영해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SCADA 존은 소각로·수처리·수소 충전소·스마트팜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응용 작화를 전시하면서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데이터 통합 관리 솔루션 시연하고 고객 체험을 제공한다. SAFETY 존에서는 라이트 커튼, 컨트롤러, 도어 스위치, 스위치 등 세이프티 풀 라인업 전시하고 펜스 양면 구조물을 활용한 안전 제품 체험 공간 마련했다. 또한 Safety 사인 조명과 천장 조명을 활용한 포토존을 운영한다. SENSORS 존은 LiDAR, 변위센서, 초음파센서, 머신비전 등 다양한 센서 제품군 데모키트를 전시해 제품의 실제 구동 모습을 볼 수 있고 전용 소프트웨어 체험 기회를 함께 제공한다. CONTROLLERS 존에서는 제어 모듈과 전력 모듈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멀티 채널 전력 조정기 SPRS 시리즈 출시를 앞두고
포스로직(FOURTHLOGIC)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고성능 컴퓨터 비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포스로직은 2D, 3D, AI 기반의 최첨단 비전 알고리즘을 통합한 단일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 에프엘이미징®(FLImaging®)과, 노드 기반의 자동화 프로그래밍 솔루션 SNAP®을 출품한다. 이 두 가지 솔루션은 빠르고 정밀한 비전 데이터 처리, 직관적인 개발 환경, 고성능 AI 연산 기능을 제공해 산업 자동화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에프엘이미징®(FLImaging®)은 Rule-Based 및 딥러닝 비전 프로세싱을 통합한 고성능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로, 1,300개 이상의 고성능 비전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100% 독자적인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처리 속도, 정확도 및 안정성을 보장하며, CPU & GPU 최적화를 통해 초고속 연산을 지원하고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무손실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픽셀(Sub-pixel) 정밀도를 지원해 초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도 강력한 이미지 처리 신뢰성을 제공한다. 직관적인
뉴로클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AI 기반의 오토딥러닝 비전검사 솔루션을 선보인다. 뉴로클은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등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AI 비전검사 기술을 제공하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비전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고 공정 자동화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전시에서 뉴로클은 Neuro-T(뉴로티)와 Neuro-R(뉴로알)을 출품한다. 뉴로티는 딥러닝 모델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로, 오토딥러닝 알고리즘을 탑재해 모델 구조와 학습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지 데이터 전처리, 레이블링, 모델 생성 및 성능 평가를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높은 정확도의 검사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뉴로알은 뉴로티에서 생성한 모델을 실제 검사 라인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런타임 라이브러리로, 다양한 프로세서와 플랫폼에서 원활하게 작동한다. 뉴로클은 최근 Neuro-T 및 Neuro-R의 4.3 버전을 출시하며, OCR 텍스트 규칙 기능을 새롭게 추가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레이아웃이나 조건에
LUCID Vision Labs, Inc.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5(AW2025)’에 참가해 최신 머신 비전 카메라 및 센싱 기술을 선보인다. AW2025는 머신 비전 부품 및 솔루션을 위한 한국 최대 규모의 산업 전시회로, LUCID는 이번 행사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 이벤트 기반 감지, 3D Time-of-Flight(ToF) 기술을 갖춘 최첨단 카메라 제품군을 시연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 LUCID는 Triton®10 10GigE IP67 카메라를 새롭게 공개한다. 이 제품은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콤팩트한 디자인을 갖추었으며, 방진 및 방수(IP67 보호) 기능과 17핀 M12 GPIO를 제공한다. 44 x 44 x 82mm 크기로 설계된 Triton®10은 이더넷을 통한 전원 공급(PoE)과 원격 직접 메모리 액세스(RDMA) 기술을 지원해 CPU와 OS를 거치지 않고 메인 메모리로 직접 이미지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고성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 LUCID는 Triton®2 EVS 이벤트 기반 2.5GigE 카
엘케이삼양 주식회사(구 삼양옵틱스)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산업용 머신비전 렌즈를 선보인다. 50년 이상의 렌즈 제작 경험과 전문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0년부터 머신비전 렌즈를 직접 제작해 다양한 MV 렌즈 라인업을 제공하고 있는 엘케이삼양은 이번 전시에서 고해상도 이미지 품질을 지원하는 렌즈 솔루션을 소개한다. 이번 전시에서 엘케이삼양은 SMV-43 Series와 SMV-19 Series를 출품한다. SMV-43 Series는 이미지 서클 43.2mm까지 지원하는 제품으로, 중형 카메라 및 4K·6K 라인스캔 카메라에 최적화된 렌즈다. 다양한 초점 거리(Focal Length) 옵션(14mm, 20mm, 24mm, 35mm, 50mm, 100mm)을 제공하며, 사용 환경에 따라 F 마운트 및 M 마운트 선택이 가능하다. 현재 중형 카메라 시장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라인업으로, 정밀 검사 및 고해상도 이미징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SMV-19 Series는 C 마운트 전용 렌즈로, 이미지 서클은 최대 19.3mm(1.2”)이며,
뷰웍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최신 머신비전 카메라 솔루션을 선보인다. 국내 최대 카메라 제조사인 뷰웍스는 초고해상도 카메라, TDI Line Scan 카메라뿐만 아니라 오토 포커싱 유닛 및 산업용 렌즈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뷰웍스는 VCS-14MX2와 BSI UV TDI 카메라(VTS-4, 9, 16K)를 출품한다. VCS-14MX2는 14MP 해상도와 340fps의 초고속 프레임 속도를 갖춘 산업용 카메라로, 인쇄 회로 기판의 솔더 페이스트 및 솔더 조인트 검사를 위한 3D AOI 및 SPI 용도로 최적화된 제품이다. 기존 VC-12MX2와 픽셀 크기가 동일해 대체가 가능하며, BSI 센서를 적용해 감도를 60% 향상시켰다. 크기는 68mm × 68mm의 콤팩트한 디자인을 채택했으며, 인터페이스는 CXP-12 Micro BNC를 지원한다. 발열 방지를 위해 쿨링 팬 모델과 히트싱크 모델 두 가지 옵션을 제공한다. BSI UV TDI 카메라는 기존 FSI 방식 대비 감도를 40% 향상시킨 BSI 센서 구조를
싸이로드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최신 2D·3D 머신비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25년 이상의 머신비전 기술 노하우와 현장 경험을 보유한 싸이로드는 고성능 2D·3D 카메라, 렌즈, 필터, 조명 시스템 등 다양한 비전 솔루션을 공급하며, 고객 맞춤형 기술 지원과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에서 싸이로드는 LUCID의 Atlas10 모델과 SICK의 Ruler3000 모델을 출품한다. Atlas10은 10GigE PoE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대 1.2GB/s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글로벌 셔터 및 롤링 셔터 CMOS 센서를 탑재해 뛰어난 이미징 성능을 제공한다. ROI와 binning 옵션을 활용해 더 높은 프레임 레이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RDMA를 지원해 Lucid의 RDMA HC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함께 사용하면 CPU와 OS를 우회하는 zero-copy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스트리밍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Ruler3000은 높은 정확도와 빠른 측정 속도를 자랑하는 3D 스캐너로, 산업용 이미지 처리 분야에
트리비젼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머신비전 카메라와 조명 솔루션을 선보인다. 트리비젼은 산업용 조명, 컨트롤러, 케이블을 자체 생산하며 하드웨어 광학 설계와 비전 소프트웨어 개발을 함께 제공하는 기업으로, 고객 맞춤형 기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MV-CH650-90XC-M58S-NF와 FTS1-8250M-ME를 출품한다. MV-CH650-90XC-M58S-NF는 고정밀, 고속 프레임 속도를 갖춘 카메라로,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자체 냉각 기술을 적용해 일정한 품질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내장된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를 통해 렌즈 보정 및 핫 픽셀 보정을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제공해 사용자가 이미지를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FTS1-8250M-ME는 다양한 파장대를 지원하는 LED 조명과 컨트롤러로, 고해상도 카메라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AC 80V240V 입력 전원을 지원하며, DC 5V24V 출력을 제공한다. 모든 채널을 동시 또는 개별 제어할 수 있으며, 방수 기능을 포함한
아이코어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하이엔드 머신비전 컴포넌트 및 모듈을 선보인다. 아이코어는 스마트 팩토리 및 머신비전 산업에서 점점 높아지는 정밀성과 생산성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스트로브 컨트롤러, 초고휘도 조명, 오토포커스 모듈, 리피터&스플리터 등 4종 제품 라인업을 개발·제조하고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독일, 미국,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아이코어는 iPulse 스트로브 컨트롤러(COM Series)와 iFocus 오토포커스 모듈(IT-AF-MBK2)을 출품한다. iPulse는 고속 전류 제어를 통해 외부 신호와 동기를 맞춰 조명을 제어하는 스트로브 컨트롤러로, 순간적으로 강한 조명을 켜는 오버드라이빙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체를 정지된 듯한 영상으로 구현해 생산성을 높이고 검출력을 향상시킨다. iPulse COM Series는 0.5㎲ 초고속 응답 속도와 최대 10배 오버드라이빙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범용성과 가격 효율성을 제공한다. iFocus는 고배율 광
풍림무약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Computar 브랜드의 산업용 렌즈 솔루션을 선보인다. Computar는 전 세계 산업용 렌즈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한 브랜드로, 고해상도, 소형화, 자동화, 넓은 파장 대역폭을 지원하는 렌즈 설계를 통해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대응하고 있다. 풍림무약은 CBC사의 Computar 브랜드 국내 정식 총판으로, FA 및 보안용(Security) 렌즈를 수입·판매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풍림무약은 Lens Connect Series와 MPX Series를 출품한다. Lens Connect Series는 USB 케이블을 통해 초점, 조리개, 줌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전동형 렌즈다. 고정초점뿐만 아니라 가변초점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제공하며, I2C 및 Serial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여러 산업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 광학계와 정밀한 스테핑 모터를 적용해 정밀한 조정과 우수한 반복성, 내구성을 갖추었으며,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으로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MPX Series는 소니 4세대 센서를 포함한 고해상도 카메라에 대응할 수 있도
진공 솔루션 업체 슈말츠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진공 기반 자동화 기술로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독일 소재 슈말츠는 진공 자동화·핸들링 원천기술을 보유했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자동차·전기전자·물류·식음료(F&B)·우주항공·목재 등 다양한 영역에 진공 기술을 전파해왔다. 지금까지 진공 자동화 부품, 진공 리프터·크레인, 로봇팔 종단장치(EOAT) 등을 개발·생산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핑거 그리퍼 ‘엠그립(mGrip)’을 출시하고, 비즈니스 순항을 알렸다. 지난 2005년 설립된 한국 지사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도 활발한 활약을 전개하고 있다. 슈말츠는 이번 AW 2025 전시장에
Q.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뉴로클은 AI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으로,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출신의 인재들과 LG, 한화 등 주요 IT 기업 출신의 우수 인력들이 모여 2019년 6월 창립했습니다. 뉴로클은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AI 딥러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사명 아래, 딥러닝 기술을 컴퓨터 비전 분야에 접목한 비전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로클의 독보적인 기술인 오토딥러닝 알고리즘은 모델 구조와 학습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딥러닝 전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고성능 딥러닝 모델을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아시아와 유럽을 포함한 해외 25개국에 진출했으며, 국내외 유수 기업에 딥러닝 비전 검사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뉴로클의 주요 솔루션은 뉴로티(Neuro-T)와 뉴로알(Neuro-R)입니다. 뉴로티는 오토딥러닝 알고리즘이 탑재된 AI 비전 검사 모델 학습/생성 소프트웨어로, 사용자는 원하는 성능의 딥러닝 검사 모델을 몇 번의 클릭만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Q.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씨크코리아㈜는 독일 SICK AG와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2002년부터 국내 자동화 시장에 센서를 중심으로 스마트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공정 자동화부터 물류 자동화까지 SICK는 센서 솔루션을 통해 산업을 혁신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공정 제어, 인명 사고 예방, 환경 보호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센서뿐만 아니라 머신 비전 시스템 및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에도 집중하여, 산업 현장에서 고객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있습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SICK는 산업용 광전 센서뿐만 아니라 안전 솔루션, LiDAR, 머신 비전 시스템 및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024년에는 세계 최초로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광전 센서 W10, AI 기술이 적용된 차세대 2D 비전 센서 Inspector 83x, 그리고 UWB(Ultra Wide-Band) 기반 실시간 위치 결정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UWB 실시간 위치 결정 솔루션은 산업 현장에 Anchor를 부착해
Q.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발루프는 1921년 독일 노이하우젠 아우프 덴 필덴에서 창립된 산업 자동화 솔루션의 글로벌 리더로, 현재 한국을 비롯한 유럽, 아시아, 북미, 남미 등 전 세계 68개국에 진출해 있습니다. 발루프는 산업용 센서 전문 기업으로, 고품질의 산업용 센서뿐만 아니라 RFID, 네트워크 및 비전 기술, 통합형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 30,000개 이상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IO-Link 기술의 선도 기업으로서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과 뛰어난 품질 관리로 시장에서 높은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발루프의 한국 지사인 발루프코리아는 2016년에 설립되어 수원 광교와 부산 영업소를 운영하며, 고객과의 접점을 강화하고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발루프는 고성능 산업용 센서, IO-Link 네트워크 솔루션, RFID 시스템 등을 중심으로 산업 자동화 전반을 지원하는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발루프의 산업용 센서는 포지션, 거리, 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