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일반뉴스

제조 체질 전환 ‘박차’ 日, ‘스마트 제조’ 향연 펼쳤다

URL복사

 

매뉴팩처링월드 후쿠오카 성료…제조업 DX 방법론 제시

글로벌 20개국 420개사 규모…참관객 1만5000여명 운집

 

이 시각 글로벌 제조업계의 핵심 미션은 ‘디지털 전환(DX)’이다. 수많은 분석과 지표에서도 이 트렌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DX는 데이터 기반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각종 체제 내 다양한 요소를 변혁시키는 차세대 방법론이다. 이는 현재 기술의 최대 화두인 ‘인공지능(AI)’의 대중화로도 연결된다.

 

특히 생산·제조 측면에서의 DX는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제조 라이프사이클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제품·설비·인프라 등 다양한 요소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글로벌 제조 시스템은 AI·빅데이터·IoT·로봇 등 차세대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화되고 있다. 이에 각국은 각기 다른 형태로 제조 DX를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을 전개하고 있다.

 

제조 강국으로 평가받는 일본은 전통적으로 정밀하고 세부화된 제조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강점을 기반으로 탄탄한 내수 시장과 세밀한 공정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 반면, 초고령화로 인한 노동 생산성 저하와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공급망 위기 등 여러 리스크에 직면한 상황이다. 이에 일본 제조업은 혁신을 위해 자신만의 시각으로 다양한 제조 DX 로드맵을 펼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효율적인 글로벌 비즈니스 공략 방안 확보, 녹색 전환(Green Transformation), 유연한 공급망 기반의 제조 경제 안보 구축 등을 자국 제조 산업 내 주요 의제로 채택했다. 이와 함께 제조 생태계 간 데이터 표준화 및 연계, 인재 양성 등을 세부 전략으로 규정하며 환율 리스크(FX Risk) 대응, 생산 비용 절감, 내수 시장 극대화 등 새로운 경쟁력을 도모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지난 12월 11일부터 13일까지, 일본 후쿠오카에서는 글로벌 제조업 축제인 ‘매뉴팩처링 월드 2024 후쿠오카(Manufacturing World 2024 Fukuoka, 이하 MWF 2024)’ 전시회가 열렸다. 매뉴팩처링 월드는 나고야·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일본 주요 도시 네 곳에서 열리는 제조 산업 연례 전시회다.

 

전시회 주최사 RX Japan은 각 도시의 특성에 맞춰 매년 다른 콘셉트로 매뉴팩처링 월드를 기획하고 있다. ‘자동차 도시’ 나고야, ‘일본 제조 대표 도시’ 도쿄, ‘전기전자·정밀기기 강자’ 오사카, ‘반도체·로봇 등 유망 기술 집합소’ 후쿠오카 등으로 테마를 지정해 참관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후쿠오카 전시회를 제외한 세 곳은 올해 평균 참관객 4만 명 이상을 유치하며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한편, 올해로 2회째를 맞은 MWF는 일본 제조업의 1년을 되돌아보고 다음 해를 준비하는 관점에서 일본 제조업 한 해의 ‘끝과 시작’을 상징하고 있다. 올해는 글로벌 20개국 420개사가 참가하며, 1만 5,000명 이상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MWF 2024는 설계·제조 솔루션, 제조 DX, 산업용 AI·IoT, 산업용 ODM·EMS, 기계 기술, 헬스케어·의료기기, 항공·우주기기, 공장 설비기기, 계측·검사·센서, 차세대 3D 프린팅 등 10가지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설계·제조 솔루션 존에서는 컴퓨터지원제조(CAM), 컴퓨터응용해석(CAE), 제품수명주기관리(PLM), 자재명세서(BOM),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확장현실(XR), 공급망관리(SCM), 도면 문서 관리, 3D 측정 등 기술이 총망라됐다. 제조 DX 존에서는 경영·거래·조달·구매·영업·마케팅·유지보수·예지보전 등 IT 관련 기술이 전시되었고, 산업용 AI·IoT 존에서는 AI·IoT 솔루션, 공장자동화(FA), 보안, 5G, 웨어러블 기기, 빅데이터 관련 기술, 에너지 솔루션 등이 다뤄졌다.

 

기계 기술 테마에서는 모션·모터·유공압·배관·가공·공구·기구 등이, 산업용 ODM·EMS에서는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EMS(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 조립, 품질 검사, 설비, 인증, 표준, 컨설팅 등 솔루션이 선보였다. 공장 설비기기 전시장에는 탈탄소 및 에너지 절감 솔루션, 물류 자재 관리, 안전, 방재 설비, 비품, 가공 기계, 공구 등이 전시되었다.

 

이에 따라 설계, 개발, 생산, 조달, IT, 정보통신, 품질 검사, 시설 관리 등 제조업계 관계자들이 각자의 시각으로 각 존을 탐색하며 차세대 제조 기술을 조망할 수 있었다.

 

또한 이번 전시회에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한성테크, 엔티에스솔루션, 센텍ENG, GCT, 반도체인, 엠케이폴렉스 등 국내 업체 및 기관 7곳이 참가했다. 한국디자인진흥원(KIDP) 또한 참관단을 구성하여 국내 제조 관계자들이 일본의 제조 기술을 관찰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