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일반뉴스

지난해 국내 총 전력소비량 50GWh 넘었다

URL복사

[첨단 헬로티]


2017년 국내 총 전력소비량은 50만 7.746GWh다. 2010년 40만GWh 돌파 후 8년 만에 50만GWh를 넘었다. 


지난 10년간(2007-2017년) 연평균 3%가 넘는 증가 추세다. 


전력소비 증가율은 2010년 10.1%로 정점을 찍은 후 2011년 4.8%, 2012년 2.5%, 2013년 1.8%, 2014년 0.6%로 둔화되어 왔는데, 다시 2015년 1.3%, 2016년 2.8%, 2017년에는 2.2% 상승했다.


지난해 용도별 전력사용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인 심야전력(4.5% 감소)을 제외하고 모든 부문에서 농사용 4.0%, 교육용 2.9%, 가로등 2.7%, 산업용 2.6%, 일반용 2.5%, 주택용 0.7% 순으로 증가했다. 


농사용은 극심한 가뭄 등 기후적인 영향으로 양수시설, 배수 펌프 사용이 증가했다. 교육용은 전기 기본요금 인하로 냉난방 수요 증가가 요인이다. 산업용은 반도체와 철강, 석유·화학 등 주요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수출 호황으로 전기 사용 등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주택용은 요금 누진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다른 부문에 비해 0.7%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국내 용도별 전력사용 구성비는 산업용 56.3%, 일반(상업)용 21.9%, 주택용 13.5%, 농사용 3.4%, 심야 2.5%, 교육용 1.6%, 가로등 0.7% 순이다. 


우리나라 전체 전력 소비는 산업 및 일반(상업)부문에서 78.2%를 점유하고 있다. 2016년 대비 지난해 전력 소비 구성비 변화는 산업용은 0.2 증가한 반면, 주택용, 심야는 각각 0.2% 하락하였다. 농사용은 0.1% 증가하고, 일반용, 교육용, 가로등은 변동이 없었다.


2008년 대비 10년간 국내 전력사용량은 31.9% 증가하였으나, 농사용(94.5%), 교육용(43.8%) 및 산업용(40.6%)은 40% 넘게 증가했다.


일반(상업)용은 28.2%, 주택용은 18.4%로 전체 증가율보다 하향했다. 교육부문 용도별 비중은 1.6%(2017년)로 미비하지만, 빠른 전기사용 증가는 타 부문에 비해 건물 에너지효율화가 시급함을 암시한다. 


2008년 대비 지난해 용도별 비중은 산업용은 3.5%, 농사용은 1.1%, 교육용은 0.1% 증가했다. 가로등 비중은 0.7%로 10년간 변동이 없었다. 반면에 심야용 비중은 2008년 5.0%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5% 반토막이 났다. 


주택용은 1.5%, 일반용은 0.6% 하락하였다. 농사용은 싼 전기요금으로 인해 석유에서 전력으로 대체가 심화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농사용 전력사용은 매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전력 판매량은 2.2% 증가했으나, 평균 판매단가 하락으로 전력판매 수입은 55조 6,140억원으로 2016년에 비해 0.6% 증가에 그쳤다. 주택용은 누진제 개편 등의 요인으로 2016년보다 전력판매 수입이 10.1% 크게 줄었고, 교육용도 기본요금 할인에 따라 전력 소비는 2.9% 증가하였으나, 전력 판매수입은 4.9% 줄었다. 하지만 산업용은 전년보다 전력 소비는 0.2% 증가하였으나, 전력 판매수입은 2.9% 늘었다. 평균 판매단가는 0.3원/kWh 상승했지만, 전력 판매수입 비중은 1.2% 늘었다.


지난해 전력 판매단가는 109.5원/kWh로, 2016년 전력 판매단가(111.2원/kWh)보다 1.6% 하락했다.


주택용의 경우 평균 판매단가가 누진요금 개선 및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도입의 영향으로 2016년 121.5원/kWh에서 108.5원/kWh으로 10.7% 하락했다. 교육용도 2016년 111.5원/kWh에서 103.1원/kWh으로 7.5% 하락하였다. 반면에 산업용은 2016년 107.1원/kWh에서 107.4원/kWh으로 0.3% 늘었다.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회장 박태윤)는 경제성장기에 수출을 장려하기 위한 산업용 전기요금 정책이 우리니라 경제성장을 견인하였다는 것에 대하여 동감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와 그에 파생하여 발생하는 미세먼지로 자연 생태계와 국민들이 고통을 호소있다. 이제 산업용 전기요금에 대하여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