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시스코 시스템즈(이하 시스코)가 한층 향상된 시스코 웹엑스(Webex)를 공개했다. 먼저 시스코는 차세대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협업을 위한 신제품 ‘웹엑스 홀로그램(Webex Hologram)’을 공개했다. 웹엑스 홀로그램은 증강현실(AR)을 지원하는 헤드셋을 활용해 풍부한 웹엑스 미팅 기능과 몰입감 있는 3D 홀로그램을 결합하는 업계 유일의 실시간 미팅 솔루션이다. 또한 시스코는 뱅앤올룹슨(Bang & Olufsen)과 협력 개발한 비즈니스용 헤드셋 ‘뱅앤올룹슨 시스코 980’도 함께 공개했다. 뱅앤올룹슨의 감각적인 디자인과 강력한 사운드에 시스코의 미팅 컨트롤을 비롯한 어댑티브 액티브 노이즈 캔슬레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해 보다 안정적인 사용성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포터블한 형태의 웹엑스 데스크 미니(Webex Desk Mini)를 공개해 장소에 관계없이 협업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웹엑스 스위트(Webex Suite)의 새로운 미팅 및 메시지 기능으로 사용자는 어디서나 동등한 참여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웹엑스 디바이스 내 줌(Zoom),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S Teams) 및 구글 미트(Google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시스코 시스템즈(이하 시스코)가 ‘중소기업 사이버 보안: 아시아 태평양 디지털 방어 보고서(Cybersecurity for SMBs: Asia Pacific Businesses Prepare for Digital Defense)’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아태지역 14개국 3,700명 이상의 기업 사이버 보안을 담당하는 비즈니스 및 IT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 아태지역 중소기업들이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겪으며 사이버 보안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이는 보안 투자 증가로 이어졌다.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중요 데이터 유출 등 실질적 피해 나타나 보고서에 따르면 56%의 아태지역 중소기업은 최근 1년 내 사이버 공격을 겪었다고 답했다. 이에 비해 한국은 33%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사이버 보안 사고가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태지역에서 발견된 주요 공격 유형으로는 멀웨어 85%, 피싱 70% 순으로 조사됐다. 사이버 보안 사고로 이한 데이터 유출 피해도 발생했는데, 유출된 데이터로 고객정보(75%), 내부 이메일(62%), 직원 정보(61%), 지적재산권(61%), 재무 정보
[첨단 헬로티] 시스코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 중인 ‘CES 2018’에서 현대자동차와의 커넥티드 카 프로젝트 기술 개발 진전 사항을 9일 발표했다. 양사가 개발한 차량 네트워크는 2019년형 현대자동차 프리미엄 라인에서 구현될 예정이다. 시스코와 현대자동차는 지난 2016년, 혁신적인 차량 내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기술 개발 협력을 체결한 바 있다. 양사는 커넥티드 카를 위한 솔루션 구축과 혁신을 위해 유연하고 안전한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며, 네트워크와 자동차 분야에서 각각의 전문성을 결합해 자동차 업계의 파괴적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이번 CES 2018에서 양사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혁신을 이끌 새로운 커넥티드 카 플랫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은 차량 내 모든 데이터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설정이 쉽고 안전하며, 새로운 서비스 설계 및 구축을 유연하게 해준다. 차량용 OTA(Over The Air,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등록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를 지원하며 새로운 기능을 적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여준다. 양사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Software Defined Vehicl
[첨단 헬로티] 시스코코리아가 시스코 UCS(Cisco Unified Computing System) 및 하이퍼플렉스 시스템(HyperFlex Systems)을 위한 통합 관리 및 자동화 플랫폼 ‘(Cisco Intersight)’를 발표했다. 시스코 인터사이트는 통합 시스템 관리 서비스(Sys시스코 인터사이트tem Management as-a-service) 모델로, 자사 내 분산된 개별 인프라 관리로 발생되는 운영 부하를 경감시키고 복잡한 데이터센터 운영을 간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애널리틱스, 자동화 기능을 통하여 완벽한 시스템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제공한다. ▲ 시스코 코리아는 11월 17일 '시스코 인터사이트'를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시스코 인터사이트는 새로운 기술 전문성, 프로세스, 툴(tool)을 활용해 이 같은 격차를 줄이도록 지원한다. 먼저 기술 전문성 부분에서는 머신러닝, 긴밀한 시스코 TAC(Technical Assistance Center) 서비스와 통합, 시스코 및 UCS 커뮤니티에서 확보된 통찰력들로 서비스 권장사항 및 모범 사례를 제시한다. 두 번째 프로세스 부분에서는 전세계적으로 UCS 서비스
[헬로티] 시스코 코리아는 국내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본격적으로 양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주요 사업 분야인 콜라보레이션(협업), 보안, 데이터센터,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영역의 개발자 커뮤니티를 조직하고 오픈 API 교육과 해커톤을 개최하는 등 개발자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시스코 코리아는 올해 하반기에 시작한 콜라보레이션 커뮤니티 활동을 필두로, 내년 상반기에는 보안,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기술 분야까지 규모와 대상을 확대, 온·오프라인 API 교육과 토론을 정기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개발자들에게는 ACI·SDN, 협업, 보안, IoT(사물인터넷) 분야의 오픈 API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코드 샘플 등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툴이 무료로 제공된다. 또한 고객과 파트너들이 시스코가 개방한 API를 활용하여 시스코 제품과 연동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시스코의 API 교육은 콜라보레이션(협업), 보안,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분야에 특화된 커리큘럼뿐 아니라, 이 기술들 사이에서 경계없이 유기적으로 연동해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통합 커리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