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로봇 밀도를 자랑하는 국가로 자리 잡았다.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세계 로보틱스 2024(World Robotics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은 직원 10,000명당 1,012대의 로봇을 보유하며 싱가포르(770대)와 중국(470대)를 앞질렀다. IFR 회장 타카유키 이토는 “한국은 강력한 자동차 산업과 전자제품 부문 덕분에 산업용 로봇 사용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로봇 밀도는 제조업 자동화 수준을 가늠할 중요한 지표”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로봇 밀도는 2018년 이후 연평균 5%씩 꾸준히 증가해 왔다. 2023년에는 420만 대의 차량과 상용차를 생산하며 자동차 생산량 세계 5위를 기록했다. 또한 LCD와 메모리칩 제조에서 시장의 선두를 지키며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가 2위에 오른 이유는 제조업 종사자 수가 적은 소규모 국가이기에 적은 운영 재고로도 높은 로봇 밀도를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은 2019년 상위 10위권에 진입한 이후 4년 만에 로봇 밀도를 2배로 증가시키며 3위를 차지했다. 2023년 기준 중국의 로봇 밀도는 470대에 달한다. 독일
국제로봇연맹(IFR)이 발간한 ‘World Robotics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공장에서 운영 중인 산업용 로봇 수가 4,281,585대에 이르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수치로, 연간 설치 대수는 3년 연속 50만 대를 초과했다. 전 세계적으로 산업용 로봇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아시아가 설치 대수를 주도하면서 유럽과 미주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아시아 시장, 중국 독주·한국은 정체 세계 최대의 산업용 로봇 시장인 중국은 2023년 276,288대의 로봇을 설치해 전 세계 설치 대수의 절반을 차지하며 독보적인 1위 자리를 유지했다. 특히 자국 로봇 제조업체의 점유율이 2022년 28%에서 2023년 47%로 크게 상승하며 내수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반면 한국은 31,444대를 설치하여 세계 4위에 그쳤으며, 전년 대비 1%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일본은 46,106대를 설치해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을 유지했으나, 전년 대비 9% 감소한 수치를 기록하며 정체 상태에 머물렀다. 특히, 인도가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인도는 8,510대를 설치해 전년 대비 59% 증가하며 아시아에서 가
일본은 전 세계 공급량의 45%를 공급하는 세계 최고의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가 포진하고 있다. 최근 몇년 동안 일본의 로봇 공급업체는 생산 능력을 크게 늘렸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일본의 수출을 보면 2020년에는 전년 대비 78% 증가한 136,069대의 산업용 로봇이 출하됐다. 국제로봇연맹 회장인 Milton Guerry는 "일본 산업용 로봇의 수출은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6%의 성장률을 보였다"며 “동시에 로봇 수입은 항상 극도로 낮았다. 2020년에는 일본 설비의 2%만 수입되었다. 일본 국내 로봇 시장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다”라고 말했다. 일본 로봇 및 자동화 기술 수출의 36%가 중국으로 향했다. 다른 글로벌 로봇 공급업체와 마찬가지로 일본 제조업체도 중국 공장에서 직접 중국 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IFR에 따르면,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시장에 있는 이러한 공장은 2020년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었을 때 주요 이점임이 입증되었다. 일본 공급업체는 중국의 위기 이후 2020년 2분기에 시작되어 하반기에 탄력을 받은 중국 붐으로 종합적인 혜택을 볼 수 있었다. 시장 점유율이 22%인 미국은 일본의 로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로봇 자동화 AI 추천 서비스 ‘마로솔’을 개발한 빅웨이브로보틱스가 카카오인베스트먼트와 KB인베스먼트(이하 KB)로부터 프리 시리즈 A(Pre Series A) 15억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일 밝혔다. 마로솔은 로봇 자동화를 희망하는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을 효과적으로 매칭해주는 국내 유일의 로봇 자동화 온라인 플랫폼이다. 이번 투자를 계기로 마로솔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검증된 로봇과 패키지 솔루션에 대한 로봇 전용 금융서비스 출시와 향후 중고로봇 시장 형성에 핵심이 될 RaaS (Robot-as-a-Service)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국내 유수 벤처캐피탈사의 국내 최초, 유일의 로봇 플랫폼에 대한 선도적인 투자는 가파르게 성장하는 로봇시장에 대한 투자 열기와 그 동안 하드웨어에 치중되었던 로봇 생태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파급력을 높이 평가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카카오인베스트먼트의 전수안 수석은 “마로솔은 출시 1년도 안 되어 로봇 업계 내 필수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정보비대칭 문제 해소는 물론 매출성장과 수익화까지 가능한 비즈니스모델의 우수성과 팀의 역량을 높이 평가했다”라고 말했다. KB의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World Robotics 2021 – 서비스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전문 서비스 로봇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67억 달러(샘플 방식)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2020년에는 12% 증가했다. 동시에, 새로운 소비자 서비스 로봇의 매출액은 44억 달러로 16% 증가했다고 보고서는 발표했다. 국제로봇연맹의 밀턴 게리 회장은 “서비스 로봇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시장 잠재력을 입증하는 성공적인 경로를 계속하고 있다”며 “지난해 전문 서비스 로봇의 판매가 13만 1,800대로 41%나 증가했다”고 말했다. 전문 서비스 로봇에 대한 5가지 상위 애플리케이션 트렌드는 글로벌 팬데믹의 추가 수요에 의해 주도됐다. 3대 중 1대는 제품이나 화물 운송용으로 제작됐다. 자율이동로봇(AMR) 및 배송 로봇의 매출은 11% 증가하여 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판매되는 대부분의 장치들은 생산 및 창고용으로 실내 환경에서 작동된다. 전문 청소 로봇의 수요는 92% 증가한 34,400대가 팔렸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위생 요구사항 증가에 대응하여, 50개 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The World Robotics 2021-산업용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공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산업용 로봇은 10% 증가한 3백만 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 판매 또한 글로벌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0.5% 소폭 증가했으며, 2020년에는 384,000대가 출하됐다. 이러한 추세는 중국의 긍정적인 시장 발전에 의해 주도됐다. 국제로봇연맹의 밀턴 게리 회장은 “2020년 2분기 중국 제조업의 수주와 생산이 급증하기 시작했고 북미 경제는 하반기부터 회복되기 시작했으며 유럽도 조금 뒤를 따랐다”고 말했다. 밀턴 게리 회장은 또 “전 세계 로봇 설치는 2021년에 13% 증가한 435,000대로 크게 반등하여 2018년에 달성한 기록 수준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고했다. 지역적으로 보면 북미는 17% 증가한 43,000대, 유럽은 8% 증가한 73,000대, 아시아는 15% 증가한 300,000대가 예상되며, 거의 모든 동남아 시장은 2021년에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유럽 및 미주 아시아는 산업용 로봇의 세계 최대 시장이다. 2020년에 새로 배치된 모든 로봇의 71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2021년 산업 로봇'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내 공장에서 가동 중인 산업 로봇의 수가 6% 상승한 343,000여 대라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2020년 판매량은 7% 감소해 설치된 로봇은 30,500대였으나 전망은 긍정적이라고 소개했다. 또, 2021년과 2022년에 한국 로봇 시장은 성장할 걸로 예상했다. 국제로봇연맹 회장 밀튼 궤리는 “연간 설치 물량을 보면 한국은 일본, 중국, 미국 다음으로 4번째로 큰 로봇 시장”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한국의 수출 중심의 경제는 지금까지 팬데믹 상황에 놀랍도록 잘 대처해오고 있으며 2020년의 GDP 하락률은 단지 1%였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4% 이상, 3% 이상의 강력한 GDP 성장이 예측된다”라고 전했다. 보고서는 또, 중국은 한국의 중간재 주요 수입국으로 중국의 상승세는 한국 경제에 큰 수혜가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전자 제품 업계와 반도체 업계의 투자가 크게 증가했으며 2021년 5월에 시작한 투자 지원 프로그램은 기계류와 설비에 대한 투자를 더욱 증대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소개했다. 대표적인 분야로, 전자 제품 업계와 자동차 부품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