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이더넷 IP4.0과 IIoT EtherNet/IP™는 현재 검증된 이산형 프로세스 자동화 네트워크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객체 지향적이고, 멀티벤더들의 상호운용성을 보유한 기술이라고 했다. EtherNet/IP™는 표준 이더넷을 기반으로 한 리소스이다. 고도로 표준화되어 IT 친화적으로 진화 중인 프로토콜이다. 자동화는 물론 수정되지 않은 IEEE의 802.3 프로토콜을 쓴다고 했다. EtherNet/IP™는 최근 가장 까다롭다는 제어계측 응용 프로그램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재설계되었으며 프로세스계장까지도 가능한 프로토콜로 진화 중이다. TCP/IP 및 상용적 기성의 하드웨어를 활용하고 HTTP, FTP, SNMP 및 DHCP를 현재 진행 중인 OPC UA Companion 사양을 통해 MQTT를 플랫폼으로 하고, 공장현장에서 클라우드로 연결을 가능케 한 가장 진보된 프로토콜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 EtherNet/IP™는 막중세로 전 세계에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고, PROFINET과 공급량 측면에서는 거의 동일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IMT-2000 3GPP-OPC UA 동반규격 CIP 예정 CIP 디바이스와 OPC UA 디바이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힐셔 게이트웨이 포트폴리오의 장점은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변환의 수가 많다는 것이다. 이는 모든 자동화 부품이나 전체 기계까지도 산업용 네트워크로 통합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추가 발생되는 프로토콜 변경의 적용을 위해서, 펌웨어 변경만으로 게이트웨이를 원하는 프로토콜 변환용으로 바꿀 수 있고 이를 통해 재고 유지비용 절감이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구성과 조합의 게이트웨이가 대량으로 필요한 경우 고객 맞춤형 구성으로 해당 게이트웨이를 제공할 수 있다. 힐셔의 주니어 제품 관리자이며 산업용 게이트웨이 포트폴리오 유지 관리와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바스티안 오토는 “힐셔는 이미 완성형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 기술 동향과 산업용 통신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제품에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원이 필요한 경우, 힐셔는 대부분의 문제에 대한 가능한 솔루션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Q. 최근 설비의 스마트화에 대한 투자 의지가 강해지면서 게이트웨이의 다양한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 수요 전망을 어떻게 보나. A.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는 다수의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들이 도입되었고 기술 변화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플루크네트웍스가 ‘처음 만나는 산업용 이더넷 케이블 테스트’ 세 번째 시간으로 PoE Cable을 소개하는 웨비나를 연다. 날로 비중이 늘어가는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은 인터넷 케이블 하나에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보내는 기술로, 일반 Twisted Cable에 비해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높다. 이더넷의 글로벌 컨소시엄인 Ethernet Alliance(이더넷 얼라이언스)에서는 최근 PoE Gen2 (2세대) 인증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그러나 현재 제조사마다 다른 방식의 PoE 기술을 적용하고 있어, 서로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PoE는 최근 ICT 분야를 넘어서 IIoT의 분야에도 널리 적용 중이지만, PoE를 위한 케이블에서는 생각보다 많은 장애가 발견되고 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문건호 플루크네트웍스 한국 총괄 매니저가 발표자로 나서, PoE에 대한 이론을 비롯해 안전하고 다운타임 없는 PoE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블 테스트 방법 등을 공유한다. 본 웨비나는 오는 8일(목)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매뉴팩처링티비(MTV)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된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에지(edge)에서 클라우드까지 장거리 이더넷 연결을 제공하고 실시간 설정과 보다 적은 에너지 소비 및 더 많은 자산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솔루션을 출시하여 ADI Chronous 산업용 이더넷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고 밝혔다. ADI의 새로운 Chronous 제품은 10BASE-T1L 물리 계층 이더넷 표준을 지원하여, 공정 및 건물 설비 전반에 걸쳐 원격지와 위험지역의 에지 노드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전에는 활용할 수 없었던 이들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활하게 액세스 하고 자산 상태, 원자재 사용량, 공정 매개 변수와 같은 요인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제 보다 깔끔한 제조가 가능해졌다. 아나로그디바이스의 자동화 및 에너지 사업을 총괄하는 마크 배리 제너럴 매니저는 “많은 공정 플랜트와 건물들이 서비스 담당자가 로컬에서 수동으로 계속해서 작업에 관여해야 하고 기업 차원에서의 자산 최적화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10BASE-T1L 이더넷 표준을 준수하는 산업용 장거리 이더넷(LRE)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우리는
[헬로티] 플루크네트웍스가 매뉴팩처링티비(이하 MTV)와 오는 3월 30일(화) 오전 10시부터 ‘광 케이블의 지식과 올바른 테스트 방법’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웨비나를 개최한다.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 자동화 기술은 비용을 절감하고 상호 연결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이더넷의 Layer 1(물리 계층)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산업용 이더넷은 열악한 환경과 일반 IT환경과 다른 성격을 가진다. 올바른 케이블 지식과 게측기를 사용해야만 이더넷 기술을 올바르게 구축할 수 있다. 이에 플루크는 ‘이더넷 케이블 테스트’로 이용자들에게 올바른 케이블의 지식과 사용 방법을 전달하는 웨비나를 진행한다. 플루크는 작년 11월에 첫 번째로 진행했던 ‘산업용 이더넷 케이블 이론과 설치 환경, 테스트 방법’에 이어 오는 30일에는 광 케이블의 지식과 올바른 테스트 방법을 전달한다. 이번 온라인 웨비나에서는 ▲광 케이블의 이론 ▲산업 자동화 시장의 동향·산업용 이더넷의 필요성 ▲올바른 광 케이블 테스트 방법 ▲광 케이블 장애 해결 데모 시연의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문건호 플루크네트웍스 한국
[헬로티] NXP는 CC-Link IE TSN(Time-Sensitive Networking)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산업 자동화를 위한 통합 TSN 솔루션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NXP_CC-Link TSN 이번 솔루션은 TSN과 기가비트 이더넷 대역폭을 결합해 산업용 이더넷을 위한 시간 공유 통신, 성능, 보안 및 기능을 강화했다. NXP는 LS1028A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대한 CC-Link IE TSN 인증 지원과 i.MX RT1170 크로스오버 MCU를 통해, NXP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사이버 커넥티드 팩토리의 차세대 통신을 가속화하는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디바이스부터 CC-Link IE TSN 네트워크용 스위치까지 종합적인 TSN 솔루션을 제공해, NXP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강화 및 통합해 하이퍼 커넥티드 산업용 IoT로의 전환에 필요한 다양한 산업 네트워크 간의 상호 운용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NXP는 포트 인더스트리얼 오토메이션 GmbH(port industrial automation GmbH)와 협력해 LS1028A와 i.MX RT1170 크로스오버 MCU에서 완전한 CC Link IE
[헬로티] 프로세스, 플랜트 엔지니어, 테크니션 또는 전기 기술자든 관계없이 오늘날 산업용 이더넷(IE)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여야 한다. 조만간 이 네트워킹 기술의 변화에 정통하지 않은 사람들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산업용 이더넷을 다룰 때 직면할 수 있는 최악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공장 가동 중단으로 이어지기 전에 이를 찾아서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란다. 1. 사무실 용 커넥터, 케이블 및 네트워크 장비 사용. 대부분의 일반용 및 오피스 등급 장비가 산업용 이더넷에도 사용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비 산업용 장비는 공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진동, 습기, 전기 간섭 (EMI), 화학 물질 등에 대해 버티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현명한 사람들은 이것을 알고 있지만 때로는 문제가 발생되면 제품을 교체하려는 차선책을 염두하고 일반 장비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 문제가 발생된 이후에는 생산이 중단되는 중요한 문제를 만나게 되기 때문에, 산업용 이더넷에 비산업용 장비를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 부주의 한 케이블 포설 경로. 일부 케이블은 최악의 MICE(Mechanical, Ingress, Climatic, Electromagn
[헬로티] 산업용 오픈 네트워크 CC-Link Family의 보급 활동을 전개하는 CC-Link협회(이하 CLPA)는 아날로그 디바이시스가 CLPA 간사회 멤버로 참여하여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것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아날로그 디바이시스는 CLPA의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CC-Link Family의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규모의 사업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아날로그 디바이시스는 제조업의 핵심이 되는 아시아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에서 한층 더 판매 확대를 목적으로 CC-Link IE TSN을 중심으로 한 프로모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나갈 예정이다. 아날로그 디바이시스는 아날로그 집적회로(IC), mixed signal IC,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싱 IC 및 고효율·고집적 전원 솔루션 IC의 설계, 제조, 판매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FA 업계에서의 이더넷 보급을 배경으로 산업용 이더넷을 위한 멀티 프로토콜 스위치 IC를 시장에 전개하여 FA 업계에 있어서 글로벌하게 그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아날로그 디바이시스는 향후 ‘CC-Link IE TSN’ 대응 산업용 이
[헬로티] 플루크 네트웍스는 MicroScanner PoE에 대한 이더넷 얼라이언스(Ethernet Alliance) Gen2 PoE 인증 프로그램 테스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이는 IEEE 802.3 Power over Ethernet (PoE) 상호 운용성을 인증한 필드 테스터라고 발표했다. MicroScanner PoE는 새로운 고전력 IEEE-802.3bt 표준을 지원하는 장비를 포함하여 PoE장비의 설치 및 장애 해결 속도를 높여준다. ▲ MicroScanner PoE는 IEEE 802.3 PoE 상호 운용성을 인증한 필드 테스터로 PoE, 케이블 연결 속성을 확인하여 PoE 설치를 쉽게 해준다. 이더넷 얼라이언스의 피터 존스 회장은 “이더넷 얼라이언스 PoE 인증의 엄격한 테스트 실행은 PoE 장비가 IEEE PoE 표준을 엄격하게 준수한다는 것을 입증한다”며, “이더넷 얼라이언스 PoE 인증 제품을 구매하는 모든 고객들은 손쉽게 설치하고 쉬운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플루크 네트웍스 한국지사의 문건호 지사장은 “일반 IT 시장과 산업용 이더넷, IIoT 시장에서 날로
[헬로티] ODVA는 향상된 네트워크 진단, 장치의 대역폭 및 리소스 요구사항을 낮추는 새로운 방법 및 IIoT 빌딩 블록 인프라 추가를 제공하기 위해 EtherNet/IP 사양의 최신 개선사항을 발표 했다. ODVA의 사장 겸 전무 이사인 알 베이도운 박사는“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새로운 툴을 추가하고 EtherNet/IP를 가장 간단한 장치에 추가하여 장애물을 제거하고 LLDP로 TSN을 준비함으로써 산업 통신 분야에서 지속적인 리더십을 확보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베이도운 박사는 또 “사용자가 NE107 표준에 따라 장치 진단을 얻을 수 있도록 EtherNet/IP의 최근 개선사항 외에도 ODVA가 전반적인 시스템 진단을 제공하기 위해 EtherNet/IP를 더욱 향상시켰다”고 덧붙였다. 추가 EtherNet/IP 시스템 진단을 통해 연결 수, 리소스 사용량, 이더넷 오류 수, 누락된 패킷 및 전체 CPU 사용률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객체에 의해 정의 된 진단 연결 지점에 대해 일반적이고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 진단 어셈블리 정의와 새로운 통계를 통해 네트워크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헬로티] 플루크 네트웍스는 MicroScanner PoE가 Ethernet Alliance Gen2 PoE 인증 프로그램 테스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IEEE 802.3 Power over Ethernet (PoE) 상호운용성을 인증한 업계 최초의 필드 테스터라고 발표했다. MicroScanner PoE는 새로운 고전력 IEEE-802.3bt 표준을 지원하는 장비를 포함하여 PoE장비의 설치 및 장애 해결 속도를 높여준다. Ethernet Alliance 회장인 Peter Jones는 “Ethernet Alliance PoE 인증의 엄격한 테스트 실행은 PoE 장비가 IEEE PoE 표준을 엄격하게 준수한다는 것을 입증한다”며 “Ethernet Alliance PoE 인증 제품을 구매하는 모든 고객들은 손쉽게 설치하고 쉬운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플루크 네트웍스 Ethernet Alliance 담당 엔지니어인 Teo Brilhart는 “MicroScanner PoE가 표준 준수 소스 및 비 준수 소스 모두를 테스트하고 문제 해결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플루크 네트웍스
[첨단 헬로티] FieldComm Group, ODVA 및 PI는 산업용 이더넷을 위한 고급 물리 계층(APL)에 공동 업데이트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에머슨이 업계 파트너로서 APL 프로젝트에 합류했다고 발표했다. 산업 이외에 파트너인 APL 프로젝트 멤버에는 3개의 주요 표준 개발 조직인 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PI), FieldComm Group(FCG) 및 ODVA가 포함된다. 에머슨은 11 개의 다른 산업 파트너와 함께 산업용 이더넷을 위한 고급 물리 계층 개발 프로젝트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합류를 결정했다. 계측기의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에 사용 적합한 Ethernet-APL은 최근 개발에 대한 중요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먼저, Ethernet-APL의 기반이 되고 IEEE 10d-T1L(10BASE-T1L) 표준(옵션 전원 공급 장치가 있는 단일 트위스트 페어 이더넷에서 10Mbit/s를 정의 함)이 2019년 11 월 7 일 목요일 IEEE 표준으로 승인됐다. 앞으로 몇 달 안에 표준이 발표될 예정이다. 장거리 단일 페어 이더넷을위한 IEEE 802.3 표준의 향상된 기능은 2020년 PI, FC
[첨단 헬로티]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비용에 최적화된 산업용 이더넷 통신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시타라(Sitara) AMIC SoC 제품군을 출시했다. AMIC 110 SoC 멀티 프로토콜 산업용 통신 프로세서로, 10개 이상의 산업용 이더넷과 필드버스 통신 표준을 지원한다. 또한 업계에서 이미 검증된 시타라 프로세서 플랫폼을 기반으로 유연한 주변 장치, 산업용 온도 범위, 통합된 소프트웨어 지원을 제공한다. TI의 시타라 AMIC110 SoC를 이용하여 산업용 이더넷 기능을 추가하면 기존 모터 드라이브와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설계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으로 쉽게 변경 개발할 수 있다. 특히, 단일 산업용 이더넷 표준을 지원하는 ASIC과 달리 AMIC110 SoC의 프로그래머블 실시간 유닛(PRU-ICSS)은 EtherCAT, Profinet, Ethernet/IP, PROFIBUS 마스터/슬레이브, HSR, PRP, 파워링크, SERCOS III, CANopen 등 매우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더 많은 표준들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시타라 AMIC110 SoC는 커넥티드 드라이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TI의 C2000
바이드뮬러코리아는 3월 29일부터 31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utomation World 2017에 참가하여 단자대, 파워서플라이, 릴레이, 서지보호기, 산업용 이더넷, 컨버터, 사각커넥터, PCB 단자대 및 커넥터, 전문공구 등 광범위한 산업용 솔루션을 전시했다. 바이드뮬러는 전력, 신호 및 데이터 관련 전문 기업으로서 전세계의 고객과 파트너들에게 제품,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객의 개별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하며 효율적인 솔루션을 끊임없이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또한 바이드뮬러는 고객과 함께 Industrial Connectivity의 표준을 만들어가고 있으며, 자체 제조공장을 통해 생산한 제품을 전세계 80여개 국가에 판매하고 있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3월 29일부터 3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오토메이션 월드 2017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된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마트공장엑스포 2017’도 동시 개최되며, 스마트공장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할
3월 9일부터 11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Automation World 2016에 참가하는 바이드뮬러는 단자대, 파워서플라이, 릴레이, 서지보호기, 산업용 이더넷, 컨버터, 사각커넥터, PCB 단자대 및 커넥터, 정션박스, 전문공구, 마킹 등 광범위한 산업용 솔루션을 선보인다. 바이드뮬러는 전력, 신호 및 데이터 관련 전문기업으로, 전 세계의 고객과 파트너들에게 제품,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고객의 개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하며 효율적인 솔루션을 끊임없이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바이드뮬러는 자체 제조공장을 통해 생산한 제품을 전세계 80여개 국가에 판매하고 있다. 바이드뮬러 한국지사는 1995년 처음 부산지사 설립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국내 조선,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 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작기계 등의 산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으며, 탄탄한 인적자원과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서비스와 우수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