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프로토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각종 3D프린터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난 5월 출시된 스트라타시스의 3D프린터 F770은 3D프린팅에서 가장 일반적인 FDM 방식의 프린터로, 1000x610 x610mm의 큰 트레이 사이즈가 특징이다. 관계자는 1m의 대형 부품을 기존 3D프린터보다 훨씬 저렴하게 출력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밝혔다. 같은 달 출시된 Origin One은 광중합 방식의 3D프린터다. 하단부에 위치한 넓직한 판에 액체 재료를 부어놓고 아래에서부터 빛을 쏴 경화시키면 위에 있는 판이 내려와 들어올리는 작업을 반복, 위에서부터 출력물이 거꾸로 만들어져 내려오는 방식이다. Origin One은 한 시간에 100mm까지 출력이 가능하고 기존의 금형 사출 공정처럼 열변형온도가 높고 고강도·고탄성의 제품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관계자는 “프로토텍은 3D프린팅 업계에서 최초로 항공 인증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프로토텍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프로토텍은 SF+AW 2021에서 스트라타시스 F123 시리즈, 스트라타시스 H350, 아텍 에바를 선보인다. 프로토텍(대표 신영문)은 3D프린팅 토탈솔루션 Stratasys의 국내 최대 파트너사다. FDM, PolyJet, SAF, P3, Metal 방식의 3D프린터 판매와 기술지원을 책임지며 초소형부터 광대역 3D스캐너와 역설계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 F123 시리즈는 강력한 FDM 기술과 디자인 투 프린트(Design-to-print)기반의 GrabCAD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다재다능하고 스마트한 솔루션이다. 컨셉 검증, 설계 검증, 성능 테스트를 위해 매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시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최소한의 셋업, 자동 캘리브레이션, 빠르고 쉬운 재료 교체 등의 특장점으로 누구나 손쉽게, 사무실 내에서 사용 가능하며 ABS, PLA, ASA, PC-ABS, TPU 92A 5가지 재료옵
[헬로티] 한 해 우리나라에서만 유리창 충돌로 8백만 마리의 새들이 죽어간다. 인간에겐 아름답고 유용한 건축소재지만, 새에게는 치명적인 죽음의 울타리인 것이다. ▲국내에서만 유리창 충돌로 죽는 새의 수는 1년에 8백만 마리에 달한다. 유리창을 인식하지 못하는 새들은 유리창에 비친 식생 또한 실질적인 현실의 공간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하늘을 나는 새의 속도는 25km~70km, 날기 위해 뼈와 두개골이 연약하게 진화해온 새들이 이런 속도로 유리창과 충돌한다면 마치 계란을 바위에 힘차게 던지는 충격과 같을 것이다. 그렇다면 하루 2만 마리 이상 죽어가는 유리창 충돌사고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는 없을까. 이번 편 ‘조류 충돌, 유리창 살해사건’ 환경스페셜 제작진은 그 물음에 답을 얻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찾아 나선다. 국립생태원 김용준 실장은 틈만 나면 도로와 아파트의 방음벽을 찾는다. 죽은 새를 관찰하고 갑작스러운 죽음으로부터 구할 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찾아간 익산 23번 국도. 이번에도 어김없이 죽음의 행렬이 이어진다. 참매와 박새, 노랑턱멧새. 사고만 아니었다면 지금쯤 하늘을 마음껏 날고 있을 새들이다. 이
[헬로티] 프로토텍이 ‘금속 3D프린팅의 활용사례와 산업 분야 경쟁력 강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2월 25일 웨비나를 진행한다. ▲출처 : 프로토텍 금속 3D프린팅은 거의 모든 산업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의심할 여지 없이 3D프린팅은 4차 산업 혁명을 이끌 중요 산업 기술 중 하나다. 특히 최근에는 항공, 국방, 의료 분야에서도 활발한 성과를 보인다. 산업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에서도 금속3D프린팅은 맞춤 제작 또는 기존 부품의 고효율화, 경량화, 내구도 향상 등 많은 성과를 내고 있어 전망이 주목된다. 이번 금속 3D프린팅 웨비나를 진행하는 프로토텍은 국내 3D프린터 도입 초기부터 함께 성장해 온 3D프린터 토탈 솔루션 공급 업체다. 자동차, 소비재 및 의료, 가전 분야와 교육 분야에 FDM과 Ployjet 방식의 제품을 보급하며 많은 고객이 3D프린터를 활용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번 웨비나는 ▲금속 3D프린팅의 필요성과 효과 ▲기존 금속부품 제조방식과 3D프린팅의 심층 분석 ▲TRUMPF 금속 3D프린터 장비별 특징 소개 ▲TRUMPF 금속3D 프린터 활용사례 및 경쟁력 강화방안 등의 내용으로 프로토텍 노두숙 부장이 진행한다. 웨
[헬로티] 프로토텍은 지난 6월 25일(목) ‘스마트팩토리 정부지원 사업을 통한 3D프린팅 솔루션’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이하 웨비나)를 개최했다. 웨비나에서는 정부 주도로 진행하는 스마트팩토리 지원 사업과 3D프린팅을 활용한 효율적인 제조 공정에 대해 소개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팩토리 구축, 선택에서 필수로 제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전통적인 생산 방식에 도전을 받았다. 자동화를 활용한 대량생산 방식이 한계에 부딪힘에 따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팩토리를 주목하고 있다. 더욱이 올해 상반기를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의 여파로 제조 혁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제조업의 스마트화는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제조 전 과정을 점검한다. 관리자는 구축된 시스템으로 현장 상황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고 현장 안전성을 확보해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웨비나 1부에서는 정부지원 사업에 대한 소개가 진행됐다. 발표자로 참석한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본부의 신동수 스마트팩토리 전문위원은 먼저 스마트팩토리 정부지원 사업에 관한 소개
[첨단 헬로티] 스트라타시스의 글로벌 매뉴팩처링 네트워크 통해 제조 시간 및 비용 절감과 공급망 효율성 증가 스트라타시스코리아는 스트라타시스 글로벌 매뉴팩처링 네트워크(Global Manufacturing Network, 이하 스트라타시스 GMN) 서비스 제공을 위해 (주)프로메테우스와 계약을 체결하고, 이를 기념하는 개소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주)프로메테우스는 스트라타시스의 국내 공식 파트너사 (주)프로토텍의 자회사이다. 스트라타시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세계적인 3D 프린팅 파트 공급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산하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산업 전문성을 (주)프로메테우스를 통해 국내에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스트라타시스 GMN은 3D 프린팅 서비스 조직인 스트라타시스 다이렉트 메뉴팩처링 (SDM)의 서비스 네트워크로 전 세계 스트라타시스 파트너사를 통해 운영된다. 이번 스트라타시스 GMN 설립은 국내 최초, 아시아에서는 두 번째다. (주)프로메테우스 신상묵 대표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한국 내 3D 프린팅 서비스 품질이 한층 더 상승할 수 있을 것” 이라고 전망했다. 스트라타시스코리아 황혜영 지사장은 “프로토텍은 국내 3
[첨단 헬로티] 3D 프린터 글로벌 기업인 스트라타시스(Stratasys)의 한국 공식 파트너인 프로토텍은 SIMTOS 2018에 참가해 다양한 3D 프린터를 소개했다.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터 중 FDM 3D 프린터의 경우,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 사용으로 우수한 강성과 내구성을 가진 파트를 제작할 수 있고, 높은 치수정밀도와 반복성을 자랑한다. 그리고 숙련된 기술자가 없어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설계에서 제조까지의 공정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기간 내에 ROI를 실현하며 다양한 재료 옵션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제작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효과도 갖고 있다. 그리고 PolyJet 3D 프린터는 16μm 적층 두께로 우수한 표면 품질 및 미세한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으며, 최대 6가지 재료를 혼합해 복합 디지털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사실적인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최종 제품과 같은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재료 특성을 보유(고무, 투명, 불투명, 색상, 생체적합성 재료 등)하고 있다. 이 3D 프린터는 36만 가지의 색산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복합 재료를 사용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하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주최로
[첨단 헬로티] 한국기계산업진흥회가 오는 25일 4차산업혁명 대비 '스마트제조 국제국제컨퍼런스 2017(https://goo.gl/UcT4kX)'를 개최한다. '국내 제조업의 새로운 가치와 기회를 열다'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스마트제조 국제컨퍼런스 2017'은 4개 트랙, 27개 주제발표 세션을 통해 제조업 혁신을 위한 다양한 해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스마트머신 트랙에는 ▲스마트제조 대응을 위한 공작기계 솔루션 ▲FANUC의 Smart Factory Solution인 FIELD System에 대하여 ▲넥스트 패러다임을 준비하는 기계 제조산업의 트렌드 ▲3D프린팅 기술 동향 및 산업 분야 적용 사례 ▲산업부 레이저 발전전략 + 국내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등의 CNC, 공작기계, 레이저 등 기계산업의 트렌드와 사례를 엿볼 수 있는 주제발표가 예정돼 있다. 현대위아 김동환 책임연구원은 ‘스마트제조 대응을 위한 공작기계 솔루션’을 통해 현대위아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과 HYUNDIA iTROL+, HW_MMS, HW-ACAM을 비롯, 현대위아 공작기계 지능화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한국화낙 박상효 차장은 ‘FANUC의 Smart F
프로토텍이 오는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2017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2017: KOMAF 2017)에서 3D 프린터를 선보인다. 프로토텍은 3D 프린터뿐 아니라 3D 스캐너, 시제품 제작 서비스 및 역설계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3D 프린팅 토털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또한 프로토텍은 세계적인 우주항공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품질경영시스템인 AS9100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프로세스 중심의 최적화된 품질을 확보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프로토텍의 신제품인 F123 3D 프린터 시리즈 3종(F170, F270, F370)은 디자인 작업 그룹이 전문적인 프로토타이핑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스마트 프로토타이핑’ 솔루션이다. 전문가급 사무용 3D 프린터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F123 시리즈는 다양한 기능성 FDM 3D 프린팅 소재를 활용해 초기 콘셉트 확인부터 디자인 검증, 최종 성능 테스트까지 시제품 제작에 필요한 모든 워크플로우를 처리하고 실제 제품 생산이 시작되기 전 제품 설계에 대한 철저한 평가와 보증을 가능하게 한다.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