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기반 통신 인프라 구축에 숨은 조력자로서 역량 강화에 힘쓰겠다.” 노키아솔루션앤네트웍스코리아 김병수 상무는 5G 서비스 국가로서 대한민국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숨은 조력자로서 유무선 인프라 구축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한다. 이 회사는 유수의 글로벌 제조회사와 이미 무선 자가망 환경 구축에 대한 많은 성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실질적인 산업통신으로서의 가치구현을 실현하고 있다. Q. 노키아가 주력하는 사업은. A. 노키아는 통신사업자와 엔터프라이즈 고객에게 world leading 기술 기반의 통신장비와 사업지원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통신 3사의 전국 5G 환경 구축을 지원하여 세계 최초의 5G 서비스 국가로서 한국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여했으며, 지속적으로 기술과 장비 역량을 강화하여 4차 산업혁명의 마중기술로써 산업통신 5G가 산업 전반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숨은 조력자로서 유무선 인프라 구축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산업 현장에서 확인하고 싶어 하는 검증된 글로벌 레퍼런스의 경험과 최적화된 장비구성으로 자동화 환경 및 QoS가 보장된 미션크리티컬 통신 인프라 구축사업에 그 역량을 더할 예정이다. Q.
[헬로티] 사무용 건물 내부 및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의 커버리지 향상 (출처 : 유블럭스) 위치추적 무선 통신 기업 유블럭스가 유럽,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400~450MHz LTE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새로운 모듈을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유블럭스 SARA-R540S는 LTE 대역 31, 72, 73, 87 및 88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들 저주파 대역은 전파 전달력이 우수해 스마트 검침, 공공 안전, 스마트 그리드 및 스마트 시티 시장의 고객이 표준 셀룰러 연결 기술로는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는 엄격한 실내외 커버리지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유블럭스 SARA-R540S는 뛰어난 가용성과 탄력성을 보장하는 사물인터넷(IoT) 전용 통신 인프라 설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대응해 출시된 제품이다. SARA-R540S는 유블럭스 UBX-R5 셀룰러 칩셋을 기반으로 하며, 유블럭스 SARA-R5 제품군에 이미 적용돼 있는 많은 기능들을 활용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 같은 소유권은 유블럭스가 이 모듈 제품의 장기적 가용성을 보장하고, 향후 수십 년 동안 전체 플랫폼에 대한 평생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첨단 헬로티] KT는 18일부터 21일까지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개최된 3GPP(이동통신 표준화 국제 협력기구) 78차 총회에서 30개 글로벌 회원사와 함께 최초의 5G 표준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표준은 5G와 LTE망을 연동하는 5G 'NSA(Non-Standalone)' 표준으로, 기존 LTE 네트워크를 같이 활용할 수 있어 5G 조기 상용화에 공감하는 많은 사업자들이 참여했다. 특히 한국의 KT를 비롯해 미국 버라이즌, AT&T, 스프린트, 영국 BT, 보다폰, 중국 차이나모바일, 일본 NTT 도코모, 독일 도이치텔레콤, 이탈리아 텔레콤이탈리아, 프랑스 오렌지 등 각국을 대표하는 통신사들도 다수 참여했다. 당초 3GPP에서는 당 표준을 2018년 6월에 완성할 계획이었으나, 지난 3월 3GPP 제75차 총회에서 KT를 비롯한 다수의 글로벌 사업자들이 표준화 일정 단축을 요청해 이번 5G NSA 표준이 연내 완성될 수 있었다. 이번 표준 개발 완료에 따라 KT를 비롯한 주요 통신사들은 2019년 5G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된다. 이번에 3GPP 5G 표준으로 채택된 5G NSA는 KT가 그 동안 글로벌 산업계와 협력하여 평창동계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