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지지·마감 등 장착 프로필에 활용 이코텍이 훅 앤 루프 테이프 고정 장치인 KBH-R과 KBH-S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훅 앤 루프 테이프 고정 장치는 훅 앤 루프 테이프 케이블 타이와 결합해 케이블 지지 및 마감 등 장착 프로필에 활용된다. KBH-R 훅 앤 루프 고정 장치는 Rittal, MiniTec, Item, BoschRexroth 등 마운팅 프로파일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90° 트위스트 락 기능을 장착해 사용자는 비교적 직관적으로 조립을 수행한다. 나사를 활용한 장착법에 특화된 KBH-S 흑 앤 루프 고정 장치는 케이블 제거 및 추가 작업 수행이 용이하다. KBH-R과 KBH-S는 이코텍의 훅 앤 루프 케이블 타이 KLB, BLKB와 함께 활용 가능하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Creaform(이하 크레아폼)이 고정밀 휴대용 스캐너 신제품인 HandySCAN BLACKTM|Elite Limite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HandySCAN BLACKTM|Elite Limited는 휴대용 계측의 기준이 된 HandySCAN BLACK 시리즈 라인업에 속하며 0.012mm(12미크론)의 정확도를 제공한다. 기존 HandySCAN BLACK|Elite보다 2배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면서도 업계 최고의 속도와 우수한 사용성은 그대로 유지했다. HandySCAN BLACK|Elite Limited는 품질 관리 및 제품 개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오차 범위가 더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요구함에 따라 고안된 제품으로 산업 및 제조 부문의 치수 측정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크레아폼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인 Scan-to-CAD용 VXmodel 모듈, 치수 검사용 VXinspect 모듈 및 비파괴/표면 데미지 분석 응용 프로그램인 VXintegrity를 활용해 고객 사용성 및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크레아폼 관계자는 “크레아폼의 제품은 캐나다 본사에서 개발 및 제조되고 있으며, ISO17025 인증의 교정 센터에서 검교
3D 프린팅 솔루션 기업 스트라타시스가 엔지니어링 시제품 제작을 위한 신규 폴리젯 3D 프린터 스트라타시스 J55 프로(Stratasys J55 Pro)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J55 프로는 뛰어난 투명도의 Vero UltraClear 소재, 고무 소재, 생체적합성 소재, 엔지니어링 소재 등의 다소재 기능과 뛰어난 표현력과 함께 그레이 스케일 컬러를 지원하며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한다. 이 제품은 ▲사무실 내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경량디자인 ▲ProAero 공기 추출 시스템을 사용한 냄새방지 ▲53 데시벨 이하의 저소음 ▲합리적인 가격으로 비용 효율성제고 ▲GrabCAD Print 소프트웨어 사용 편의성 ▲통합된 소프트웨어에 따른 품질 보장 등의 강점이 있다. J55 프로는 제품의 컨셉 단계부터 최종 제품 단계까지 수많은 디자인 아이디어를 실현하도록 지원한다. 뛰어난 표면 마감 및 프린트 품질을 위해 회전 프린트 플랫폼을 도입했으며, 산업 및 기계 디자인에 모두 적합한 복합 재료 기능 및 재료 구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일관되고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기계적인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레디 투 프린트' 모드를 갖추고 있어 사용자는 중단 없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지능형 차세대 운송 솔루션 '렉시엄(Lexium) MC12 멀티캐리어'를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운송 시스템은 장비 라인의 핵심 기술로, 제품 제조 및 생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높은 초기 투자 비용에도 불구하고 시장 성장이 가속화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로보틱스 포트폴리오 중 하나인 렉시엄 MC12 멀티 캐리어는 복잡하게 얽혀 있는 라인을 개선하기 위한 운송 솔루션이다. 워크스테이션 간의 병목현상을 줄이고, 적절한 시간과 위치에 제품을 배치하거나 그룹화해 생산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렉시엄 MC12멀티 캐리어의 주요 특징은 장비 통합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개방형 아키텍처 플랫폼 에코스트럭처 머신에 통합해 원격 모니터링 및 예지보전이 가능하고, 배선이 필요 없는 손쉬운 세그먼트와 캐리어 장착 및 분리로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다. 디지털 트윈 기술과 결합해 산업 현장의 제품 운송 시스템에서 증가하는 민첩성과 시장 출시 시간 단축에 대한 요구를 해결한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소프트웨어는 커미셔닝 비용을 최소화하고 설계 및 테스트 프로세스와 품질을 개선한다. 장비 제작자는 로직, 모션, 세이프
세계 최초 IEC 62443-4-2 호스트 장비 인증 획득한 산업용 컴퓨터 산업용 통신 및 네트워크 기업인 Moxa는 최신 MIL3(Moxa Industrial Linux 3)플랫폼과 함께 세계 최초의 IEC 62443-4-2 인증 호스트 장비인 Arm 기반 컴퓨터, UC-8200 시리즈를 공급한다고 8일 밝혔다. 4cm의 초슬림형 컴퓨터인 UC-8200은 IEC 62443-4-2 인증을 획득한 보안 설계 기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통합하여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IIoT 데이터 및 인프라를 보호할 수 있는 보안 지원 리눅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UC-8200 산업용 컴퓨터에 대한 ISASecure CSA 보안 레벨 2 인증을 발급한 글로벌 인증기관인 BV(Bureau Veritas)의 사이버 보안 책임자인 파스칼 르레이는 "MIL3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Moxa의 UC-8200 시리즈는 ISA/IEC 62442-4-2 인증을 획득한 세계 최초의 호스트 장치"라고 밝혔다. 파스칼 르레이는 "Moxa가 IEC 62443을 통해 제품 개발 품질과 전반적인 보안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IEC 62443-4-2 인증을 성공적으로 획득하게 된
글로벌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기업인 앤시스코리아는 신규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솔루션 '앤시스 2023 R1'을 발표했다. 앤시스 2023 R1은 성능 개선, 다분야 워크플로우 통합, 혁신적인 기능 등을 제공해 기업들이 획기적인 차세대 제품 설계 시에 이전의 통합 과제 및 복잡성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앤시스의 셰인 엠스윌러 제품 총괄 수석 부사장은 "설계 엔지니어들은 시뮬레이션을 활용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리고 최적의 방향을 선택해 시장의 리더가 될 수 있다"며 "이번 최신 솔루션은 더 높은 정밀도와 효율적인 워크플로우, 클라우드 확장성을 제공해 엔지니어들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준다"고 말했다. 구조(Structures) 제품군은 사용자들이 보다 정확한 예측과 함께,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앤시스 메카니컬의 새로운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은 AI/ML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실행에 필요한 컴퓨팅 비용과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앤시스 2023 R1은 고성능 컴퓨팅(HPC)으로 하드웨어가 가진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고, GPU를 활용하는 향상된 솔버 알
SK텔레콤은 국내 로봇 제조 선두 업체 두산로보틱스와 무인 커피 로봇 서비스 'AI 바리스타 로봇'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두산로보틱스의 로봇 제조 역량과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빅데이터·보안 기술을 결합한 무인 커피 로봇은 커피와 에이드 등 20여 종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소비자 취향에 맞는 커피 맛 추출이 가능하며, 로봇이 컵 뚜껑을 닫아 음료 제조 단계를 마무리하는 기능도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고 SK텔레콤은 전했다. AI 바리스타 로봇 서비스는 특히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통해 메뉴·지점별 매출과 원재료 소모 현황, 기기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점주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갖췄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무인 점포를 운영할 때의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줄여 24시간 서비스 등 매장 운영 효율을 높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SK텔레콤은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무인 커피 로봇 사업 확대를 위해 국내 대형 카페 운영사와 프랜차이즈형 로봇 상품을 기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5년 내 국내 커피 로봇 시장에서 선두 업체로 올라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오토메이션월드 이창현 기자 |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산업 현장 내 설비와 공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S'CADAMaster'를 출시했다.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란, 다양한 장치 및 장비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중앙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해당 소프트웨어를 통해 현장 전체를 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 공정 단위의 세부 관리 운영도 가능해 스마트 팩토리에 매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오토닉스가 새롭게 선보인 SCADAMaster는 스마트 팩토리 분야의 표준으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인 OPC UA 지원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모바일 기기나 낮은 대역폭의 소형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프로토콜을 함께 지원한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MES, ERP 등의 상위 시스템뿐 아니라 다양한 생산 현장 제어기기와의 연결이 가능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현장 내 장비들의 데이터 수집을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통해 실제 현장과 유사하게 작화가 가
모션 아티팩트 없이 모든 조명 조건에서 작동하는 최초의 센서 텔레다인 e2v가 832×600픽셀 해상도를 통합하고 다목적 3D 감지 및 측정에 적합한 새로운 ToF CMOS 이미지 센서 ‘Hydra3D+’를 출시했다. 텔레다인 e2v에 따르면, 독점 CMOS 기술로 설계된 Hydra3D+는 빠른 전송 시간(10ns부터 시작)을 제공하고, 뛰어난 복조 대조비와 함께 NIR 파장에서 뛰어난 감도를 보여주는 새로운 10um 3 탭 픽셀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정밀한 조합을 통해 센서는 현장에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가 있어도 모션 아티팩트 없이 실시간으로 작동할 수 있고 짧은 범위에서 템포럴 노이즈가 우수해 픽 앤 플레이스, 물류, 공장 자동화, 공장 안전과 같은 응용 분야에 필수적이다. 혁신적인 온칩 다중 시스템 관리 기능의 센서는 잘못된 측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간섭 없이 여러 활성 시스템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Hydra3D+는 뛰어난 감도로 조명 전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광범위한 반사율을 처리할 수 있다. 즉각적이고 유연한 구성이 특징인 강력한 고해상도 온칩 HDR를 통해 거리 범위, 물체 반사율, 프레임 속도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매개변수 간 최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솔루션전 전문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다양한 산업의 고온 및 저온, 분체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되어 간편한 원격 액세스부터 SIL 분야의 전문성을 보장하는 차세대 레이다 센서 ‘Micropilot FMR6XB’를 출시했다. Micropilot FMR6XB는 광범위한 산업에 적용이 가능한데, 특히 극한 온도 및 자극성 매체에 노출이 많은 화학, 정유 및 가스 산업의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돼 있다. 이 제품은 IEC 61508에 따라 개발되어 최대 450°C 및 160bar의 환경에 적합하며, SIL2에서 SIL3까지 동종 이중화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엔드레스하우저의 SmartBlue앱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통해 원거리에서도 간편한 조작이 가능한 것은 물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단계별 가이드를 통해 시운전 및 기능점검을 손쉽게 수행하는 것도 장점이다. 10M내의 범위에서는 연결 가능한 필드 계기가 자동으로 뜨며, 내부 파라미터나 측정값에 액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계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또는 측정값의 타당성 여부에 대해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엔드레스하우저의 제품에 탑재된 스마트한 자가 진단, 모니터링 및
노비텍은 오는 3월에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SF+AW 2023)', '세계 보안 엑스포 2023'에 참가해 고속 3D 센서 Swing 3D와 ‘i-Nova4’ 카메라 등을 소개한다. 노비텍은 산업용 카메라 분야에서 오랜 경력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비젼 솔루션부터 기술 지원까지 제공하는 회사다. ITS 분야에서의 오랜 경험을 토대로 과속, 면탈, 도로 방범, 주차관제 시스템에 필요한 다양한 해상도의 카메라를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은 아시아 최대 규모로 열리는 자동화산업 최신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전시회다.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며 500개 업체가 참여, 4만 명이 참관할 예정이다. 세계 보안 엑스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가 공동 주최하는 행사이며 국내외 보안 시장 동향 및 기술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3월 29일부터 31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 노비텍은 이번 SF+AW 2023에서 고속 3D 센서인 'Swing 3D'를, '세계 보안 엑스포 2023'에서는 'i-Nova4'를 각각 메인 제품으로 선보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듀얼 채널 고속 디지털 절연기 제품군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ST는 제품군은 설계자들이 보드 레이아웃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새로운 STISO620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 2개 채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디지털 입력과 모든 디지털 출력은 절연막 양쪽으로 격리돼 있다. 이 디바이스는 각 방향으로 채널을 하나씩 제공하는 STISO621 및 STISO621W와 함께 ST의 디지털 절연기 제품군에 새롭게 추가됐다. 이 제품군은 두 개의 디지털 신호를 분리하고 유연한 방향성으로 절연막을 통해 디지털 통신을 전송해야 하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에 편리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모든 절연기는 견고한 갈바닉 절연을 보장하는 ST의 6kV 두꺼운 산화물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시스템 오류와 노후화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절연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제작돼 산업용 및 컨슈머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준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스마트 그리드 장비, 유틸리티 계량기, 모터 드라이브, 스마트 빌딩 및 조명 시스템, 가전 제품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장치, 인버터, 필드버스 절연기, 배터리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가 최신 인텔 코어 프로세서 기반의 새로운 컴퓨터 온 모듈을 공개했다. 에이디링크는 인텔 13세대 코어 모바일 프로세서 기반의 COM Express Type 6 모듈과 인텔 13세대 코어 데스크탑 프로세서 기반의 클라이언트 타입 COM-HPC 사이즈 C 모듈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인텔의 고급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P-코어 및 E-코어를 활용하는 이 모듈은 전력 효율성과 성능을 모두 충족하고, 다양하고 까다로운 AI, 그래픽 및 미션 크리티컬 IoT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에이디링크 Express-RLP는 최대 14개의 코어, 20개의 스레드, 64GB DDR5 SO-DIMM, PCIe Gen4 및 4개의 디스플레이 또는 2개의 USB4를 제공한다. 낮은 전력으로 고성능 컴퓨팅을 실현하고 와트당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이 모듈은 15/28/45W TDP의 AIoT 사용 사례에 적합하며 매우 견고한 작동 온도 옵션을 갖춘 산업 등급도 지원된다. 에이디링크의 COM-HPC-cRLS는 최대 24개의 코어와 32개의 스레드를 선보여 탁월한 멀티스레드 및 멀티태스킹 성능을 제공한다. 이 모듈은 이전 모델보다 더 적은 레인으로 최고의 성능을 발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뉴로클'이 딥러닝 교육용 소프트웨이 '뉴로에듀(Neuro-EDU) 3.1'을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AI 산업의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AI 교육 솔루션이 부족한 상황이다. 뉴로클은 해당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뉴로에듀 시리즈'를 개발했다. 뉴로에듀 시리즈는 이론부터 실무까지 AI 딥러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뉴로에듀 시리즈는 누구나 쉽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춰 설계했다. 학습자는 직관적으로 설계된 GUI 상의 탭과 아이콘 등을 통해 손쉽게 딥러닝의 개념을 학습하고 모델 생성까지의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뉴로에듀는 많은 툴을 요구하지 않는다. 하나의 툴로 AI 딥러닝 프로젝트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생성한 모델을 하드웨어에 적용해 영상 및 이미지를 판별하는 실습 프로젝트도 가능하다. '윷놀이 AI 심판 프로젝트', '자율주행차 구동을 위한 신호·사람·물체 인식 프로젝트' 등이 뉴로에듀를 활용해 실습 교육을 실시한 사례다. 뉴로에듀를 활용해 AI 교육 및 연구를 실시하고 있는 교육기관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인천재능대학교· 창원대학교·강릉중
버티브가 고밀도 모듈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시스템의 신제품 'Liebert APM Plus'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버티브가 이번에 출시한 'Liebert APM Plus'는 Liebert® APM을 업그레이드한 모델로 별도의 트랜스포머 없이 이중 변환 모드로 작동한다. 텔레콤·하이퍼스케일·코로케이션 분야의 중·대규모 데이터센터용으로 적합하다. Liebert APM Plus의 폭은 600mm로, 기존 모델의 본체 폭에 비해 50% 더 가늘어졌다. 초고밀도의 전원 모듈을 사용해 풋프린트를 줄임으로써, 핵심 디지털 인프라 애플리케이션에 중단없이 전원을 공급하는 데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이중 변환 모드 및 에코 모드로 최대 99%의 효율을 제공하며, 모델별로 50kW에서 500kW의 용량을 지원한다. 또한 대부분의 핵심 링크에 핫스왑 설계를 적용해 평균 수리 시간(Mean Time To Repair, 이하 MTTR)을 낮췄다. Liebert APM Plus의 자동 디레이팅(auto-derating) 기능은 최대 50°C의 환경에서까지 작동을 멈추지 않게 할 수 있다. 지능형 모니터링 옵션을 제공해 Vertiv™ Environet™ Alert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