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RX Japan Ltd.(구 Reed Exhibitions Japan Ltd.)가 2022년 1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제6회 로보덱스-로봇 [개발]·[활용]전’을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한다. 로보덱스는 자동화·인력 부족 대책에 공헌하는 모든 로봇과 관련 기술이 모이는 전시회다. 전시회 기간 진행되는 5개의 동시 개최전에서는 각각 △스마트공장 솔루션 △물류 혁신 기술 △웨어러블 관련 기술 △전기·전자 기술 △자동차 관련 기술이 전시된다. ◇공장용 로봇, 시설·산업용 로봇, 로봇 개발 기술 집결 협동로봇, 조립로봇, AMR·AGV 등 공장용 로봇부터 커뮤니케이션 로봇, 접수 로봇, 청소 로봇 등의 시설 및 산업용 로봇, 모터·액추에이터, 제어·컨트롤 유닛, 인공지능(AI) 등 로봇 개발에 필요 기술까지 모든 로봇과 기술이 한자리에 모인다. ◇자동화·로봇 활용 등 총 180개의 관련 세미나 동시 개최 동시 개최 세미나에서는 경제산업성 제조산업국 로봇정책실장의 로봇 정책 세미나부터 △야스카와 전기 △아센트로보틱스 등 로봇 메이커와 △닛산 자동차 △파르코 등 로봇 이용자 세미나까지 로봇에 관한 폭넓은 주제의 강연이 동시 개최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금속 3D프린팅 제조 품질을 개선하는 소프트웨어(SW) 개발에 성공했다. KETI는 금속 3D프린팅 적층해석 기반의 서포트 생성 소프트웨어(SW)를 개발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이번에 KETI가 개발한 SW는 금속 3D모델 적층 과정에서 열에너지의 쏠림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서포트 구조물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금속 3D프린팅은 금속 분말을 평평하게 깔고 고온 레이저를 선택적으로 쏘아가며 녹이거나 응고시켜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내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원활하게 배출하는 기술이 제품의 품질을 좌우한다. 개발을 주도한 KETI 지능융합SW연구센터 신화선 책임연구원에 따르면 SW 엔진을 통해 금속 3D프린팅 설계기술 및 제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관련 기술의 해외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금속 3D프린팅 기술은 금속 부품의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해 주기 때문에 제조 산업 전반에서 그 중요성이 커졌지만, 기존의 공정 노하우를 적용할 수 없고 숙련된 전문 인력이 드물다는 애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국내 기업은 3D프린팅 과
이오비스 기술 기고 | 스마트 팩토리 제조 산업의 가장 큰 화두는 공정의 수율 향상과 효과적인 생산 품질 개선입이다. 제품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공정 혁신이 가속됨에 따라 면적이 큰 대상물의 미세 구조 형상에 대한 측정 기술이 큰 수요로 자리잡았다. 이번 기고에서는 광 간섭 기술 기반 3D 측정 솔루션인 넥센서 XI-2 센서를 소개한다. XI-2 센서는 정밀 측정장비의 검교정에 사용되는 기술인 간섭 측정법(Interferometry)이 적용된 제품으로 넓은 영역에 대해서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솔루션이다. 데이터 양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간섭 측정법보다 10배 이상 빠른 속도로 측정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공정 효율 향상과 생산 품질을 개선에 효과적이다. 넓은 영역을 빠른 속도로 측정함으로 양산 라인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신뢰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측정 기술을 제공한다. 적용분야 XI-2 센서는 대상물의 단차, 두께 등의 3D 형상을 측정하는데 반도체의 구조 측정, 범프 측정, 디스플레이의 표면 구조 및 형상, 이물질로 인한 돌기 측정 등 수 미크론 정밀도의 애플리케이션 측정에 활용된다. 또한 박막 분리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다층 구조를 가진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시리얼통신 전문기업 시스템베이스(대표 장연식)가 Relay to Ethernet 컨버터 ‘SG-3021TIL’ 을 출시했다. SG-3021TIL은 Ethernet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Relay 포트를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Relay to Ethernet 컨버터로, 외부 장치를 제어 할 수 있는 6개의 접점 Relay 포트를 통해 신호 전달, 회로 개폐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장비들의 원격 전원 제어 관리가 가능하다. Relay 접점 초깃값은 결선에 따라 NC(Normal Close)와 NO(Normal Open)를 선택 설정 가능하며, Relay가 작동되면 초기 상태와 반대로 변경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NC(Normal Close) 결선은 서버, CCTV, 전광판, PLC 등 초기부터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환경에서, NO(Normal Open) 결선은 차단기, 전등, 에어컨 실외기 등 초기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다가 사용자 제어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함께 제공되는 SGConfig 유틸리티를 통해 네트워크 환경 및 Relay 포트의 동작 환경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COM Port Redi
헥사곤은 3D 프린터 제조업체 프로빔(Pro-beam) 및 사이야키(Sciaky), DM3D, 게페르테크(Gefertec), 멜티오(Meltio)와 파트너십을 맺고 DED(Direct Energy Deposition) 공정에 헥사곤 기술을 적용한 사례를 발표했다. DED란 가공 표면에 고출력 레이저와 금속분말을 동시에 분사해 실시간으로 적층하는 방식으로 높은 생산성이 강점이다. 특히 DED 기술은 대형 부품의 비용효율적인 생산에 적합해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의 MRO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항공우주 산업과 방위 산업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티타늄과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고성능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지는데 헥사곤은 주요 글로벌 관련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DED 공정에서 대형구조물의 합금소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하고 있다. 프로빔은 신형 WEBAM(Wire Electron Beam Addition Manufacturing) 3D 프린터를 개발해 '폼넥스트(Formnext) 2021'에서 공개했다. 이 제품에서 헥사곤의 Simufact Welding 소프트웨어는 DED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드는 데 활용됐으며, 헥사곤 AS1 스캐너와 역설계 솔루션을 통해 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새로운 플래그십 3D프린터 FX20, ULTEM 9085 필라멘트 소재 공개 마크포지드가 신규 3D프린터 FX20와 ULTEM 9085 필라멘트 소재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ULTEM 9085 필라멘트는 내화성, 고성능, 열가소성 소재다. 연속 섬유 강화를 결합해 우주항공, 국방, 자동차, 석유 및 가스와 같은 까다로운 산업 분야에서 고강도, 고내열성, 고성능 등 요구 조건을 충족하는 파트를 제작할 수 있다. FX20은 마크포지드가 생산한 프린터 중 가장 크고 빨라 거대한 부품을 빠르게 생산하기에 적합하다. 정밀한 설계된 센서를 기반으로 필요 시점에 한 번의 클릭만으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최대 525mm x 400mm x 400mm 크기의 프린트가 가능한 FX20은 기존 복합 소재 프린터보다 최대 8배 빠르고, 기존 마크포지드 X7 프린터보다 5배 더 큰 크기의 파트를 출력할 수 있다. 최대 200°C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열식 빌드 챔버도 장점이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 베스타스 윈드 시스템즈 또한 마크포지드의 FX20과 연속 섬유 강화 기능을 갖춘 ULTEM 9085 필라멘트를 도입했으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