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드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Anti-Vibration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로봇드림은 진동을 감소시켜 정밀도 및 안정화 개선이 가능한 Anti-Vibration Solution을 제안했다. 이 솔루션은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킨다. 이에 더해 운송 시 제품 보호 효과도 겸비하고 있다.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설비, 물류 운송 설비, 전자제품 생산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다. 로봇드림은 산업 자동화 및 로봇 시스템 개발, 자동화 장비 부품 유통, 모터 및 기어박스 공급, 산업용 실린더 솔루션, 자동화 물류 장비 제작 등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최신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및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며, 고품질의 정밀 기어, 모터, 공압 및 전
타보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산업용 전기차 및 무인반송차(AGV) 등 고출력을 요구하는 모터 부하용 리튬이온배터리 솔루션이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타보스가 이번에 선보인 고출력 리튬이온배터리는 순간 최대 2C 방전 이하를 지원하며 산업용 전기차 및 AGV(무인반송차)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으로 설계됐다. 특히, 모터 부하가 큰 응용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자동화 공정, 물류 운송, 전기차, 로봇 등의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 가능하다. 무엇보다 빠른 충·방전 성능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추고 있어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한 산업 환경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과의 연계를 통해 최적의 전력 관리 및
유비씨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디지털 트윈 기반의 AI 자율제조 솔루션과 신제품 ‘OCTOPUS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유비씨는 이번 전시에서 제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최첨단 기술과 실제 적용 사례를 공개하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AI 자율제조 솔루션을 중심으로 기업의 생산성 극대화 및 비용 절감 방안을 제시했다. 유비씨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은 생성형 AI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공정 최적화를 통해 제조 공정의 자동화 수준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생산 현장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제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유비씨의 신제품 ‘OCTOPUS 시리즈’가 첫선을 보이며
에스씨에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Emulate3D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스씨에이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Emulate3D는 다이나믹 3D 가상 Digital Twin 모델을 통해 시스템 시운전, 처리량 시뮬레이션, 산업 데모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현장 구축 전에 가상의 환경에서 사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전 세계 AMHS 상위 20개 기업 중 16개 기업이 Emulate3D를 활용하고 있으며 주요 적용 분야로는 물류창고, 유통, 제조 및 포장, 수하물 처리 시스템, 기계 장비 구축 등이 있다. 에스씨에이는 미국 Applied Materials사의 AutoMod Package 및 Rockwe
이노밴스테크놀로지(이하 이노밴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로봇, AC 서보 드라이브 시리즈, 이지 PLC 시리즈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노밴스는 산업 현장에서 포괄적으로 쓰이는 스카라 로봇 및 6축 로봇과 같은 산업용 로봇뿐 아니라 전기제어 캐비닛, 산업용 비전 제품과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이노밴스의 산업용 로봇은 일곱 가지 통합 기술(Pick & place, 라미네이팅, 접착, 나사 조임, 연삭, 스프레이, 점검)을 수행하며, 시각화한 프로그래밍과 모듈식 프로세스 및 가상화한 응용 프로그램 시나리오를 보유했다. 지난 2003년에 설립된 이노밴스 그룹은은 OEM과 엔드 유저에게 산업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플렉시블 생산 기법과 플라스틱에서 인쇄, 포장, 철 및 철강 생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산업
유니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실시간 3D(RT3D) 엔진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유니티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은 실제 공장을 3D 가상 환경에서 구현하고 IoT 센서 및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반영해 공장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공정 최적화, 문제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 예측 유지보수(Predictive Maintenance)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산업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또한, 유니티는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산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공장 내 로봇, 설비, 인력 배치 등을 가상 공간에서 테스트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XR(
바슬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비용 효율적인 고정밀 반도체 검사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바슬러코리아는 컴팩트 SWIR 이미징을 활용한 고정밀 웨이퍼 정렬 검사 솔루션을 제시했다. 이 솔루션은 29mm x 29mm 크기의 소형 설계에 Pixel Correction Beyond 및 Line Noise Reduction과 같은 고급 알고리즘을 통합해, TEC 센서 없이도 TEC 수준의 고품질 이미지를 제공한다. 최대 1µm(필요 시 최대 5µm) 정렬 정확도를 지원하며, 열 관리 및 핫 픽셀 제어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비용 효율적인 통합 냉각 솔루션도 함께 제공된다. 바슬러 코리아는 이외에도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제시했다. 바슬러코리아는 컴퓨터 비전 분야의 글로벌 선도업체로, 다양한 산업에 적합한
건흥전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세이프티 스위치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1969년 설립된 건흥전기는 산업용 자동제어 기기를 제조하는 기업이다. 산업용 스위치 사업에서는 제어용 스위치를 비롯해 제어용 계전기, 마이크로 스위치, 리미트 스위치, 호이스트 스위치 등을 생산하고 있다. 산업용 센서 사업에서는 유도형 근접센서, 적외선 포토센서 등을 생산하며 그 외에도 단자대, 소켓, 타이머, 카운터 등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건흥전기는 제2의 도약을 위해 국내 세이프티 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산업용 자동제어기기의 리더로서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해진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고 글로벌 경쟁시대에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사적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회사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산업용 스위치, 센서, 세이프티 스위
삼우패키징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모듈형 컨베이어 시스템 Rotoflex RM&RL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삼우패키징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Rotoflex RM&RL 시리즈는 공장 자동화를 위한 모듈형 컨베이어 시스템이다. 이 솔루션은 완제품을 적재 스테이션과 창고로 신뢰성 있게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대형 및 중량 화물 운송에 적합하다. 또한 장거리 운송에 최적화되어 있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기술 사양 면에서 Rotoflex RM&RL 시리즈는 최대 600mm 폭의 제품을 운송할 수 있으며 개별 제품당 최대 25kg까지 처리할 수 있다. 컨베이어 길이는 최대 25m이며 총 300~350kg까지의 화물을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컨베이어 속도는 최대 40~50m/min까지
멀티웨이로보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사 AGV와 무인 지게차 운용을 시연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부스에서 시연된 팔레트식 AGV 'X20S'는 정격 하중 2000kg으로, 가벼운 자체 중량으로 인해 건물 내에서 안정된 운반이 가능하다. 좁은 통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공장 공간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 무인 지게차 'MW-SE15'는 클로즈 타입 팔레트, 오픈 타입 팔레트 화물을 자동 운반할 수 있으며, 최대 하중은 1500kg, 상승 높이는 3000mm다. 이 지게차는 빠른 운행 속도, 높은 적재량 등의 장점이 있어 트래픽 관리, 화물 적재, 설비 매칭, 수평 운반 등의 환경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멀티웨이로보틱스는 설비 모니터링에서 클라우드 AI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멀티웨이 클라우드, WMS 창고관리 시스템 및
엑트엔지니어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카라 로봇(SCARA Robot) 기반의 산업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엑트엔지니어링이 선보인 THL 시리즈 스카라 로봇은 높은 작업 정밀도와 효율성을 갖춘 로봇 시스템으로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다양한 모델을 제공한다. 암 길이 300mm부터 1000mm까지의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제조 공정의 크기와 요구 사항에 따라 적절한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다. 스카라 로봇은 고속 동작과 반복 정밀도를 제공하며 4축 다관절 구조를 통해 빠르고 유연한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전력 소모를 기존 모델 대비 최대 70% 절감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했으며 경량 설계를 적용해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오토메이션월드 김재황 기자 |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선하이테크는 자사가 취급하는 ABA-052VIR, HV-FM230SCL 등 각종 카메라 제품군을 선보였다. HV-FM230SCL는 3.45μm 픽셀 크기와 30fps 프레임 속도를 지원하며, C-mount 렌즈 마운트를 채택했다. 또한 Camera Link 인터페이스를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선하이테크는 1999년 설립된 머신비전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공장 자동화 및 머신비전 구축 분야에서 다양한 산업군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1년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 지원 및 컨설팅을 통해 맞춤형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제공하며, 국내 고객들에게 최적의 머신비전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기업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자동화 장비를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오토메이션월드 이창현 기자 |
비젠트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기반의 통합 비즈니스 솔루션 ‘ZeniOne(제니원)’을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ZeniOne은 Office(그룹웨어), ERP, BI 등의 기능을 통합한 AI 기반의 올인원 비즈니스 솔루션으로 중소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손쉽게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비젠트로는 이번 전시에서 ZeniOne의 AI 자동화 기능을 강조하며,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AI 분석 기능을 통해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고,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ZeniOne은 합리적인 요금제와 유연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해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디지털 전
미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원형트랙 솔루션 iTS-L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미르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iTS-L 지능형 원형트랙은 기존 물류 이송 시스템을 스마트 물류 이송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이다. iTS-L은 무버의 포지션 제어 및 스테이션의 두 가지 방식(캐리어 제어 방식, 스테이션 제어 방식)을 통합 제어 모드로 제공하여 높은 유연성과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최대 255개의 모터를 지원하며, 컴팩트한 사이즈와 고정밀 제어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200m의 직접 구동 길이를 지원하며 무버는 사각지대 없이 모든 구간(이음새 포함)에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무버 간 충돌 방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영역별로 다른 안전 거리를 설정할 수 있어 안
위존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산업용 IT 솔루션 및 컨설팅 서비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위존은 스마트공장 추진단의 공급기업으로 Pool 등록을 완료한 기업으로 20여 년간 산업용 IT 솔루션을 공급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공장 컨설팅, 시스템 구축, 사후 관리까지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조기업들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은 공장 내 설비와 기계에 센서(IoT)를 설치하여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장의 운영을 자동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를 위해 2022년까지 총 30,144개 스마트공장을 지원했으며 이를 도입한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 고용 증가 등 다양한 성과를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