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는 PCS, OPS, EV 차저 등 태양광 인버터 내부에 들어가는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이다. 최근에는 트랜스포머나 리액터, EMI 필터, 전류 센서 등도 제조하면서 인버터 내부 부품을 일괄 공급하고 있다. 다쓰테크, 동양ENP, 햅시바 등 약 60% 이상의 국내 기업과 거래 중인 CORE는 더 많은 해외 바이어를 찾고자 2017 월드 에너지 위크를 찾았다. Q. 이번 전시 콘셉트는 무엇인가요? 최근에는 저희 회사가 인버터 소형화를 위해 메가플럭스나 아몰퍼스 같은 최신 소재를 사용하여 리액터나 트랜스포머를 소형화하고 중량을 줄이려고 하고 있어요. 단가적인 문제가 있다 보니 제품의 무게와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콘셉트를 잡았습니다. Q. 일본 시장에 진출하신 지 5년 정도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일본 시장의 특징이 무엇인가요? 일본 시장은 품질과 신뢰에요. 처음 거래를 뚫기가 매우 어렵지만 한 번 뚫으면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 10년, 20년을 바라보며 사업을 할 수 있는 영역이죠. 그러다 보니 저희도 쉽게 놓지 못하고 있어요. Q. 진출하면서 어떤 점이 가장 어려웠나요? 일본 업체와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디버깅(debugging)&rsq
인우에너지는 아직 사업을 시작한 지는 3년밖에 안 된 업체이지만 다양한 제품군으로 일본 시장을 공략하고자 전시에 참여했다. 주 생산 품목은 태양광 인버터와 하이브리드 인버터, ESS이고 산업용이나 큰 부하에 사용할 수 있는 ESS 시스템을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인우에너지의 허진 팀장에게 출시 기술에 대해 자세히 들어보았다. Q. 전시에 참여한 목적이 무엇인가요? 이 전시회가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과 한국에서 많은 분들이 찾아오고 있잖아요. 그 분들에게 저희 제품을 소개하고 잠재적 구매자를 찾기 위해 이 전시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Q. 전시 중인 기술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가정용 PV 인버터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3KW 정도의 부하를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 인버터 기술이에요. 또 배터리 팩에 전기를 저장해서 비상시나 피크 시간 때에 사용할 수 있는 ESS 형태의 제품을 전시 중입니다. 저희 기업의 ESS 제품은 리튬 이온 배터리 팩을 사용하지만 납축전지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제품이에요. 제품 자체에 UPS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비상 전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태양광, 패널, 부하 그리드를 전부 한 곳에 물릴 수 있습니다. MPP
[첨단 헬로티]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강화하려는 자동차 부품 업체 델피의 행보에 가속도가 붙었다. 인터넷 연결 기능이 있는 차동차와 트럭에서 생산된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수익을 내기 위한 일환이다. 자동차에 탑재되는 센서들이 늘어나면서 차량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데이터 규모도 급증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를 상대하는 부품 업체 입장에선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나 커넥티드카에서 쏟아지는 빅데이터 분석도 기회의 땅으로 부상했다는 얘기다. 지난해 10월 맥킨지는 차량 데이터로 수익화할 수 있는 금액이 2030년까지 최대 7500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델피가 빅데이터 분석에 공격적인 것도 이같은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델피는 5일(현지시간) 빅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를 위해 해당 분야 전문 업체들과 제휴를 강화했다. 우선 델피는 이스라엘 반도체 스타트업인 발렌스 소규모 지분을 인수했다. 발렌스는 현재 산업 표준인 초당 1기가바이트보다 6배 빠른 연결성을 지원하는 칩투칩(chip to chip)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발렌스가 보유한 HD베이스티(HDbaseT) 기술은 압축되지 않은 고화질 이미지와 오디오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첨단 인포테인먼트,
[첨단 헬로티] 실리콘 기반의 상용 SoC(System-on-Chip) 인터커넥트 IP 분야의 혁신기업인 아테리스IP는 Ncore 2.0 캐시 코히어런트 인터커넥트 IP와 옵션 제품인 Ncore Resilience 패키지가 차세대 자율 주행 시스템 및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설계를 혁신 및 가속화한다고 발표했다. Ncore는 통상적으로 ‘I/O캐시’라고 불리는 임베디드 저지연 프록시 캐시(Low Latency Proxy Cache)를 사용해 SoC 설계팀이 맞춤형 프로세싱 요소들을 쉽게 통합할 수 있게 해주는 헤테로지니어스(Heterogeneous) 캐시 코히어런트 인터커넥트다. 작업 부하가 서로 다른 프로세싱 요소들로 분산되는 신경망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SoC에서는 서로 다른 모든 요소들 간의 통신에 있어서 저 지연 프록시 캐시가 고정형 내부 SRAM 또는 스크래치패드 메모리(Scratchpad Memory)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더욱 효율적인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형의 아키텍처들은 자율 주행 시스템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Ncor
[첨단 헬로티] 독일 테크놀로지 기업 헤레우스 글로벌 사업부 중 하나인 헤레우스 귀금속이 스위스 귀금속 가공 기업인 아르고르-헤레우스(Argor-Heraeus)를 인수했다고 7일 밝혔다. 구체적인 인수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헤레우스에 따르면 아르고르는 스위스 멘드리시오(Mendrisio) 본사 및 독일, 이탈리아, 남아메리카의 지사에서 300명 이상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채굴한 금의 제련, 귀금속 재활용 및 골드바, 동전, 합금, 반제품(semi-finished product) 가공이다. 헤레우스 CEO 얀 리너트는 “아르고르-헤레우스 지분 전량을 인수함으로써 헤레우스는 아르고르의 귀금속 제련 및 가공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갖게 되었다”며 “이번 인수로 헤레우스가 세계 최대 귀금속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고 관련 사업 영역을 확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헤레우스는 1986년부터 아르고르의 지분을 보유해왔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첨단 헬로티] AI 컴퓨팅 기업 엔비디아(CEO 젠슨 황)는자 자사 GPU가 한화테크윈이 개발하는 인공지능 기반 보안 제품 및 솔루션에 적용된다고 7일 밝혔다. 엔비디아 기술을 활용해 한화테크윈이 개발하는 인공지능 카메라 및 저장 장치는 비정상적인 움직임 및 상황을 자동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엔비디아 GPU는 고객들에게 단순한 동영상 분석이 아닌 보다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엔비디아 플랫폼은 도시 보안, 유통, 교통 분야 등과 관련한 한화테크윈의 다양한 솔루션에도 적용 가능하다. 디퓨 탈라 엔비디아 테그라 사업팀 부사장 겸 총괄 책임자는 “엔비디아 GPU 기반 AI 및 딥러닝 기술을 통해 한화테크윈은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함으로써 공공 보안을 강화하고 개선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공급하는 것은 물론 고객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만섭 한화테크윈 시큐리티 부문 대표이사 겸 CEO는 “한화테크윈은 보안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엔비디아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 및 딥 러닝 기반의 미래 보안 솔루션 분야로 발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황치규 기자(del
[첨단 헬로티] 클라우드와 로보틱스 기술 간 결합이 로봇 시장의 블루칩으로 급부상했다. 시장 조사 업체 트랜스페어런시마켓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클라우드 로보틱스 시장 규모는 지난해 13억9500달러였지만 2024년에는 219억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해보다 20배 가까운 성장이다. 클라우드 로보틱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로봇의 통합에 기반한다. 데이터 캡쳐, 클라우드 분석, 데이터 처리, 추가 분석을 위해 서버로 피드백을 보내는 단계로 이뤄진다. 클라우드 기술이 확산되고 다양한 산업에서 클라우드 로보틱스 운영이 늘어나는 상황과 맞물려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클라우드와 로봇을 결합해 기업들은 인건비는 줄이고 효율성과 고객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 트랜스페어런시마켓리서치 설명이다. 구성 요소 관점에서 보면 클라우드 로봇 시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영역으로 나눠진다. 소프트웨어 영역은 서비스형 인프라(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서비스형 로봇(robotics as a service: RaaS), 서비스형 플랫폼(platform as a service: PaaS), 로봇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첨단 헬로티] 3DPLM&ICT 선도기업인 ㈜솔리드이엔지(대표 김형구)는 공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단장 이웅화), 공군기상단(단장 박재홍)과 공군의 항공작전 핵심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수치예보체계 교체사업을 진행완료했다고 발표했다. 기상수치예보는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의 온도, 기압, 바람, 구름, 강수 등 다양한 대기 운동을 수치로 계산, 미래의 기상상태를 예측하는 방법을 말한다. 수치예보는 기상인자에 대한 정보, 대기 모델을 통해 수치해값을 구할 수 있는 방정식을 구현하는 프로그램과 이 데이터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고성능컴퓨팅이 필요하다. 공군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난 2010년에 도입된 기존 시스템을 대체했으며, 도입된 고성능컴퓨팅(HPC)을 통해서 독자적 수치예보체계의 성능 향상과 운영 중인 수치예보모델의 예측 정확성 향상을 확보해 작전상 요구되는 기상예보 유효시간 내 수치예보모델 수행이 보장될 수 있는 안정적인 수치예보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솔리드이엔지는 이번 기상수치예보체계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기상 HPC 분야에서 오랜 노하우를 보유한 Cray의 서버, IBM의 엔터프라이즈급 스토리지와 고성능 파일시스템인 스펙트럼 스케일, Mellan
[첨단 헬로티]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올해의 ‘최우수 공급업체 상(SEA, Supplier Excellence Award)’ 수상 업체로 16개 협력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상은 TI가 협력사들을 표창하는 최고 권위의 상으로, 윤리적으로 사업을 수행하면서 제품 및 서비스, 지원에서 품질, 환경 및 사회적 책임, 기술, 응대, 납기, 비용 등 다양한 요건을 우수하게 충족시킨 업체를 선정한다. 이들 16개 업체는 12,000개 이상의 협력사 중에서 선정됐다. TI의 월드와이드 조달 및 물류 담당 부사장인 롭 심슨(Rob Simpson)은 “TI의 고객들이 혁신적이고 누구보다 먼저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TI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다. TI는 협력업체에게도 동일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라고 말하며, “이번 SEA 수상업체들은 우리가 필요로 하는 제품과 기대하는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뛰어난 역량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선정된 16개 최우수 공급업체는 ▲아덴텍(Ardentec) ▲ASM ▲밸푸어 비티 컨스트럭션(Balfour Beatty Construction ▲카봇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첨단 헬로티] 텔레다인르크로이(지사장 이운재)가 HDO4000A, HDO6000A, HDO8000A와 MDA800A 아날로그와 혼합신호 오실로스코프를 발표했다. 4개의 고해상도 오실로스코프 제품 라인은 200MHz-1GHz 대의 대역폭과 12 비트 HD4096 기술을 탑재했다. HDO-A 오실로스코프는 향상된 샘플링 속도 기술을 적용하여 포착된 파형을 장비의 최대 대역폭에 맞도록 최적화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추가적으로, 차세대 원터치 MAUI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측정 설정을 쉽게 하며 사용자들이 복잡한 이상 신호들을 디버깅할 때 빠른 측정시간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더 빠른 프로세서, 더 큰 CPU메모리, SSD 를 탑재하여 PC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되었다. 모든 HDO시리즈는 전력전자, 자동차 전자, 고 분해능 센서 신호 임베디드/기계전자공학 디자인의 디버깅과 트러블슈팅에 적합하다. 이 제품들은 오토모티브, 디지털 파워 매니지먼트, 전원 무결성, 물리학, 군사/항공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인기 있는 오실로스코프들이다. HDO8000A 시리즈가 제공하는 8채널은 고전력/삼상전력 전환 테스팅과 디지털 전력 인증에 이상적이다. HDO8000A 플랫폼을 기반으로
[첨단 헬로티]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이하 NI)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IEEE 무선통신네트워킹 컨퍼런스(WCNC)에서 버라이즌(Verizon) 5G 스펙의 28GHz대 리얼타임 OTA(Over-the-Air) 프로토타입을 세계 최초로 공개 시연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빔포밍과 독립 서브프레임이 적용되어 2x2 다운링크 MU-MIMO 설정에서 8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OFDM을 사용하며, 초당 최대 5Gb의 스루풋을 구현하고 MIMO 스트림 8개로 초당 20Gb 이상까지 확장 가능하다. 버라이즌은 2015년에 자사의 5G 기술 포럼 사양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기준을 준수하는 제품과 기술이 업계에서 계속 개발되고 있지만, 28GHz대 OTA(Over-the-Air)가 공개 시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개발자들은 NI의 mmWave 트랜시버 시스템을 사용하고, 28GHz에서 작동하는 새로운 버전의 RF mmWave 헤드와 아노키웨이브(Anokiwave) 및 볼 에어로스페이스(Ball Aerospace)가 개발한 위상 배열 안테나를 적용하여 이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28GHz는 버라이즌과 그 협력사들이 미국에서 배포 대역으로 지정한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화력발전 및 송배전 등 전력분야 관련 기술을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한 연구 인프라 확보를 목적으로 지난 3월 사업비 36억을 투자하여 “슈퍼컴퓨팅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다. 전력연구원(대전)에 구축된 슈퍼컴퓨팅 시스템은 전력설비 및 부품 등의 개발을 위한 전산해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과 대량의 전력정보를 빠른 시간에 저장, 분석하기 위한 인메모리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한전은 슈퍼컴퓨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력설비 각종 부품 및 기계 설계는 물론 고정밀 전산해석 시뮬레이션, 인공지능(AI) 개발 등 그래픽 처리장치(GPU) 기반 연산처리 연구, 빅데이터 등의 고속 데이터 분석, 이산화탄소 포집 및 신재생에너 지 소재 개발, 전력설비용 로봇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전력사가 슈퍼컴퓨팅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전력사 통합 슈퍼컴퓨팅 센터”로 확장할 계획이다. 한전 조환익 사장은 “이번에 구축된 슈퍼컴퓨팅 시스템을 통해 빅데이터 처리 등 제4차 산업혁명을 실현하는 기술에 필수적인 기반을 확보했다&rdq
[헬로티] TI코리아가 APEC(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에서 최신 아날로그 및 임베디드 프로세싱 기술을 적용한 다수의 혁신적 시스템 레퍼런스 디자인을 선보였다. TI 디자인스의 레퍼런스 디자인은 고전압부터 초저전력까지 시스템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개발자들이 산업용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번에 선보인 레퍼런스 디자인은 총 네 가지로 ▲에너지 저장을 위한 480W 양방향 전력 변환 ▲스마트 서모스택 24V AC 전력 스테이지 ▲스마트 빌딩의 산업용 LED 조명을 위한 PoE ▲EV 충전, USB 타입이다. 초소형의 양방향 DC/DC 컨버터 레퍼런스 디자인은 서버 전원공급장치와 같은 로컬 에너지 스토리지(LES) 및 리튬 배터리 백업 전원 애플리케이션에 97%의 효율로 480W/in3를 제공한다. 이 디자인은 TI의 UCD3138A 디지털 파워 컨트롤러로 제어되는 2상 인터리브 하프 브리지 전원 스테이지를 기반으로 한다. 초저 Iq, 24V AC 전원 스테이지 레퍼런스 디자인은 넓은 입력 범위의 전압 컨버터와 배터리 잔량 측정 IC를 사용하여 빌딩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서모스탯, 비디오 초인종, 게이트
[헬로티] 키사이트가 ‘키사이트 측정 포럼 2017(Keysight Measurement Forum 2017)’을 오는 4월 11일 양재동 엘타워에서 개최한다. 과거 애질런트 전자계측 부문 시절부터 시작해 올해로 20번째를 맞는 이번 포럼의 주제는 ‘Unlocking Measurement insight for Connected World’이다. 이번 포럼은 5G로 진화하는 무선 통신, IoT 및 오토모티브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 세션 및 솔루션 데모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KT 인프라연구소의 이종식 상무의 기조 연설(KT 5G 비전 및 전망)을 시작으로 포럼이 진행될 예정이다. ‘무선통신(Wireless)’, ‘사물인터넷(IoT)’, ‘오토모티브(Automotive)’ 세 개의 트랙에서 세분화된 일정으로 진행되며 더불어 키사이트의 측정 제품과 솔루션 시연을 직접 볼 수 있는 부스도 함께 설치된다. 보너스 세션으로는 ‘오실로스코프 핸즈온 초급 교육’ 및 ‘장비 고장 대책 및 커넥터 관리법&rsq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가 초고정밀 32비트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ADC(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인 LTC2500-32를 출시했다. LTC2500-32는 정밀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구현 방식으로, 보다 높은 정확도와 리니어 테크놀로지 고유의 SAR ADC 아키텍처를 유연한 통합 디지털 필터와 접목했다. 이는 시스템 신호 대역폭을 최적화하고 아날로그 앤티앨리어싱 필터(analog anti-aliasing filter) 요건을 보다 용이하게 해줄 것으로 보인다. ADI의 이번 신제품은 동시에 2개의 출력(32비트 저잡음 디지털 필터링 출력, 32비트 1Msps 무지연 출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지연 출력은 디지털 방식으로 필터링된 출력에 매칭되기 때문에 정밀 ADC와의 병렬 상태에서 신호 무결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추가의 고속 ADC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미스매치나 드리프트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입력 공통 모드 범위와 높은 CMRR은 LTC2500-32가 가변적인 공통모드와 신호를 인터페이싱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날로그 신호 체인을 더욱 단순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