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AI·AI 인프라 중심 파트너사 모집… 리셀러 수수료·공동 마케팅 지원 포함 씨이랩이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그램 ‘XPN(XIIlab Partner Network)’을 공식 출범하면서 5월 13일까지 전국 단위의 파트너사 모집을 시작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산업별 맞춤형 AI 솔루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단순 기술 공급을 넘어 파트너사와의 공동 혁신을 통해 버티컬 AI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XPN은 씨이랩의 AI 핵심 기술과 파트너사의 산업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협력적 혁신 모델이다. 씨이랩은 이를 기반으로 산업별 AI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파트너사와 함께 시장 선점과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모집 분야는 Vision AI와 AI 인프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Vision AI 분야에서는 제조품질관리(GMP) 컨설팅 기업, 품질관리시스템(QMS) 솔루션 기업, 산업용 카메라 및 센서 제조사를 모집한다. 해당 파트너사는 씨이랩의 AI 영상분석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조 품질, 안전 및 재고 관리 등 현장 맞춤형 AI 솔루션을 함께 개발하고 확산한다. AI 인프라
사전투표 무효표 판단 위한 RFID 기술 특허 출원… 시간·위치 정보로 투표지 이력 추적 알에프캠프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투표함에서 무효표를 분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국내 특허를 출원했다. 이번 특허는 RFID 태그가 내장된 투표용지를 활용해 투표함에 투입되는 시점과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무효표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이다. 알에프캠프는 초박막 RFID 태그가 부착된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는 순간, 투표함 입구에 설치된 RFID 코드 입력 장치가 시간과 위치 정보를 해당 RFID 칩에 입력하도록 설계된 방식을 특허로 등록했다. 이 방식은 추후 개표 과정에서 해당 투표용지가 유효한 시간과 장소 내에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특정 시간과 위치를 벗어나거나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은 경로를 거친 투표용지는 무효표로 분류될 수 있다. 이번 기술은 특히 투표와 개표 사이 시간차가 크고 이동경로가 복잡한 관외 사전투표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부정 투표용지 혼입 논란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RFID 칩에 기록된 정보는 투표지의 유일성과 동일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알에프캠프는 RFID 기술이 이미 물류, 유통, 보안 등 다양
모두솔루션이 CAD 소프트웨어 ‘GstarCAD Plus’ 출시를 기념해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모션은 이달 25일까지 한정 기간 동안 진행되며, 구매 수량에 따라 동일한 수량의 라이선스를 추가로 제공하는 1+1~5+5 혜택이 적용된다. 2+1, 10+5, 20+10, 50+25와 같은 구성도 마련되어 있어 중견기업 및 대기업 고객에게도 유리한 조건이 제공된다. 수량 제한 없이 혜택이 적용된다. 프로모션 대상 제품은 GstarCAD Standard, Professional, Plus, GstarCAD Mechanical, Mechanical Plus 제품군이다. GstarCAD Plus는 기존 Professional 제품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며 파라메트릭 구속 조건 기능이 새롭게 추가됐다. 이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설계 조건을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어 정교한 작업 수행이 가능해졌다. GstarCAD는 현대자동차, SK, 호반건설, 경동나비엔, 원익홀딩스 등 국내 다양한 기업이 사용 중인 CAD 솔루션이다. 모두솔루션은 GstarCAD의 한국 내 독점 총판으로 전국 200여 개 파트너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약 10만 명의 설계자에게 지원 서비스를 제공
더블유이엔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컨트롤러(PLC)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더블유이엔지가 소개한 PLC 솔루션은 다양한 산업 자동화 시스템의 핵심 제어 장치로, 정유, 석유화학, 발전소, 신재생에너지 및 빌딩자동화 등의 다양한 산업군에서 안정적인 제어 및 운영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해당 솔루션은 EtherNet·IP 기반의 고속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고 다양한 모션 제어 기능 및 실시간 데이터 처리 기능 제공한다. 또한 컨포멀 코팅 적용으로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작동하며 전원 공급 중에도 모듈 제거 및 삽입을 지원한다. 더블유이엔지는 DCS System(Honeywell, Emerson, ABB) 및 PLC System (Allen-Bradley, Siemens) 등의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의 제
인이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공정 최적화를 위한 인공지능 솔루션 INFINITE OPTIMAL SERIE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인이지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INFINITE OPTIMAL SERIES는 제조 공정의 고온·저온 반응 최적화 및 예지보전을 지원하는 설명가능한 인공지능(XAI) 기반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AI 분석을 통해 공정의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작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가이던스를 제공하여 공정을 최적의 상태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FINITE OPTIMAL SERIES는 철강, 정유, 화학, 시멘트 등 다양한 제조 산업의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및 에너지 절약을 지원하며 기업의 ESG 및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 경영 실현을 돕는다. 인이지는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조
에스엠디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동화 창고 솔루션 Shuttle XP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스엠디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Shuttle XP는 Kardex Shuttle XP(VLM) 모델로, 자동화된 수직 리프트 모듈(VLM)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인 공간 활용 및 물류 처리 속도 향상을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이 시스템은 장비 전면과 후면에 수직으로 트레이를 보관하고, 중앙에 위치한 추출기가 자동으로 상하 이동하여 요청한 트레이를 출입구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솔루션은 공간 절약과 함께 물류 관리 효율성 극대화를 제공하며, 제조업, 물류창고, 부품 보관 등의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될 수 있다. 에스엠디코리아는 27년 이상의 자동화 창고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의 구체적인 요구를 충족하며 공간, 시간
아이디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oT 기반 제조 데이터 분석 솔루션 Protect Go AI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이디비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Protect Go AI는 AIoT 융합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데이터의 수집, 분석, 시각화를 지원하는 스마트 제조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공장 지능화, 스마트 안전 관리, 설비 최적화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한다. Protect Go AI는 PC 및 모바일 크로스 플랫폼을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나 공장의 운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BI 대시보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통해 제조 현장에 최적화된 데이터 시각화를 지원하며, 지도 기반 이상 징후 모니터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문제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즉각 대응할 수 있다.
크레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정밀 3차원 측정 솔루션 API 레이저 트래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크레아텍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API 레이저 트래커는 높은 정밀도와 유연성을 갖춘 3차원 측정 솔루션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솔루션은 고정밀 좌표 측정 기능을 제공하며 반사체 기반 동적 측정, 숨겨진 지점 탐침, 고해상도 표면 스캔 등 다양한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항공우주, 자동차, 에너지, 중장비, 농업 기계, 군사 및 방위, 공작기계, 자동화 및 공구 산업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크레아텍은 고성능 3차원 스캐너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공급하는 3차원 측정 전문 기업으로, 국내외 측정기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최첨단 측정 솔루션과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빠르고
아이엠피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열화상 카메라 제품군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이엠피티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열화상 카메라 모델 중 FLUKE RSE600은 연구, 과학 및 엔지니어링 환경에서 정밀한 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성능 열화상 카메라다. 640x480 해상도, 초당 60프레임 스트리밍, MATLAB 및 LabVIEW 플러그인 지원 등의 기능을 통해 고급 적외선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며 테스트 및 품질 보증 절차를 향상시키는 데 최적화된 제품이다. 아이엠피티는 1987년 설립 이후 전기전자 계측장비, 생산설비, 신뢰성 및 비파괴 검사 장비를 전문적으로 판매, 설치 및 서비스하는 기업으로 성장해왔다. 미국 Fluke사의 국내 총판점 및 공인 대리점으로서 설비 관리, 에너지 관리 및 예방 정비를
에이치아이티오토모티브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로봇 기반 표면 품질 검사 솔루션 iQI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이치아이티오토모티브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iQIS는 로봇팔을 이용한 자동차 도장 및 표면 품질 검사 솔루션이다. 이 시스템은 고속 이미지 취득 및 3D 분석을 기반으로 표면 결함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산업 로봇과 자동화 검사 기술을 결합하여 생산 공정에서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에이치아이티오토모티브는 금형 제조, 설계 및 수출뿐만 아니라 3차원 측정기 판매 및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특히 메트롤로지 팀과 R&D 센터를 운영하며 자동화 측정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HIT R&D센터와 인텍플러스가 협력하여 개발한 SDD와 AT960을 활용한 스캔 품질 검사 자동화
MECHATROLINK 협회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속 모션 필드 네트워크 솔루션 MECHATROLINK-Ⅱ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MECHATROLINK 협회는 MECHATROLINK 기술을 전 세계에 보급하기 위해 설립된 조직으로, MECHATROLINK 제품 개발 회원 및 사용자로 구성되어 있다. 협회는 모션 필드 네트워크 MECHATROLINK FAMILY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야스카와 전기, NEC, KEYENCE, Schneider Electric Japan Holdings Ltd., Texas Instruments 등 8개 주요 기업이 운영을 맡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MECHATROLINK 협회가 소개한 MECHATROLINK-Ⅱ는 최대 30개의 노드를 지원하는 고속 버스 접속 네트워크로, 0
INVT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성능 인버터 GD350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INVT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GD350 시리즈 고성능 드라이브는 중·고급 OEM 장비 시장을 겨냥한 고성능 인버터 제품이다. 이 제품은 인쇄·포장, 권취 장비, 제지 기계, 절단 장비, 섬유 기계, HVAC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다양한 통신 방식 지원, 무선 디버깅 기능, SIL2 수준의 안전 토크 오프(STO) 기능 내장 등의 특성을 갖춰 산업 자동화 환경에서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INVT는 2002년 설립 이후 산업 자동화와 에너지 전력 분야에 집중해 왔으며 고객이 보다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15개의 자
지지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BLDC 기어드 모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지지엠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BLDC 기어드 모터는 우수한 속도 안정성과 고출력 소형화 기술을 갖춘 제품이다. 부하 상태의 변화에 따라 저속부터 고속까지 안정적으로 구동하며 영구 자석을 사용해 손실을 최소화하여 높은 출력과 소형화를 실현했다. 이를 통해 협소한 장치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모터는 저소음·저진동을 실현하도록 정밀 가공 및 최적 설계를 적용했으며 Slow Up 및 Slow Down 기능이 내장되어 정속도 운전이 가능하다. 더불어 과부하, 과전류, 과전압, 저전압 보호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안전성을 극대화했다. 지지엠은 1979년 설립된 기업으로, AC 및 DC 소형 기어드 모터를 전문적으로 생산해온 기업이다. 세계 최고의 기어드 모터
아신티엔에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이동식 로봇 랩핑기 BeeWrap+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신티엔에프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BeeWrap+는 센서를 활용해 팔레트 포장물의 사양을 자동 인식하여 랩핑하는 이동식 로봇 랩핑기다. 손쉬운 디지털 컨트롤 패널과 AGM 배터리를 탑재하여 사용시간과 배터리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린 것이 특징이다. 이 제품은 견고한 프레임과 내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충전 없이 최대 400개의 팔레트를 작업할 수 있는 고생산성을 제공한다. 최소 1150mm의 작업 공간만으로도 운영 가능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아신티엔에프는 2011년 설립된 기업으로 코팅, 도장 산업 및 친환경 패킹 분야의 기술 혁신을 선도하며 국내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다. 친환경 패킹과 마스킹 제품 설계 및 디자인
서림산업에스알아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밀도 적재 솔루션 파렛트 셔틀랙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서림산업에스알아이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파렛트 셔틀랙은 팔레트 적재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으로, 기존 Drive-in Rack 방식에서 개선된 고밀도 적재 방식을 제공한다. 셔틀이 팔레트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시스템으로, Drive-in 채널 위에서 제품을 정리하고 적재 및 하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솔루션은 무선 리모컨을 통해 작업자가 간편하게 운영할 수 있으며, 제품의 선입선출(FIFO) 및 선입후출(LIFO)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30℃ 환경에서도 원활한 작업이 가능해 냉동·냉장 창고 및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셔틀랙 시스템은 기존 적재 방식 대비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작업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