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획특집

[이제는 수소경제 시대 ①] 국가 에너지 시스템 변화 이끌 ‘수소경제’ 시대 개막

URL복사

[첨단 헬로티]

 

① 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문재인 대통령이 수소경제의 시작을 알렸다. 1월 17일, 2019년 첫 전국경제투어로 울산을 방문한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를 “에너지원을 석탄과 석유에서 수소로 바꾸는 산업구조의 혁명적 변화”라고 설명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정부는 이날 2040년까지 수소차 누적생산량을 620만 대로 늘려 일자리 42만 개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 담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제시했다. 정부의 진두지휘 아래 수소경제 시대의 서막이 열린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수소경제를 통해 에너지를 일정 부분 자급할 수 있게 되면 경제 성장을 더 안정적으로 이끌고 에너지 안보도 더욱 단단히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청와대>


수소에너지, 한국에게는 절호의 기회


화석연료로 산업과 사회가 움직이던 ‘탄소경제’ 시대가 저물고, 친환경 무한 자원인 ‘수소경제’ 시대가 열렸다. 문재인 대통령은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행사에 참석해 “수소경제를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우리로서는 국가 에너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면서 신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밝혔다.


수소에너지는 석탄과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친환경 에너지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사용할수록 공기가 깨끗해지는 효과가 있어 온실 가스나 미세먼지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에너지로 평가받는다.


수소에너지는 에너지 95%를 수입하는 한국이 에너지 빈민국이란 오명을 벗어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를 통해 에너지를 일정 부분 자급할 수 있게 되면 경제 성장을 더 안정적으로 이끌고 에너지 안보도 더욱 단단히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2040년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한다.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가 태동하기 시작한 지금 세계 시장 선점이 중요하다”며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에서 모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2040년 수소차 620만 대 생산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 정부는 우선 수소차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통 주력 산업인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과 연계해서 수소경제를 (우리가) 선도해나갈 수 있다”면서 “세계 최초의 수소차 양산에 성공했고 우리 수소차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50%에 달한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정부가 수소차 산업 발전을 위해 지난해 2,000대였던 수소승용차 보급을 올해 4,000대 이상으로 늘릴 예정이다. 또, 2025년까지 연 10만 대의 상업적 양산체계 구축을 실현할 계획이다. 양산 10만 대 수준이면 수소승용차 가격은 지금의 절반인 3,000만 원대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 산업부 관계자는 “2022년까지 수소승용차를 8만 1,000대 만들고, 막전극접합체 등 핵심부품의 국산화율 100% 달성하게 되면, 2040년에는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 등 620만대 생산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수소버스는 올해 7개 주요도시에 35대 보급 사업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2,000대, 2040년에는 4만대까지 늘리는 게 목표다. 경찰버스 등 공공부문 버스도 수소버스로 전환된다. 수소택시도 올해부터 서울에서 10대를 운영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 후 점차 주요 대도시에 확대 보급키로 했다.


수소차 보급 확산에 핵심 인프라인 수소충전소도 2040년까지 1,200곳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보조금이나 운영보조금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기존 액화석유가스(LPG), 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도 수소충전이 가능한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한다.


수소충전소 확산을 위해 관련 규제도 완화될 예정이다. 정부는 충전소 관련 입지제한·이격거리 규제를 완화하고,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도심지, 공공청사 등 주요 거점에 충전소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수소차 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의 지원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공급 측면에서는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도를 정비하면서 핵심 기술과 원천 기술을 국산화하고 상용화하도록 돕겠다”며 “수요 측면에서는 정부가 시장 창출의 마중물이 되겠다”고 말했다.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 15GW까지 높일 것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연료전지 분야에 대해서도 정확한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을 2040년까지 내수와 수출(7GW)을 포함해 15GW까지 확대해할 계획이다. 지난해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은 307.6MW였다. 이 생산량을 2022년까지 1.5GW(내수 1GW), 2040년까지 15GW(내수 8GW)까지 끌어올린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는 올해 상반기 연료전지 전용 LNG 요금제를 신설하고,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도 당분간 유지해 투자 불확실성을 완화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2년까지 국내 1GW 보급을 통해 규모 경제를 확보하고, 2025년에는 중소형 LNG 발전과 대등한 수준까지 발전단가를 하락시킬 방침이다.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는 2040년까지 94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2.1GW 보급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5MW였던 보급량을 2022년에는 50MW, 2040년에는 2.1GW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설치장소. 사용유형별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고, 공공기관, 민간 신축 건물에 연료전지 의무화를 검토한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대규모 발전이 용이한 수소가스터빈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해 2030년 이후 상용화시킨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수소공급체계와 관련해서는 2022년까지 연간 47만 톤을, 2040년까지 526만 톤 이상을 공급할 계획이다. 수소가격 역시 2022년 kg당 6,000원에서 2040년 3,000원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이번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차질 없이 이행해, 명실상부한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할 것”이라며 “2040년에는 연간 43조 원의 부가가치와 42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혁신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