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EEPROM의 전력 효율성 및 내구성과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 및 속도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메모리 Page EEPROM을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새로운 Page EEPROM은 점점 더 정교해지는 기능을 지원하고 데이터 집약적인 엣지 AI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의 증가하는 스토리지 요구를 충족한다. 예를 들어 귀걸이형 보청기에서는 Page EEPROM을 사용해 자재비를 절감하고 더욱 슬림하면서도 편안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Page EEPROM은 웨어러블 기기 외에도 헬스케어 기기, 자산 추적기, 전기 자전거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및 소비자 제품에 적합하다. 필리페 가니벳 ST EEPROM 제품군 부장은 “지능형 엣지가 빠르게 진화하면서 임베디드 메모리의 스토리지 밀도, 성능 및 전력 소모에 대한 요구사항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며 “새로운 Page EEPROM은 배터리 기반 원격 IoT 모듈을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보완하는 완벽한 초저전력 메모리”라고 말했다. 새로운 메모리 IC를 최초 사용한 고객사 중 하나인 비트플립 엔지니어링 소유주 패트릭 쿠스벨은 “ST의 Page EEPROM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가 올해 초 인수한 카테시암(Cartesiam)의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용 소프트웨어 툴의 첫 번째 주요 업그레이드로 나노엣지 AI 스튜디오(NanoEdge AI Studio) 버전 3을 출시했다. 새로운 버전의 나노엣지 AI 스튜디오는 AI 기능이 클라우드에서 엣지로 이동함에 따라 산업 공정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최적화하며, 로컬에서 데이터를 감지, 처리, 작동시키는 혁신 기능을 장비에서 구현해 지연시간 및 정보 보안을 개선한다. 애플리케이션 분야로는 커넥티드 기기, 가전기기, 산업 자동화 등이 포함된다. 나노엣지 AI 스튜디오는 모든 STM32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직접 구현할 수 있는 머신러닝, 이상 학습, 검출 및 분류, 회귀, 이상치 라이브러리를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새로운 버전을 통해 이러한 최첨단 머신러닝 기능을 빠르고 쉽게 비용 효율적으로 장비에 통합할 수 있으며, 데이터 과학 전문지식을 갖추지 않아도 된다. ST는 모든 STM32 개발 보드에 기본 지원을 추가한 것은 물론, 첨단 IoT 애플리케이션 시제품을 제작하는 STWIN 개발 보드에 내장된 새로운 고속 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다쏘시스템이 개방형 생태계 내의 다양한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모빌리티 4.0 챌린지’를 주최한다. 다쏘시스템은 지난 4월 스마트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생태계 연구단체인 ‘소프트웨어 리퍼블리크'의 공동 설립 발표 이후, 총 6개 회원 기업들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과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개발하는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다쏘시스템을 포함해, 아토스, 오렌지, 르노그룹,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탈레스는 '소프트웨어 리퍼블리크의 ‘모빌리티 4.0 챌린지'를 주최한다. 유럽의 주요 6개 기업들이 데이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 테크놀로지 툴을 제공하기 위해 힘을 합친 것은 처음이다. 참가자들에게 유럽 모빌리티 산업을 위한 혁신적이고 가치 있는 활용사례를 제안할 기회를 제공한다. 참가자들은 소프트웨어 리퍼블리크가 제공한 데이터를 사용해 ▲전기차의 사용자 경험 개선 ▲'멀티 모달' 접근성 ▲지능형 교통시스템 ▲사이버 보안 ▲아이디어 등 5개의 주제 중 선택하여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대회 참가자들은 주요 모빌리티 및 디지털 플레이어들에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할 기회를 갖게 되며 심사에 통과한 후보자들은 프로젝트에 필요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스텔라(Stellar) SR6 자동차용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최초 디바이스 공급을 시작해 완성차 기업들이 높은 수준의 성능과 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첨단 자동차 전장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ST에 따르면 2024년 생산을 목표로 하는 스텔라 SR6 확장형 MCU 제품군은 고성능의 효율적인 차량 플랫폼을 위한 것으로 도메인 및 존 컨트롤러에 특히 적합하며, 차량의 배선을 간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 정의(Software-Defined) 플랫폼으로 이행해 탁월한 유연성과 풍부한 기능을 제공하고 시스템 안정성을 높여준다. 마르코 몬티(Marco Monti) ST 오토모티브 및 디스크리트 그룹 사장은 “주요 고객과 협력하면서 획기적인 스텔라 SR6 MCU의 혁신기술들을 성공적으로 테스트했다”며 “이로써 생산 예정인 새로운 로드카 프로젝트에 첫 번째 디바이스를 공급하는 이정표를 달성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또 “해당 MCU는 보다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더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미래 스마트 커넥티드 자동차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원동력”이라며 “자동차 제조업체와 해당 파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와 메타-표면 설계 및 상용화 분야를 선도하는 메타렌즈가 차세대 스마트폰, 컨슈머 기기, 헬스케어,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메타렌즈의 메타-광학 기술을 위해 제조공정의 공동 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타렌즈는 이 기술을 개발한 하버드대의 페데리코 카파소 그룹에서 분사한 기업이다. 양사는 올해 말까지 이 혁신적 기술의 양산 준비를 완료할 계획이다. 메타렌즈의 다기능 메타-표면 광학장치는 차세대 스마트폰을 비롯해 다양한 컨슈머 기기와 의료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감지 기능을 구현한다. 이 새로운 평면 렌즈 기술로 구현된 카메라의 경우, 더 많은 빛을 모아 더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기존 굴절 렌즈와 동일하거나 더 나은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하면서도 전력소모와 차지하는 공간은 더 적다. ST는 프랑스 크롤에 위치한 당사의 300mm 웨이퍼 팹의 기존 회절성 광학장치 제조 공정에 메타렌즈의 메타-표면 광학 기술을 통합하고, 급성장 중인 근적외선 광학 감지 시장을 이끌어가는 ST의 입지를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ST는 ToF 근접 센서 및 거리 센서 시장에서 1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반도체 솔루션을 선도하는 글로벌 제조업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와 운송 산업용 신규 솔루션 개발을 위한 신규 리소스 사이트의 구축을 위해 협력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새롭게 구축된 마우저와 ST의 운송 프로토타이핑 에코시스템 사이트는 차세대 운송 솔루션 구축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사, 튜토리얼, 강의 및 제품 가이드를 제공한다. 해당 운송 프로토타이핑 사이트에는 전기차 설계, 음향 차량 경고 시스템, 적응형 프런트 조명 솔루션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25개 이상의 리소스가 포함돼 있다. 각 항목은 해당하는 ST 솔루션에 대한 제품 정보를 포함하며, 각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기술에 운송 설계자와 엔지니어를 연결한다. 마우저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드라이버, 평가 키트 등 운송 애플리케이션별 솔루션 등을 비롯해 다양한 ST 제품을 제공한다. ST의 음향 차량 경고 시스템 AutoDevKit은 SPC582B Power Architecture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스커버리 보드, 클래스 D 자동차 오디오 전력 증폭기 평가 보드 및 필수 스피커로 구성된다. 확
[헬로티] 다쏘시스템은 아토스, 르노그룹,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탈레스와 스마트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새로운 생태계 연구단체인 '소프트웨어 리퍼블리크(Software République)'를 공동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출처 : 다쏘시스템 5개 기업은 상호 보완적인 전문 지식을 통합한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공동 개발하고 도시, 지역, 기업, 시민에게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수단을 제공할 방침이다. 자동차 및 IT 기술 업계를 선도하는 5개 기업의 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 커넥티드 기술, 임베디드 전자제품, 버추얼 트윈 기술은 신제품 및 신규 서비스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를 통해 새로운 구성원의 가입을 도모하며, 개방형 협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따르면, 세계 모빌리티 시장은 2035년까지 60% 성장해 약 11000억유로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쏘시스템에 따르면 새롭게 등장한 전기차, 전장부품, 애프터서비스(AS) 및 기타 부가가치 서비스 등이 급격한 기술 변화와 시장 성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세계 모빌리티 시장에서 신규 시장의 점유율은 5%에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범용 광커플러 대체를 위한 새로운 고성능 IC 시리즈로 듀얼 채널 디지털 절연기 STISO621를 출시해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출처 : ST STISO621은 ST의 6kV 두꺼운 산화물 기반의 갈바닉 절연 기술을 활용해 3ns 미만의 펄스 왜곡 및 최대 100Mbit/s의 속도로 두 개의 절연 도메인 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두 개의 독립적인 단방향 채널을 사용하는 이 디바이스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UART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한다. 각 채널에 대한 슈미트 트리거(Schmitt-Trigger) 입력을 통해서는 뛰어난 노이즈 내성을 보장해준다고 ST는 밝혔다. 갈바닉 방식으로 상호 절연된 STISO621의 양 측면은 각자 독립적인 공급 전압을 가지고 있다. 3V~5V에 이르는 넓은 전압 범위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3.3V와 5V 회로 간의 레벨 변환이 가능하다. 보통 65kV/µs인 공통모드 과도응답 내성(CMTI: Common-Mode Transient Immunity)으로는 혹독한 환경의 높은 스위칭 과도 현상으로부터 저전압 측을 보호한다. STISO62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최대 200W의 고효율 전력변환 애플리케이션 설계를 간소화하는 새로운 MasterGaN4 디바이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MasterGaN4(출처 : ST) 이 전력 패키지는 225mΩ RDS(on)을 제공하는 2개의 대칭형 650V GaN(Gallium Nitride) 전력 트랜지스터와 최적화된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 보호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MasterGaN 제품군에 최근 추가된 MasterGaN4는 복잡한 게이트 제어와 회로 레이아웃 문제를 해소해 와이드 밴드갭(Wide-Bandgap) GaN 전력 반도체 설계를 간소화해준다고 ST는 밝혔다. 3.3V~15V에 이르는 입력 전압 허용오차도 제공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컨트롤러나 DSP 또는 FPGA와 같은 홀-효과(Hall-Effect) 센서나 CMOS 디바이스에 직접 패키지를 연결해 제어할 수 있다. GaN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성능을 통한 높은 동작 주파수와 열소산을 줄이는 향상된 효율성을 활용하면, 설계자는 작은 마그네틱 부품과 히트싱크를 적용해 보다 소형 및 경량으로 전원공급장치·충전기·어댑터를 구현할 수 있다고 ST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높은 정확도의 절연 및 2차측 시그마-델타 변조기인 ISOSD61 및 ISOSD61L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이 디바이스는 모터 제어, 전기차 충전소, 태양광 인버터, UPS, 서버 및 통신용 전원공급장치와 같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향상된 성능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ISOSD61은 TTL/CMOS 호환 클럭 입력과 데이터 출력 신호 레벨을 갖추고 있으며, ISOSD61L은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와 호환된다. 두 종의 제품 모두 16bit 분해능의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와 함께 일반적으로 86dB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를 제공한다. 이 디바이스는 갈바닉 절연 기술을 내장해 전력소모를 줄이고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면서도 다른 광결합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최대 ±320mV의 진폭을 가진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최대 25Msamples/s 속도로 고속 1bit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양측 간의 절연을 통해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전력선 통신(PLC: Power-Line Communication) 모뎀 칩셋인 ST8500을 지원하는 개발 에코시스템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ST8500 에코시스템(출처 : ST) 스마트 그리드와 IoT 기기의 G3-PLC 하이브리드 커넥티비티를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다. ST에 따르면, 이 에코시스템은 비면허 RF 대역인 868MHz 및 915MHz를 대상으로 하는 두 개의 평가보드와 펌웨어 문서로 구성됐으며, 사용자가 듀얼 PLC 및 RF 커넥티비티의 업계 최초 공개 표준인 G3-PLC 하이브리드를 준수하는 노드를 신속하게 구축하고 테스트해 준다. 스마트 계량기, 환경 모니터링 기기, 조명 컨트롤러, 산업용 센서와 같은 장비에 G3-PLC 하이브리드를 지원하는 ST8500 칩셋을 통합할 경우, 전력선이나 무선 채널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동적으로 변경해 가장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2019년 출시된 이 칩셋은 ST의 G3-PLC 하이브리드 펌웨어로 실행되는 ST8500 프로토콜 컨트롤러 SoC(System-on-Chip)와 STLD1 전력선 통신 라인 드라이버 및 S2-LP 서브-GHz 무선을 통합하고 있다.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대중교통 티켓 및 결제 카드 가상화를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STPay-모바일(STPay-Mobile)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STPay-모바일(출처 : ST) STPay-모바일은 모바일 기기 제조업체들이 ST의 ST54 보안 SoC(System-on-Chip) 기능을 활용해 비접촉식 거래를 처리하고, 데이터 및 인증 자격 증명과 같은 중요 정보를 보호하도록 지원한다고 ST는 설명했다. ST는 카드 가상화의 적용사례로 스노우볼 테크놀로지가 개발한 온보드(OnBoard)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대중교통 티켓 결제 솔루션을 발표하고 그 세부 정보를 공개했다. 이 플랫폼은 ST54 보안 SoC에 구현된 STPay-모바일 관리 서비스와 함께, 대중교통 운영 기관들이 간편하게 사용하고 여행자들이 편리하게 구매 및 사용할 수 있는 가상 티켓을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로 호스팅하게 해준다고 밝혔다. 스노우볼 테크놀로지의 CEO이자 공동 창업자인 시아란 피셔(Ciaran Fisher)는 “ST54 제품군과 새로운 STPay-모바일 서비스는 스노우볼의 온보드 플랫폼과 결합돼 스마트 기기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새로운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최첨단 오픈소스 보안 이니셔티브 지원을 비롯해 STM32MP1 듀얼-코어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을 지원하는 에코시스템을 확장한다고 밝혔다. ▲출처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ST는 OP-TEE(Open Portabl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및 TF-A(Trusted Firmware-A) 프로젝트와 같은 보안 메커니즘에 맞춘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STM32MP1 개발자들이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진위확인 등 애플리케이션 정보 보안의 핵심 개념을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또한, 시퀴터 랩스(Sequitur Labs)의 합류로 ST는 임베디드 보안 분야의 공인 파트너사(Authorized Partners)를 확대하게 됐다. STM32MP1을 지원하는 시퀴터 랩스의 EmSPARK 보안 수트(Security Suite)는 보안 부팅 및 장치 인증과 같은 보호 기법을 구현하면서 펌웨어 개발을 간소화해준다. 시쿼터 랩스의 CEO인 필립 앳필드(Philip Attfield)는 “ST와의 협력으로 EmSPA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제품 설계팀을 위해 STM32Cube 확장 패키지의 첫 번째 시리즈를 출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RTOS로 구동하는 차세대 스마트 커넥티드 기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STM32Cube enhanced with Azure RTOS(출처 : ST) ST와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 RTOS 수트와 원활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STM32Cube 에코시스템을 2020년 발표했다. 이런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구현된 새로운 소프트웨어 팩은 일반적인 엔지니어링 문제를 해결하고, 출시를 앞당길 수 있도록 추가 코드 예제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로열티 없이 개발자는 이 예제를 즉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의도 가능하다. ST 마이크로컨트롤러 부문 사업본부장 겸 그룹 부사장인 리카르도 드 사 어프(Ricardo de Sa Earp)는 “STM32 에코시스템은 임베디드 개발을 지원하는 업계 선도적 에코시스템으로 독보적인 인정을 받고 있으며, ST는 고객 프로젝트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와 툴을 계속 추가하고 있다”고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환경을 공간상으로 스캐닝 할 수 있는 소형 MEMS 미러를 인텔과 함께 개발했다고 밝혔다. ▲출처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인텔은 이 마이크로 미러를 기반으로 라이다(LiDAR) 시스템을 개발해 빈 피킹(Bin Picking)용 로봇팔, 체적 측정, 물류, 3D 스캐닝과 같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고해상 스캐닝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ST의 소형 크기 마이크로 미러는 인텔 리얼센스(RealSense) 라이다 카메라 L515에 내장돼 라이다 카메라를 하키공 크기(직경 61mm x 높이 26mm)로 구현한다. 이 마이크로 미러는 전체 시야 범위에 대해 연속 레이저 스캐닝이 가능하다. 리얼센스 라이다 카메라 L515는 맞춤형 포토다이오드 센서와 결합돼 전체 장면에 대한 3D 심도 맵을 렌더링한다. ST의 아날로그, MEMS 및 센서 그룹 사장인 베네데토 비냐(Benedetto Vigna)는 “ST의 2세대 마이크로 미러는 속도가 초당 30프레임에 시야각이 70° x 55°로 3D 스캐닝 및 감지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계속 새로운 기준을 수립하고 있다&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