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넷-APL은 PROCESS 계장표준으로 세계 전문 표준개발기구 4곳과 12개의 국제 자동화 메이커에서 합의하여 IEC/IEEE 등의 국제표준기관에서 공인된 새로 나온 신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과 해설이 필요하고 이 기술의 핵심 요체를 설명하는데 자세한 안내가 필요하므로 ‘이더넷-APL 길라잡이’라는 이름을 붙여 내용을 안내 하고자 작명을 했다. 지난 호에서는 이더넷-APL케이블의 다섯 가지 실드[Sheld]방법의 대안을 제시했으며. 이번 호에서는 제어기를 다중 와이어 벌크 케이블에 적용하거나, PROFIBUS PA, EtherNet/IP, PROFINET, DeviceNet, HART 등에 적용하는 시스템 마이그레이션의 예를 설명코자 한다. 제어시스템이 없는 기본 점검 기본 점검(제어 시스템 없이)은 표준 PC/노트북이나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APL 세그먼트를 가동한 후,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사용하여 APL 장치의 작동을 테스트한다. 이러한 테스트의 장점은 최소한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되는 도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테스트는 커미셔닝(commissioning) 단계
산업용 이더넷 IP4.0과 IIoT EtherNet/IP™는 현재 검증된 이산형 프로세스 자동화 네트워크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객체 지향적이고, 멀티벤더들의 상호운용성을 보유한 기술이라고 했다. EtherNet/IP™는 표준 이더넷을 기반으로 한 리소스이다. 고도로 표준화되어 IT 친화적으로 진화 중인 프로토콜이다. 자동화는 물론 수정되지 않은 IEEE의 802.3 프로토콜을 쓴다고 했다. EtherNet/IP™는 최근 가장 까다롭다는 제어계측 응용 프로그램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재설계되었으며 프로세스계장까지도 가능한 프로토콜로 진화 중이다. TCP/IP 및 상용적 기성의 하드웨어를 활용하고 HTTP, FTP, SNMP 및 DHCP를 현재 진행 중인 OPC UA Companion 사양을 통해 MQTT를 플랫폼으로 하고, 공장현장에서 클라우드로 연결을 가능케 한 가장 진보된 프로토콜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 EtherNet/IP™는 막중세로 전 세계에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고, PROFINET과 공급량 측면에서는 거의 동일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IMT-2000 3GPP-OPC UA 동반규격 CIP 예정 CIP 디바이스와 OPC UA 디바이스
조익영 전무, ODVA KOREA 인더스트리4.0과 결합된 경쟁력 및 비용에 따른 압력으로 인해 프로세스계장 자동화 장치, 에지(Edge) 및 클라우드(Cloud)를 통한 장치의 정밀 상태, 정밀 운영, 정밀 분석 및 정밀 예측, 유지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 이 프로세스계장 산업은 이더넷-APL을 통해 현장계측제어를 위한 온도, 압력, 유량, 레벨, 중량 등의 센서 및 계측제어 관련 각종 액추에이터, 트랜스듀서, 모니터, 대시보드, 프로세스 컨트롤러, PLC, DCS 등에 연결하는 등의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되며, 모든 산업계의 프로세스계장 분야에 큰 변화가 불가피하다. 높은 고정 플랜트 비용과 함께 중요한 인프라 역할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세스계장 산업의 신뢰성, 보안 및 안전 요구사항은 대부분의 다른 산업 부문보다도 훨씬 전인 1960년 전기신호 4-20mA와 1940년 공기압신호 0.2~1Kg/cm2 신호와 같은 신뢰할 수 있고 입증된 IEC 국제통일 신호 및 제어 기술로, 현재까지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공장들에서 필드버스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방법들의 단점 중 하나는 현장장치, 시운전에 몇 초가 아닌 몇 분 정도의 소요 시간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용 컴퓨팅 및 네트워크 인프라 솔루션 분야 전문업체인 Moxa는 즉시 사용 가능한 TSN(Time-Sensitive Networking) 애플리케이션 적용 솔루션을 입증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인텔 및 포트 인더스트리얼 오토메이션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솔루션은 기가비트 대역폭과 고성능은 물론, 향상된 신뢰성 및 보안을 제공한다. 칩 제조업체와 장치 제조업체, 소프트웨어 스택 제공업체로 구성된 이상적인 조합을 통해 TSN 기능의 성숙도와 잠재력, 그리고 유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확장 가능성을 공동으로 입증했다. 무선 TSN은 인더스트리4.0 및 IIoT를 어디에서나 실현할 수 있는 표준 기반의 확장 가능하고, 매우 유연한 애플리케이션의 가능성을 현실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 노력을 통해 모든 유형의 트래픽이 공존할 수 있는 진정한 통합 고성능 네트워크 인프라의 중요한 가능성을 확인했다. CLPA 에코시스템 중 가장 완벽한 CC-Link IE TSN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이번 개발을 위해 CC-Link IE TSN 인증 제품인 Moxa의 TSN 지원 스위치와 인텔의 최신 세대 프로세서인 11세대 인텔 Core
헬로티 임근난 기자 | LS일렉트릭이 국내 유일 IEC 국제 표준 기술인 RAPIEnet을 무료 개방하여 산업용 통신 기술이 필요한 기업 및 기관에서 RAPIEnet 솔루션을 직접 개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S일렉트릭 자동화연구소 개발팀 권대현 수석연구원은 “국내 자동화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어느 기업이든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오픈 프로토콜이 필요하다”며 “이런 기반 환경이 구축되어야 공급·수요기업 간의 제조 산업 경쟁력이 더욱 발달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RAPIEnet은 자동차 등 핵심 제조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RAPIEnet을 오픈하게 된 계기와 앞으로의 기대를 권대현 수석에게 들어봤다. Q. RAPIEnet에 대해 아직 모르는 독자들을 위해 간단한 설명 부탁드린다. A. 국내에서는 산업용 통신 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LS일렉트릭(구 LS산전)이 국내 최초로 네트워크 분야 IEC 규격을 추진했다. RAPIEnet(Real-time Automation Protocols for Industrial Ethernet)은 대한민국의 산업 강화와 외국 진출 교두보 마련을 위하여 토폴로지, 퍼포먼스, 메인터넌스에
[첨단 헬로티] FieldComm Group, ODVA 및 PI는 산업용 이더넷을 위한 고급 물리 계층(APL)에 공동 업데이트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에머슨이 업계 파트너로서 APL 프로젝트에 합류했다고 발표했다. 산업 이외에 파트너인 APL 프로젝트 멤버에는 3개의 주요 표준 개발 조직인 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PI), FieldComm Group(FCG) 및 ODVA가 포함된다. 에머슨은 11 개의 다른 산업 파트너와 함께 산업용 이더넷을 위한 고급 물리 계층 개발 프로젝트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합류를 결정했다. 계측기의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에 사용 적합한 Ethernet-APL은 최근 개발에 대한 중요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먼저, Ethernet-APL의 기반이 되고 IEEE 10d-T1L(10BASE-T1L) 표준(옵션 전원 공급 장치가 있는 단일 트위스트 페어 이더넷에서 10Mbit/s를 정의 함)이 2019년 11 월 7 일 목요일 IEEE 표준으로 승인됐다. 앞으로 몇 달 안에 표준이 발표될 예정이다. 장거리 단일 페어 이더넷을위한 IEEE 802.3 표준의 향상된 기능은 2020년 PI, FC
[첨단 헬로티] 향상된 연속식 잉크젯 프린터로 고속 메시지 교체 및 설치 용이성 달성 마킹 및 인쇄, 바코드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비디오젯 테크놀로지(Videojet Technologies)는 Videojet 1860 연속식 잉크젯 프린터용 신규 워크플로우 모듈인 'PROFINET'를 출시했다. PROFINET는 자동화를 위한 개방형 산업 이더넷 표준으로, 여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Videojet VOC 조사 결과 대부분의 생산 환경에서 생산성 증가 및 조업중단 감소가 핵심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업체는 가동시간과 지속적인 개선이 직접 수치들에 반영되는 환경에 있으며, 높은 운영 비용과 높은 생산성 요구 사항으로 인해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이 더 중요해졌다. ▲Videojet 1860 연속식 잉크젯 프린터 신규 워크플로우 모듈인 PROFINET로 더욱 향상된 Videojet 1860 연속식 잉크젯 프린터는 자동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실시간 성능 및 통신 교체를 제공해 단기간에 시스템 상태를 파악해 예기치 않은 조업중단의 빈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새로운 워크플로우 모듈은Videojet 1860 연속식 잉크젯 프린터와 PLC 간의 고
[첨단 헬로티] 네트워크 커넥티비티 솔루션 글로벌기업 힐셔가 필드 디바이스에 산업용 이더넷, 트랜스페어런트 이더넷, OPC UA/MQTT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netIOT 인터페이스 솔루션을 출시했다. 최근 IoT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설비 제조업체들은 예방적 유지보수, 상태 모니터링과 같은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의 부가가치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든 새로운 서비스는 필드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문제는 디바이스 제조업체들이 이러한 IoT 관련 데이터를 어떻게 제공하고,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이나 edge gateway를 통해 완전하게 활용할 수 있느냐이다. ▲ netIOT 인터페이스 netRAPID 힐셔의 netIOT 인터페이스는 임베디드 설계를 위한 확장형 솔루션으로 유연성이 뛰어난 다중 프로토콜 칩 netX부터 즉시 솔더링 가능한 netX 칩 캐리어 및 플러그형 모듈에 이르기까지 통신 인터페이스 형태로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힐셔 관계자는 “디바이스 제조업체들은 힐셔의 netIOT 인터페이스 솔루션을 이용해서 디바이스에 산업용 이더넷, 트랜스페어런트 이더넷(Transparent Ethernet)과 함께 OPC
[첨단 헬로티] 지멘스는 Sinamics S210 서보 드라이브 시스템에 확장 안전 통합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새로운 컨버터에는 이미 STO(Safe Torque Off), SS1(Safe Stop 1) 및 SBC(Safe Brake Control)와 같은 안전 통합 기능이 표준으로 적용되고 있다. STO 및 SS1 기능은 단자 또는 Profisafe를 통해 활성화할 수 있다. Sinamics S210의 펌웨어 버전 V5.1 SP1, SS2(Safe Stop 2), SOS(Safe Operating Stop), SLS(Safely Limited Speed), SSM(Safe Speed Monitor), SDI(Safe Direction) 및 SBT(Safe Brake Test)와 함께 도입된 확장 안전 통합 기능은 장비 기능의 포괄적인 보호를 가능하게 한다. 확장 안전 기능은 Sinamics S210 컨버터의 경우 라이선스를 통해 활성화할 수 있으며, 중·대형 컨트롤러인 Simatic S71500F 또는 S71500TF의 경우 Profisafe를 통해 활성화된다. Simotics S-1FK2 모터 인코더도 확장 안전 기능
[첨단 헬로티] 산업용 통신 솔루션 선두업체인 힐셔(Hilscher)는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11월 28일부터 30일, 3일간 진행되는 SPS IPC Drives 2017(전기/자동화 제품박람회)에서 SAP AIN(Asset Intelligence Network)을 위한 netIOT 기반 통합 솔루션을 출시했다. 회사에 따르면, netIOT Edge Gateway 제품군의 가장 큰 장점은 IT 인프라 내의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 작업 현장에서 디바이스 및 데이터를 사전처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데이터 및 함수의 접근은 표준화 된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되며, IT 표준(OPC UA, REST)으로 변환된다. 힐셔는 SAP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NetIOT Edge Gateway의 기본 인터페이스를 SAP AIN 의 자산 구조에 맞게 개발하였다. Edge Gateway에 탑재 된 장치 설명 해독기는 힐셔가 개발한 토폴로지 인식 기능을 통해 발견된 모든 장치를 식별한다. 먼저, PROFINET 네트워크 분석에 우선 순위를 두고있다. 그렇지만, EtherNet/IP 등의 추가 프로토콜 개발은 이미 진행되고 있다. 힐셔가 수십 년간 netX 칩 제
[첨단 헬로티] 산업용 통신 솔루션업체인 힐셔가 CC-Link IE와 프로피넷 간의 원활한 정보 공유를 위한 커플러 제품 시장 출시가 임박했음을 알렸다. CC-Link협회와 프로피버스 및 프로피넷협회가 CC-Link IE와 프로피넷 간 상호운용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공동 사양을 발표했을 당시, 양 기관은 두 프로토콜 간의 투명한 통신을 실현할 수 있는 ‘커플러’ 장치 기능 사양에 집중했었다. 공장은 이 새로운 커플러를 통해 분리된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파트 간에 보다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투명성과 통합성을 한층 높인다. 두 네트워크 사이의 단순한 브릿지 역할은 그 동안 전 세계의 수많은 공장에서 다양한 네트워크와 호환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 작업의 부담을 극도로 줄여준다. 특히, 지금까지는 기계를 선택할 때 기능이나 성능을 어느 정도 포기하더라도 단일 네트워크 프로토콜 유지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더 우선 시 했다면, 이제는 세계 각지 다양한 공급업체들의 최상의 기계를 쉽게 선택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CC-Link IE는 아시아 시장에서 인정받는 선도 기술이며, PROFINET은 유럽에서 가장 보편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