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LG CNS가 메타버스 전문기업 오비스와 손잡고 기업 맞춤형 메타버스 오피스 서비스를 출시했다. 양사는 최근 기업용 메타버스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메타버스 플랫폼 '오비스’를 기반으로 비대면∙대면 근무가 혼재된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메타버스 공간이 일회성 이벤트 장소에서 프로페셔널 업무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LG CNS는 고객사 업무 시스템을 오비스 플랫폼과 최적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일 송수신, 사내 공지사항 열람, 일정 확인 등 업무 기능을 메타버스에 그대로 구현한다. LG CNS는 30여년간 금융, 물류, 제조 등 각종 산업에서 디지털 전환(DX)을 수행한 노하우를 활용한다. 이를 토대로 산업별 고객 니즈에 맞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설계한다. 예를 들면, 임직원이 메타버스 사무실에 접속하면 일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료 아바타를 클릭하면 동료의 하루 일정표를 확인하고, 채팅으로 소통한다. 팀원들이 모여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도 있다. 서비스 출시에 앞서 LG CNS는 오비스 플랫폼 내 메타버스 공간을 마련하고, 사내 임직원을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을 검증했다. 오비스 플랫폼
헬로티 서재창 기자 | LG CNS 사내벤처 ‘폴리오컴퍼니’가 최근 분사했다. 2018년 ‘단비’, 지난해 ‘햄프킹’에 이어 세 번째다. LG CNS는 2016년부터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아이디어 몬스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제도를 통해 사내 DX 전문가 누구나 AI, 빅데이터, RPA 등 IT신기술을 활용해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도전할 수 있다. 아이디어 몬스터는 사내벤처를 위한 자금, 공간, 인력을 지원한다. 원활한 기술 개발을 위해 연간 최대 10억 원의 운영자금을 지원하고, 마곡 본사에 별도 업무공간도 제공한다. 연구·전문위원, 마이스터 등 사내 DX기술 전문가로부터 기술 조언은 물론, 사내 변호사의 법률 상담까지 제공한다. 파격적인 지원이 제공되는 만큼, 아이디어 몬스터 대상자로 선발되는 과정은 까다롭다. LG CNS는 DX 기술 경쟁력,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에 대해 검증을 반복한다. 평균 30개 이상의 창업팀이 지원하지만 최종 2~3개 팀만 선정된다. 아이디어 몬스터에 선발되더라도 분사로 이어지는 사내벤처 비중은 30% 수준이다. 사내벤처는 주기적으로 사업성 평가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LG CNS는 지난해부터 폴리오컴퍼니를 육성했
헬로티 서재창 기자 | LG CNS가 구글 클라우드의 ‘머신러닝 전문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구글 클라우드의 ‘머신러닝 전문기업’ 인증 획득은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다. 구글 클라우드는 17개 종류의 전문기업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전문기업 인증서는 각 기술 분야에서 실제 적용사례를 통한 전문성을 검증한 기업에게 발행된다. 머신러닝 전문기업 인증 획득은 구글 클라우드로부터 AI/머신러닝 분야의 전문 역량을 인정 받았다는 의미다. LG CNS는 국내 최초 AI/머신러닝 인증과 동시에 구글 클라우드의 사업 파트너로서 신뢰도를 강화했다. 엑센츄어, 딜로이트, 슬라럼 등 유명 글로벌 기업이 획득한 인증이기도 하다. 머신러닝 전문기업 인증 획득을 위해서는 AI/머신러닝 기술과 관련된 6개 분야 33개 항목에 대한 전문성 검증을 통과해야 한다. 33개 항목에는 AI/머신러닝 사업 성공사례와 기술 역량, 구글에서 인증한 ‘프로페셔널 머신러닝 엔지니어’ 보유, 회사의 AI 전문조직 현황과 투자계획 등이 포함돼 있다. 모든 항목에서 구글 클라우드가 제시하는 수준 이상의 자격을 갖춰야 한다. 즉, AI 사업에 필요한 데이터 탐색, 머신러닝 모델 구현, AI 학습, 사업
[헬로티] LG CNS가 안랩과 손잡고 클라우드 보안시장 공략에 나선다. 양사는 지난 16일 마곡 LG CNS 본사에서 ‘클라우드 보안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LG CNS 현신균 부사장, 배민 상무와 안랩 강석균 대표, 김학선 전무 등이 참석했다. ▲(왼쪽부터) 현신균 LG CNS DTI사업부 부사장, 강석균 안랩 강석균 대표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클라우드에 특화된 보안 패키지 개발, 클라우드 보안 기술 협력, 사업 제안 및 프로모션 등 클라우드 보안 사업을 공동 추진한다. LG CNS는 제조, 금융, 통신, 화학, 항공 등 다양한 산업별 클라우드 보안 사업 경험이 풍부하다. LG계열사 등 대형 클라우드 전환 사업 수행 과정에서 보안 컨설팅부터 솔루션 구축, 운영, 관제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클라우드 보안 기술력을 입증했다. 자체 스마트 보안 관제 센터를 운영하며 고객사의 네트워크, 단말기, 웹 등을 24시간 365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있다. 최근 아마존웹서비스(AWS)의 ‘클라우드 보안 역량 인증’ 중 ‘보안 엔지니어링’ 분야 인증을 국내 최초로 취
[헬로티] LG CNS가 AI 영어 학습 서비스 'AI 스피크 튜터'로 일본 교육 시장에 진출한다. ▲LG CNS 직원이 일본에서 출시한 'AI 스피크 튜터'를 선보이고 있다. AI튜터는 국내 약 60만 명의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AI 기반 스마트폰 앱이다. LG 계열사 및 대기업을 포함한 약 150개 기업에서 임직원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있다. LG CNS는 자체 개발한 AI 회화 알고리즘과 음성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을 비롯해 해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이에 12일인 오늘 일본 현지 기업 이온과 손잡고 일본판 AI 튜터인 AI 스피크 튜터를 출시했다. 이온은 KDDI 그룹의 자회사로 일본에서 250여개의 직영 어학원을 운영하는 일본의 유명 어학업체다. KDDI 그룹은 일본의 2위 통신회사다. 이온은 기존 수강생을 대상으로 AI 스피크 튜터를 선공개한다. 다음달부터는 일반인도 ‘AI 스피크 튜터’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LG CNS는 일본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화 전략을 펼쳤다. 기존의 AI튜터 학습 콘텐츠를 단순히 일본어로 번역한 게 아닌 일본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해
[헬로티] 데브온 NCD, 코딩 없이 프로그램 개발...한 달 교육이면 일반인도 활용 일반인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LG CNS ‘데브온 NCD(DevOn NCD)’를 이용하면 개발언어를 입력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LG CNS가 2일 코딩 없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데브온 NCD’를 무료 배포했다. LG CNS는 2일 프로그램 개발 플랫폼 데브온 NCD를 회사 공식 홈페이지에 무료 공개했다. 웨비나를 통해 데브온 NCD를 시연하고 현장 적용사례, 향후 계획 등을 소개했다. 데브온 NCD의 NCD는 ‘코딩 없는 개발(No Coding Development)’을 뜻한다. 데브온 NCD는 개발언어를 입력하는 과정인 코딩을 생략했다. 기존에는 개발자가 외국어를 학습하듯 자바(JAVA), C언어 등 여러 개발언어를 숙지하고 손수 입력해야만 했다. 데브온 NCD는 개발 과정을 간소화하면서도 코딩 전문가 수준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데브온 NCD는 마우스로 컴퓨터 바탕화면 속 아이콘을 옮기듯 손쉽게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개발자는 아이콘
[헬로티] LG CNS가 입맛대로 골라 쓰는 기업용 ‘AI 서비스 플랫폼’을 선보인다. ▲LG CNS가 기업용 'AI 서비스 플랫폼'을 출시했다. LG CNS는 15일 오후 2시부터 AI 서비스 플랫폼 관련 웹 세미나를 개최하고 LG CNS가 제공하는 AI 서비스와 실제 적용사례 등을 소개한다. LG CNS의 AI 서비스 플랫폼은 시각 AI 3종, 언어 AI 6종, 복합 AI 1종 등 10대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새롭게 오픈한 AI 서비스 포털에 접속해 이용이 가능하며 기업이 업무 처리 시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을 해결하는 AI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사용자가 AI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는 일종의 ‘AI 쇼핑몰’을 만든 것이다. 배송하기 전에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제대로 구성됐는지 신속하게 확인하고 싶은 기업은 시각 AI의 상품인식을 활용하면 된다. AI가 0.1초만에 어떤 제품인지 상품 구성을 정확히 확인한다. 폭증하는 주문에도 신속한 배송이 가능하다. 수십만 개의 직원용 교육자료를 직급별, 직무별로 분류하고 싶은 기업은 언어 AI의 문서 유형 분류를 선택한다. 이 기능으로 하루(약 20시간)에
[헬로티] - 음성 인식하고 문장 분석해 사람과 AI의 자연스러운 대화 구현 LG CNS가 AI 영어 교육 서비스 ‘AI튜터’를 100만명 사용자 대상으로 한달 무상 제공에 나선다. AI튜터 무상 이벤트는 캐럿글로벌 홈페이지에서 8월 말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 영어 공부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AI튜터는 수십 만개의 영어 문장을 학습한 AI와 함께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으로 영어 회화 공부가 가능한 비대면 외국어 학습 서비스다. AI튜터는 사람이 아닌 AI 선생님과의 대화로 진행되기 때문에 틀리거나, 더듬거리는 등 영어 실력에 자신이 없어 생기는 울렁증을 극복하고, 영어 말하기에 자신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학습 방법이다. 최근 빠르게 발전하는 IT신기술, 비대면 비즈니스와 함께 학습 방법도 변화하고 있다. 학원 수강에서 전화영어·동영상강의로, 이제는 AI 기술과 접목한 학습으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다. AI튜터를 사용하면 영어 학원에 나가 사람들과 대면할 필요 없어, 코로나 전염 걱정 없이 영어 공부가 가능하다. LG CNS AI튜터는 AI를 통한 음성 인식 기술과 문장 분석 기술을 결합해 사람과 AI간
[첨단 헬로티] 양사 솔루션 노하우 결합해 국내 제조기업에 특화된 스마트팩토리 서비스 개발 착수 SAP 코리아와 LG CNS가 국내 제조기업의 성공적인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LG CNS 하이테크사업부 이재성 부사장, LG CNS 최고기술책임자(CTO) 현신균 부사장을 비롯해 SAP 스콧 러셀(Scott Russell) 아태지역 회장과 SAP 코리아 이성열 대표이사 등이 MOU 체결식에 참석해 향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SAP 코리아와 LG CNS가 국내 제조기업의 성공적인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SAP와 LG CNS는 이번 파트너십을 필두로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공동 사업과 국내 제조기업의 디지털 변혁 지원을 위한 다각도의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독일 인더스트리 4.0을 이끈 SAP의 글로벌 노하우에 LG CNS가 20년 이상 국내 시장에서 쌓아온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운영 역량을 결합해 대한민국 제조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고객 맞춤형 주문생산 모델(OCP, Order Controlled Production)'을 공동 개발한다. 또한, LG CNS의 통합 스마트팩
[첨단 헬로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방위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MOU) 체결 LG CNS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이하 MS)와 손잡고 차세대 업무 혁신을 위한 디지털 워크플레이스(Digital Workplace) 솔루션 개발을 추진한다. LG CNS는 지난 14일 싱가포르에 위치한 MS 아시아태평양(APAC) 본부에서 MS와 차세대 업무환경 혁신 솔루션,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신기술 및 솔루션 개발 협력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방위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안드레아 델라 마테아 MS 아태지역 사장과 김영섭 LG CNS 사장이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체결식에는 김영섭 LG CNS 사장, 최문근 LG CNS 클라우드/서비스사업부 상무, 안드레아 델라 마테아 (Andrea Della Mattea) MS 아태지역 사장, 이지은 한국MS 부사장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MS의 업무 협업 솔루션 역량 및 클라우드 전문성에 LG CNS의 IT시스템 구축 및 운영 노하우를 결합해 차세대 업무 혁신 솔루션 개발에 협력하기로 하고, 올해 하반기부터 태스크포스(TF)를
[첨단 헬로티] LG CNS와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협력해 국내 클라우드 전환을 주도한다. 지난 15일, LG CNS는 AWS와 클라우드 사업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 계약(Strategic Enablement Collaboration)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은 마곡 LG사이언스파크내 LG CNS 본사에서 김영섭 LG CNS 사장, 현신균 CTO 부사장, 이재성 하이테크사업부장 부사장, 최문근 클라우드/서비스사업부장 상무, 에드 렌타(Ed Lenta) AWS 아시아태평양지역(APAC) 총괄 디렉터, 장정욱 AWS코리아 대표이사를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LG CNS와 AWS가 전략적 협력 계약 체결식 이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LG CNS와 AWS는 국내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보다 빠르고 쉽게 채택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전환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해 선보일 예정이다. 양사는 AWS의 글로벌 클라우드 전문성, 탁월한 안정성, 보안 및 성능에 LG CNS의 우수한 국내 IT시스템 구축 및 운영 노하우를 통합, 국내 기업들의 효과적인 클라우드 전환을 지원키로 했다. 특히 LG CN
[첨단 헬로티] 엘지씨엔에스(www.lgcns.co.kr/)가 10월 11일(수)부터 13일(금)까지 개최되는 ‘2017년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에 참가하여 소비자의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능동형 Safezone 솔루션을 소개했다. 엘지씨엔에스는 이 Safezone 솔루션을 고객 요청에 따라 초기 단계에서부터 컨설팅, 제안, 구축,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원 스탑 토탈 오퍼링으로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엘지씨엔에스의 Safezone IoT는 IoT 디바이스 보안을 위한 디바이스-서버 간 상호 인증, 펌웨어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며 디바이스 보안보듈과 서버 보안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PUF 칩 기반 디바이스 보안 제품은 IoT 전용 경량 보안칩이 사용돼 HSM 대비 낮은 비용으로 보안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이번 전시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사물인터넷협회 등이 주관하는 IoT 진흥주간(IoT Week Korea 2017)의 행사 중 하나로, 일상생활은 물론 제조, 건설, 가전, 의료, 에너지 등 전 산업 분야에 사물인터넷(IoT)이 활용되는 제품 및 서비스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자리다.
[첨단 헬로티] LG CNS(대표: 김영섭)가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글로벌 클라우드 1위 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국내 클라우드 시장 본격 공략에 나선다. 국내 대형 IT서비스 업체가 퍼블릭 클라우드 사업에 본격 나선다는 점에서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LG CNS가 보유한 다양한 산업 분야 IT서비스 역량, AWS 클라우드 컨설팅 노하우 등 상호 강점을 결합할 수 있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대기업들이 내부 인프라를 퍼블릭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흐름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했다. AWS는 LG CNS의 대규모 IT시스템 구축 역량과 민관을 아우르는 솔루션 제공 실적 및 운영 노하우를 활용해 국내 고객 군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LG CNS는 AWS의 클라우드 전략, 방법론, 컨설팅 역량을 지원 받는다. 이를 통해 LG CNS 자체 클라우드 기술의 완성도를 높여 컨설팅 · 계획 · 설계 · 구축 · 운영까지 클라우드 전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LG CNS와 AWS는 클라우드 전환 비용, 보안상의 문제 뿐만 아니라 기업에 적합한 형태와
[헬로티] LG CNS(대표 김영섭)는 종합 경비보안 서비스 기업 CJ 계열사 SG생활안전(대표 이상룡)과 클라우드 기반 출입통제보안 사업 개척에 나선다. LG CNS와 SG생활안전은 최근 국내외 중 ∙ 대형 기업을 대상으로 출입통제보안 사업 확대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하고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LG CNS에 따르면 B2B 보안 시장에서 출입통제보안 서비스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업장 환경에 맞춰 다양한 식별 매체나 인식 장비와 연계하고, 출입에 의한 보안 사고 위협을 최소화하는 ICT기반 보안체계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한 보안 시스템은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신규 보안 서비스 확장이나 기존 서비스간 조합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강점이 있다. 특히 중소 기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보안 통합관리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게 됐다고 LG CNS는 설명했다. LG CNS는 LG계열사 국내외 다수 사업장에 클라우드 기반 출입통제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출입통제 시스템에 영상 정보를 결합해 상황 인식 및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기업별로 특화된 출입정책에 따라 자동화된 통합보안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솔미놀은 문서인식 솔루션의 전문업체인 미국 뉘앙스(NUANCE)의 ‘PowerPDF(파워피디에프)’를 LGCNS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MASHUP+를 통해 서비스한다. 미국 NUANCE 사의 한국총판인 솔미놀은 음성인식 및 이미지 테크놀로지 기술을 보유한 Nuance사의 기술을 토대로 음성인식 기술(STT 및 TTS) 을 한국 시장에 보급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미지 테크놀로지 분야에서도 PDF 솔루션을 패키지 형태는 물론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시장에 공급한다. 이번에 실시되는 PowerPDF 제품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뉘앙스사의 문자인식, 음성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된 Power PDF를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경제적인 가격에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 PowerPDF는 10년 이상 전 세계 다수의 언어로 출시되고 있는 제품으로, 성능의 우수성을 인정 받고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PDF 생성, 편집, 역변환 기능과 종이 문서를 스캔해서 PDF로 만들고 텍스트 파일로 추출하는 기능 및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 파일 축소, 클라우드 연결 등 시장에 나와 있는 PDF 애플리케이션 제품들이 지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