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현대모비스가 유럽과 북미 글로벌 양대 시장에서 미래차 신기술 홍보와 함께 공격적인 시장개척에 나선다. 현대모비스는 북미 자동차 산업의 심장인 디트로이트에서 열리는 모터벨라(Motor Bella)에 처음으로 참가해 북미 완성차 업체들을 대상으로 신기술 수주 확대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현대모비스의 신기술을 적극 선보이는 한편, 고객사와 접점을 강화해 글로벌 완성차로부터 수주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현대모비스는 북미지역에서 열리는 전시회인 CES에는 지속적으로 참가하고 있지만 현지 모터쇼 참가는 이번이 처음이다. 모터벨라는 세계 최대 모터쇼 중 하나인 디트로이트 모터쇼(NAIAS)를 대신해 개최하는 전시회다. 코로나19 상황으로 대규모 실내 전시시설 운영이 어렵게 되자 야외 서킷에서 진행되는 체험형 행사인 모터벨라가 이를 대신하게 됐다. 모터벨라는 오는 21일부터 26일까지 디트로이트 인근 폰티악 M1 중앙광장에서 열린다. 현대모비스는 전시회 기간 중 북미법인과 최근 구성한 핵심고객 전담 영업조직(KAM), 북미연구소를 중심으로 ‘모비스 테크데이’를 개최한다. 현대모비스가 보유한 자율주행과 전동화, 인포테인먼트 신기술을 고객사를 초청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안경에 증강 현실(AR)이 구현되거나 차 앞유리에 유용한 정보를 표시해 안전 운전을 안내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의 새로운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스캐너 칩셋이 이들을 가능하게 한다. MEMS 미러와 MEMS 드라이버로 구성된 MEMS 스캐너 칩셋은 소형 크기와 낮은 전력 소모로 웨어러블이나 차량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애플리케이션에 증강 현실이 도입되도록 한다. 인피니언의 자동차용 MEMS 제품 라인 책임자인 촬스 찬(Charles Chan)은 “증강 현실 솔루션은 유용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해서 실제 환경을 풍부하게 하고, 업무나 놀이에 있어 사람을 도울 뿐 아니라 특히 도로 상에서 사람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안경 위에 지도, 인포테인먼트, 메시지 같은 것들을 표시해서 가까운 수퍼마켓이나 주차 공간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준다. 운전자 앞의 작은 영역이 아니라 차량 앞유리 전체에 경로 내비게이션에서부터 운전자 지원 시스템에 이르는 다양한 유용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에 들어서며 차량 내부 공간 활용성이 중요해진 가운데 현대모비스가 자율주행과 전동화에 최적화된 신개념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제적으로 선보였다. 현대모비스가 클러스터와 HUD(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통합한 ‘클러스터리스 HUD’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클러스터리스 HUD는 클러스터에 표시하는 각종 주행정보를 운전자 정면의 HUD(Head Up Display)와 AVNT(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텔레커뮤니케이션)로 분산시켜 운전자들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한 차세대 운전석 기술이다. 클러스터리스 HUD는 속도와 RPM 등 상시 필수 주행정보를 운전자 눈높이로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길 안내 등 HUD 본연의 주행보조 기능까지 더해 안전과 편의성을 대폭 개선했다. 디자인 차별화를 이뤄내고 주행정보표시 시인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른 보조적인 주행 정보는 AVNT에 표시된다. 클러스터리스 HUD는 상단의 세 구역과 하단의 한 구역 총 4개의 표시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에는 속도, RPM, ADAS 관련 정보, 길안내 정보 등을 보여준다. 하단에서는 변속 모드, 냉각수
[헬로티] 국내 중소기업과 협업을 통한 기술력 확보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해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기술의 실감성을 향상한, 증강현실 HUD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HUD 프로젝터 차량용 HUD는 유리창이나 별도의 스크린을 통해 그래픽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주행 안정성은 뛰어나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위한 실감 정보 표현에 한계가 있었다. KETI가 개발한 이번 기술은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필름을 이용한다. 차량 전면 유리창을 통해 도로나 주변 지형지물에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기존의 차량용 HUD보다 실감성 높은 광시야각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주행 중 시야 범위의 왜곡을 줄이고, 운전자 중심의 HUD 서비스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기술은 1만 니트 이상의 HUD용 레이저 프린터 개발을 통해 밝은 곳에서도 영상이 뚜렷하다. 운전자의 전망 주시각과 일치성을 높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했다. 특히 이번 기술은 전체 개발과정을 국내 기술력으로 확보해 의미가 있다. 홀로그램 기반 증강현실 분야의 국내 원천기술 수준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동시에 해외 의존도를 줄여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