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E는 5세대 AMD 에픽(EPYC) 프로세서와 AMD 인스팅트(Instinct) MI325X 가속기를 탑재한 복합 AI 모델 학습용 HPE 프로라이언트 컴퓨트 XD685(HPE ProLiant Compute XD685) 서버를 출시했다. 새로운 HPE 시스템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학습, 자연어 처리 및 멀티 모달 학습을 위한 고성능의 에너지 효율적 인공지능(AI) 클러스터를 신속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최적화됐다. AI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인력 생산성, 의료, 기후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AI 서비스 제공업체, 정부, 대규모 모델 개발자들은 신속하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유연하고 고성능의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 트리시 댐크로거 HPE HPC 및 AI 인프라 솔루션 부문 수석 부사장 및 책임자는 “대규모 언어 모델을 효율적으로 학습하려면 뛰어난 확장성, 대규모 병렬 컴퓨팅 성능, 그리고 HPE의 고성능 컴퓨팅 솔루션만이 제공할 수 있는 독보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며 “AMD와 협력해 HPE 프로라이언트 컴퓨트 XD685로 AI 모델 개발자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HPE가 SK C&C 사내 가상데스크탑 인프라(이하 ‘VDI’)를 HPE 그린레이크 엣지-투-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신규 클라우드 VDI 서비스로 새롭게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양사는 HPE 그린레이크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HPE 심플리비티 HCI를 활용해 사용자 VDI를 최적화하고, SK C&C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했다. SK C&C는 클라우드 전환 컨설팅, 아키텍처 설계 및 마이그레이션 사업 등과 같이 IT/ICT 전 영역에서 다양한 융합을 통해 제조, 통신, 금융, 에너지 등 산업 전반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SK C&C는 대응시간, 퍼포먼스를 더욱 향상시키고 다운타임 및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형 솔루션을 도입하며 이번 시스템 전환 프로젝트를 실행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확보한 기술 기반으로 대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완전 관리형태의 서비스형 데스크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SK C&C는 이번 시스템 전환에 HPE 심플리비티 및 HPE 그린레이크를 채택하게 된 가장 큰 이유로 운영 관리 용이성 및 비용 효율
헬로티 서재창 기자 | HPE가 통합 5G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새롭게 출시하며 자사 5G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5G 기능이 추가된 HPE 서비스 디렉터와 HPE 5G 자동화 어슈어런스 솔루션은 5G 네트워크 관리를 간소화해주고, 제로 터치 폐쇄형 루프 시스템을 활용해 설치 시 리스크를 대폭 감소시켜준다. 해당 신규 제품은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동으로 감지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네트워크 기능, 인프라, 슬라이스 및 서버를 효율적으로 모니터 및 운영할 수 있다. 또한, HPE 5G 코어 스택과 같은 HPE의 오픈 5G 솔루션에 사전 통합돼 제공되며 멀티 벤더 환경에서도 통합되도록 오픈 API를 제공하고 오픈 소스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기업이 5G를 도입하는 경우 대역폭, 레이턴시, 지원 가능한 기기 및 서비스 수는 대폭 향상된다는 장점은 있지만 동시에 엄청난 복잡성과 네트워크 운영 리스크를 안겨준다는 부담도 있다. 한 예로, IT 기업은 5G 표준화를 통해 오픈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바탕으로 다양한 벤더사의 분산형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이용할 수 있지만, 5G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통신사는 수천 곳의 사이트 간 네트워크 슬라이스, 수천 개의
[헬로티] HPE가 세계 최대 테크 기업 세 곳의 저탄소 특허 지원 선언(The Low-Carbon Patent Pledge)으로 저탄소 기술 개발 중인 혁신 기업이 자유롭게 관련 특허 기술을 사용하게 됐다고 밝혔다. 지구의 날인 지난 4월 22일부터 HPE를 비롯해 페이스북 및 마이크로소프트 3사는 저탄소 기술 채택 가속화를 위해 핵심 특허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HPE의 주도하에 저탄소 에너지의 발전, 저장 및 보급을 위한 저탄소 솔루션 개발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수백 개의 특허권 사용료가 면제된다. 저탄소 특허 지원 선언은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계의 지속적인 메시지를 바탕으로 시작됐다. 전 세계 과학계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재앙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탄소 배출을 절감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 제로상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탄소 배출량의 절반 수준까지 감축이 필요하지만, 국제 에너지 기구 IEA에 따르면 이를 위한 관련 기술은 아직 상용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번 3사가 지원하는 특허 기술들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탄소배출 예방 및 적용 기술이다. 전
[헬로티] HCI 솔루션 공급 확대해 국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장 공략 뉴타닉스는 SK네트웍스서비스와 국내 총판 계약을 체결해 국내 판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박용진 SK네트웍스서비스 IT 솔루션 사업본부장(좌), 김종덕 뉴타닉스 코리아 사장(우) 양사는 지난 11일 SK네트웍스서비스 본사에서 각사 대표 및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뉴타닉스코리아-SK네트웍스서비스, 총판 계약 체결 조인식'을 가졌다. 뉴타닉스와 SK네트웍스서비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고객 서비스 강화와 신규 고객 발굴에 상호 협력할 방침이다. 양사는 뉴타닉스 IT 자동화 솔루션인 ‘뉴타닉스 캄’, 데이터베이스 자동화 솔루션 ‘뉴타닉스 이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솔루션 ‘뉴타닉스 클러스터’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나선다. 특히, 뉴타닉스는 SK네트웍스서비스가 공급하는 휴렛패커트엔터프라이즈(HPE), 시트릭스 등 주력제품과 협력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솔루션에 대한 국내 수요를 충족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뉴타닉스는 HPE와 HPE의 하드웨어를 기본으로 한 DX 제품군을 비롯해 원격 근무를 지원하는 시트릭스의 데스크톱
[헬로티] HPE는 그린레이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 솔루션을 서비스형으로 제공하기 위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했다. ▲출처 : HPE 최근 발표된 신규 HPC용 'HPE 그린레이크 클라우드 서비스'는 HPE HPC 시스템 포트폴리오를 소비 기반 모델로 전환하며 애자일한 IT 환경을 제공한다. 기업 고객은 온프레미스 또는 코로케이션 시설에서 유연한 서비스형 플랫폼을 활용하며, 어떠한 워크로드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바탕으로 ML 및 AI 시스템 운영과 신속한 인사이트 도출 및 서비스 개시가 가능하다. 해당 신규 서비스는 다양한 규모의 HPC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킹 솔루션을 목적 별로 다양하게 구성하고, 완전한 관리 기능과 사전 번들 구성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HPC 설치 시 존재하던 복잡성과 비용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피터 웅가로(Peter Ungaro) HPE 본사 HPC 및 MCS 총괄 겸 부사장은 "AI와 애널리틱스 등으로 인한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로 스타트업에서 대기업에 이르는 다양한 기업의 HPC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피터 웅가로 부사장은
[헬로티]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글로벌 IT 기업 휴렛패커드 엔터프라이즈(이하 HPE)와 함께 한국 5G MEC(모바일 에지 컴퓨팅) 기술을 해외로 확산한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21일 서울 을지로 SKT 본사에서 HPE APAC 및 한국 HPE와 ‘MEC컨소시엄’ 구성에 관한 협력 계약서를 체결했다. ▲ 왼쪽부터 김윤 CTO, 하형일 SK텔레콤 코퍼레이트2센터장, 함기호 한국HPE 대표가 영상회의를 통해 싱가포르의 나린다 카푸어 HPE APAC대표와 컨소시엄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 SK텔레콤) MEC컨소시엄은 MEC 관련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을 토탈 패키지로 구성해 이를 원하는 통신사에 제공하게 된다. 컨소시엄에서 SK텔레콤은 MEC 소프트웨어를, HPE는 하드웨어 등 인프라 제공 및 현지 영업·유지보수를 담당한다. MEC컨소시엄은 동남아 이통사들에게 MEC 패키지를 우선 공급한다. 현재 말레이시아·태국 통신사와 공급 계약 관련 세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추후 SK텔레콤의 글로벌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북미·유럽 소재 다양한 통신사에게 수출을 타진할 계획이다.
[헬로티] HPE는 HCI(Hyperconverged Infrastructure) 솔루션인 HPE SimpliVity를 도입을 통해 국내 최대 물류 기업 CJ대한통운의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성공리에 구축 및 오픈함으로써 한층 더 향상된 물류 시스템 및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지원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를 통해 CJ대한통운은 HPE의 소프트웨어 정의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비 절감, 시스템 성능 개선, 하드웨어 자원 부족 해소 효과를 이루어 내며 국내 최대 물류 IT 시스템의 안정적인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1930년 설립된 CJ대한통운은, 물류, 유통, 미디어, 통신 및 식품 사업 등 다방면으로 사업중인 CJ그룹의 주요 계열사이며, 국내 종합 물류 선도 업체이다. CJ대한통운은 노후화된 기존 유닉스(Unix) 서버 및 샌스토리지(SAN Storage) 기반 레거시 IT 교체 등 물류 사업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기 위한 IT 환경 현대화를 목표로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같은 CJ 대한통운의 목표에 따라 HPE는 단 6개월 내에 모든 레거시 IT 변환 작업을 완료하며 메인 시스템과 백업, 재해복구 시스템을 포함한 프라이빗
[첨단 헬로티] HPE는 5G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신규 개방형 표준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HPE는 해당 포트폴리오를 근간으로 텔코 엣지(Edge) 시장 공략을 강화해, 사용자에게 강력하고 개인화된 실시간 경험을 제공하고 전세계 통신사의 5G 연계 수익 창출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HPE PaaS 기반 엣지 투 클라우드 전략은 5G 코어를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소프트웨어 스택, 최적의 텔코 코어 및 엣지 인프라 청사진, WI-FI 6 기반 서비스를 활용하여 통신사로 하여금 5G 기반 부가가치 창출을 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번에 소개된 신규 포트폴리오는 캐리어 그레이드 인프라 및 모듈형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기반의 개방형 상호 운용 플랫폼으로써, 텔코 코어, 엣지 및 엔터프라이즈 전반에 신규 5G 서비스 구축을 지원하고 자동화된 애자일 환경을 마련한다. • 텔코 코어(Telco core) – HPE 신규 5G 코어 스택(HPE 5G Core Stack)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컨테이너 기반의 소프트웨어 스택으로 구동되어 통신사로 하여금 서비스 가입자 및 기업 고객에게 5G 서비스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첨단 헬로티] HPE는 지난 11월에 선보인 HPE 컨테이너 플랫폼(HPE Container Platform)의 정식 버전(GA)을 출시했다. HPE 컨테이너 플랫폼은 100% 오픈소스 쿠버네티스를 활용한 업계 최초의 엔터프라이즈용 컨테이너 플랫폼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cloud-native application)과 기존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non-cloud-native application) 을 모두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운영 환경 또한 베어 메탈(bare-metal) 또는 가상머신 (virtual machines) 모두를 포함해, 데이터 센터는 물론 퍼블릭 클라우드 그리고 엣지 컴퓨팅까지 관계 없이 구동된다. ▲HPE 컨테이너 플랫폼(HPE Container Platform) 더불어, HPE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데이터분석, 엣지컴퓨팅 및 사물인터넷 (IoT)와 같은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워크로드를 위한 구성 사례들과 함께 고객의 인프라 환경 개선을 위한 새로운 프로페셔널 서비스를 소개 했다. 컨테이너 도입 단계에서 많은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로 전환이 용이한 스테이트리스 워크로드(Stat
[첨단 헬로티] 한국HPE가 슈퍼컴퓨팅 및 컨테이너 플랫폼 사업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16일, 한국HPE는 신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슈퍼컴퓨팅 전문기업 Cray(크레이) 인수를 통해 엑사스케일 시대를 열 업계 HPC·AI 포트폴리오를 소개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HPE는 강화된 HPC·AI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출범하여 컴퓨팅, 인터커넥트,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서비스 등 슈퍼 컴퓨팅 아키텍처를 포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업계 라인업을 완성하게 됐다. 이를 통해 기상예측, 제조, 에너지 분야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은 물론 정밀 의학, 자율 주행 차량, 지리 정보 및 금융 서비스 분야에 활용되는 AI 및 빅데이터 애널리틱스에 최적화된 폭넓은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월 16일 개최된 한국HPE는 신년 기자간담회 전경 HPE HPC·AI 포트폴리오의 특장점 컴퓨팅 시스템 HPE는 자사 포트폴리오에 크레이 슈퍼컴퓨팅 시스템을 추가함으로써 HPE Apollo(아폴로) 시스템 제품군을 통해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급 컴퓨팅 분야의 리더십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운 크레이 시스템은 샤
[첨단 헬로티] 사용량에 기반한 IT 소비 모델인 HPE GreenLake 서비스와 KT 클라우드를 근간으로 울랄라랩 스마트팩토리 전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가 구축된다. 한국 HPE는 한국HPE-KT-울랄라랩 협력을 기반으로 국내 최초 중소제조기업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클라우드 센터를 오픈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울랄라랩의 스마트팩토리 전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HPE 그린레이크(GreenLake) 서비스와 KT의 5G 네트워크(Network) 망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HPE 그린레이크는 기업 IT 환경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워크로드를 서비스형(as a Service)으로 제공하는 종량제 과금 체계 기반 서비스이다. 새로운 IT 소비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와 같은 경제성과 통제력을 동시에 구현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한국HPE는 HPE 그린레이크 기반 KT IDC 베어메탈 존에 울랄라랩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구축하여 KT 클라우드와 연동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스마트공장의 핵심은 설비관리, 품질관리, 생산관리, 에너지관리, 안전관리 등 제조기업의 운영 목적에 맞게 데이터를
[첨단 헬로티] HPE가 혁신 기술 기반 최신 솔루션 및 업계 동향, 그리고 성공적인 비즈니스 적용 및 협업 사례를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한국 HPE는 오늘 여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HPE Discover More 2019 Seoul 컨퍼런스 및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HPE Hybrid IT 그룹 글로벌 컴퓨팅 사업 부문 총괄 닐 맥도날드(Neil MacDonald), HPE HPC 및 AI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엥림 고(Eng Lim Goh) 박사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HPE 혁신 기술을 소개하는 기조연설 및 세션을 진행했다. 또한 이번 행사에는 HPE의 주요 고객사인 SK 하이닉스, 삼성 SDS 임원들이 연사로 참석해 HPE 솔루션과 함께 수행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성공 사례 및 성공적인 협업 사례를 소개해 높은 관심을 받았다. SK 하이닉스 송창록 부사장은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와 회사 규모의 확장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고 IT 측면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SK하이닉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소개했다. 디지털 혁신의 시작점인 S/4HANA ERP 전환을 통한 하이브리드
[첨단 헬로티] 6일, 인텔은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Hewlett Packard Enterprise, HPE)와 함께 HPE ProLiant DL380 Gen10 서버의 워크로드 가속화 처리 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협력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으로 스트리밍 분석, 미디어 트랜스코딩, 금융기술 및 네트워크 보안 등 연산 집약적인 시장에 새로운 고성능 인텔® FPGA 프로그래머블 가속 카드(Intel® FPGA Programmable Acceleration Card, 이하 Intel® FPGA PAC) D5005를 선보일 예정이다. 인텔 FPGA PAC D5005는 인텔 PAC 포트폴리오에서 선보이는 두 번째 카드로 HPE ProLiant DL3809 Gen10 서버에 탑재되어 제공된다. 휴렛 팩커드 엔터프라이즈 HPC 및 AI 담당 제너럴 매니저 겸 부사장 빌 맨넬(Bill Mannel)은 “HPE ProLiant Gen10 서버군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보안, 관리성 및 민첩성을 가진 서버 플랫폼이다.”고 소개했다. 이어“인텔 FPGA PAC D5005 가속기를 HPE ProLiant
[첨단 헬로티] ▲ 파타 나라시만(Partha Narasimahn) HPE 아루바 글로벌 CTO 매일 1천 4백 만 대 이상의 새로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추가되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 세계의 기업들은 사물인터넷(IoT) 전략 수립에 있어서 보안성 및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를 갖게 됐다. 또한 다양하고 예측 불가능한 디바이스 유형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화가 IoT 보안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며 수동 디바이스 프로파일링 기법을 대체하고 있다. 아루바는 이러한 기업들의 요구를 반영해 인공지능(AI) 기반의 클리어패스 디바이스 인사이트(ClearPass Device Insight) 및 와이파이(Wi-Fi) 6의 확장된 포트폴리오 선보였다. 이 회사는 이를 통해 보안, 연결성 및 분석을 혁신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아루바)는 5월 30일 삼성동 소재 써밋갤러리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파타 나라시만(Partha Narasimahn) HPE 아루바 글로벌 CTO는 “오늘 소개하는 클리어패스 디바이스 인사이트는 자동화된 디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