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은 지구상의 자연 또는 인공물과 같은 지물의 위치·형상을 측정하고, 또한 지물의 위치 관계를 구해 수치나 그림으로 표현, 그들을 기반으로 분석 처리를 하는 일련의 기술이다. 그 기원은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오래되고 전통적인 과학이다. 계량이라는 말도 천문관측과 토지를 측정하는 것을 연결하는 기술로, 고대 중국의 ‘측천량지(測天量地)’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긴 측량의 역사 속에서 지금까지 항상 최첨단 기술을 도입, 혁신을 계속해 왔다. 계량의 기본은 거리나 각도 등의 측정이다. 일본의 근대 측량에서는 메이지 시대(1868년~1912년) 초기부터 삼각측량이 전통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1960년대 이후 광파측거의의 보급에 의해 고정도 거리 측정이 가능해져 삼변측량과 트래버스 측량(traverse survey)이 확산됐다. 그 후 1990년대 전반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량이 실용화되어 위성 측위 시대가 막을 열었다. GPS 측량은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기 때문에 삼변측량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등에 의해 지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도 진전됐다. 그런데 측량은 평상시뿐만 아니라, 비상
후세 다카시, 도쿄대학 대학원 공학계연구과 사회기반학 전공 계량은 지구상의 자연 또는 인공물과 같은 지물의 위치·형상을 측정하고, 또한 지물의 위치 관계를 구해 수치나 그림으로 표현, 그들을 기반으로 분석 처리를 하는 일련의 기술이다. 그 기원은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오래되고 전통적인 과학이다. 계량이라는 말도 천문관측과 토지를 측정하는 것을 연결하는 기술로, 고대 중국의 ‘측천량지(測天量地)’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긴 측량의 역사 속에서 지금까지 항상 최첨단 기술을 도입, 혁신을 계속해 왔다. 계량의 기본은 거리나 각도 등의 측정이다. 일본의 근대 측량에서는 메이지 시대(1868년~1912년) 초기부터 삼각측량이 전통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1960년대 이후 광파측거의의 보급에 의해 고정도 거리 측정이 가능해져 삼변측량과 트래버스 측량(traverse survey)이 확산됐다. 그 후 1990년대 전반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량이 실용화되어 위성 측위 시대가 막을 열었다. GPS 측량은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기 때문에 삼변측량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등에 의해 지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파악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LG전자가 차량용 증강현실(AR)소프트웨어 사업을 육성한다. LG전자는 완성차 업체에 ‘AR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공급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최근까지 헤드업 디스플레이, 계기판, 중앙정보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인포테인먼트 부품에 AR 소프트웨어를 결합시킨 패키지를 공급해왔다. LG전자는 사업구조를 보다 다각화해 완성차 업체들의 다양한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사업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완성차 업체들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패키지 형태를 아웃소싱하는 기존 방식에서 점차 벗어나 소프트웨어만 아웃소싱하는 사례를 확대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LG전자 AR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ADAS 카메라, GPS, 네비게이션과 같은 다양한 센서와 실시간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행속도, 보행자나 주변 차량과의 상대적 거리, 목적지까지의 경로 등 운전자에게 도움이 되는 시각적 정보를 3D 및 2D 그래픽 이미지로 보여준다. 이 솔루션은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차량 전면 유리과 계기판, 중앙정보디스플레이 등 인포테인먼트 부품에 다양한 정보를 이미지로 투사해 보여준다. 운전자는 이를 통해 주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가 5G 네트워크와 여타 주요 타이밍 인프라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재밍 및 스푸핑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타이밍 아키텍처 전체에 단일 콘솔 가시성을 제공하기 위해 BlueSky GNSS 방화벽을 마이크로칩의 TimePictra 11 동기화 모니터링 및 관리 플랫폼에 통합했다고 밝혔다. 오늘날 5G 무선 인프라는 이전 세대 네트워크 대비 더욱 복잡하고 고밀도의 동기화를 요구하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라이브스카이(live-sky) 타이밍 신호의 무결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주요 인프라 운영업체는 안정적인 성능과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기 위해 GNSS 소스의 정밀 타이밍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정확한 타이밍 분배를 필요로 한다. TimePictra는 5G 네트워크 동기화를 위한 TimeProvider 4100 그랜드마스터 등 마이크로칩의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로 만들어진 복원력 높은 타이밍 아키텍처에 완벽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또한 TimePictra는 이러한 네트워크의 분배 PTP(Precision Tim
[헬로티] 이노그리드는 고정밀 위치정보기술과 개발기술 상용화에 성공한 AKT공간정보와 클라우드기반CGIP(Cloud GNSS IoT Platform) 및 공동사업을 위해 사업제휴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출처 : 이노그리드 최근 국토교통부는 국산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을 완료하고 외산 위주의 GIS 엔진을 국산 GIS엔진으로 대체할 계획이라 밝혔다. 이 때문에 국토지리정보원에서도 cm급 위성측위시스템(GNSS_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이하 GNSS) 보정정보제공등 GIS시장 확대에 업계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노그리드와 AKT공간정보의 사업제휴 체결도 GIS와 GNSS 시장 진출을 위한 것이다. 양사의 이번 협약은 이노그리드의 퍼블릭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물론 엣지클라우드 기반에 AKT공간정보의 GNSS 고정밀 보정정보서비스와 고정밀측위(RTK, Real Time Kinematic)위치 정보를 결합해 SaaS 서비스로 제공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국내에서 대중에게 익숙한 기술로 다양한 위성항법 수신장치,
[첨단 헬로티] KT(회장 황창규)가 세계 최초로 라이다기반 정밀측위 기술인 비전GPS(Vision GPS)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비전GPS는 라이다 센서와 고정밀GPS를 결합해 어디서나 정확한 위치를 측위하는 기술이다. 고정밀GPS의 경우 개활지에서는 수십 센티미터의 위치 정확도를 가지나 건물이 많은 도심지에서는 그 성능이 수 미터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비전GPS는 GPS의 성능이 저하되는 도심지에서도 라이다 센서를 활용해 수십 센티미터까지 위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KT가 개발한 이 기술은 차량 이동시 라이더 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의 변화를 인식해 이동거리와 위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도심지역의 3D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카메라를 활용하는 방식과는 달리 날씨나 조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측위가 가능하다. KT에 따르면, 지난 6월 강남대로에서 비전GPS의 정확도 검증을 진행했다. 정확한 위치 측정을 위해 자체 제작한 정밀지도에서 비전 GPS기반 측위와 GPS기반 측위 성능을 비교 검증했다. GPS는 도심에서 그 성능이 일정하지 않았으나, 비전GPS는 전 구간에서 차선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첨단 헬로티] 국내 드론기업 기술력 확충을 위해 출연연, 대학의 핵심기반기술 전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그간 정부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해 출연연, 대학 등이 보유하고 있는 드론의 핵심기반기술을 국내 드론기업에 전수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현재 국내기업 대부분이 자체 연구개발 여력이 부족한 영세기업인 상황을 반영해 산·학·연 협업을 통해 단기간 내 기술 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기획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그간 정부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해 출연연, 대학 등이 보유하고 있는 드론의 핵심기반기술을 국내 드론기업에 전수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프로그램은 총 4개 교과로 구성되고 각 교과는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였던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며, 이론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여 수강생의 이해도를 제고한다. ▲악기상(惡氣象) 대처기술 : 현재 드론(멀티콥터) 개발과정에서 거의 고려되지 않지만 더욱 안정적인 드론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술로, 강풍, 폭우 등 악천후에 강건한 드론의 설계기술 및 절차를 학습하고, 내풍성 시험현장을 참관하는 기회가 제공된다. ▲Localization and
[첨단 헬로티] 혁신적인 기술을 선도하는 영국 전문기술 컨설팅 기업 캠브리지 컨설턴트가 농지를 자율주행하며 작물의 생장과 예상수확량 데이터를 다량 수집하는 로봇 ‘마무트’(Mamut)를 공개했다. 마무트는 데이터 자동 수집 기술을 통해 정확하고 활용도 높은 농작물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농가에서 미리 수확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다. 농업계에서는 적은 노동력으로도 큰 수확을 올려야 하는 생산효율성의 과제를 지속적으로 당면하고 있다. ▲ 자율주행 로봇 ‘마무트’ 생산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농산물을 재배하는 동안 정확한 생장상태 정보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때 데이터 수집 자동화시스템을 활용하면, 방대한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기존에 드론을 활용한 데이터 수집이 시도되었으나 전선케이블, 라디오 비콘와 같은 부대시설 설치가 필요하다는 점 등 한계점이 존재했다. 캠브리지 컨설턴트가 개발한 마무트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자율 로봇 플랫폼이다. 정교한 센서 배열구조로 설계된 마무트는 GPS나 별도의 전파시스템이 없이도 자동으로 주변지도를 그리고 길을 찾을 수 있다. 로봇 마무트는 밭, 과수원
[첨단 헬로티] 새로 나온 ‘시온’ 전문 열화상 단안 카메라, 플리어 트루위트니스 플랫폼과 연결기능 갖춰 플리어 시스템(FLIR Systems, Inc.)이 공공 안전 전문직업인을 위한 플리어 '시온' 전문 열화상 단안 카메라(FLIR Scion™ Professional Thermal Monocular, PTM)를 출시했다. 시온PTM은 플리어의 고성능 보손(Boson®)열화상 코어를 내장해 영상의 질을 높이고 플리어 트루위트니스(FLIR TruWITNESS®)와 연결하는 기능이 있어서 암호화된 열화상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함으로써 전문직업인들이 상황 인식을 더 잘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견고한 시온PTM에는 플리어의 최첨단 열화상 이미징 코어가 있어 사용자들이 물체를 더 상세하게 신속히 탐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시계 여건이 열악한 상황에서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돕는다. 재생률이 60Hz인 시온PTM은 자체 저장용량이 2GB이고 마이크로SD(microSD™) 카드 슬롯이 있어 지리정보가 삽입된(geotagged) 동영상이나 차후 재생을 위한 정지 화상을 녹화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이밖에
‘모빌리티 엣지 플랫폼’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합체 5월, 6월 하니웰이 주최하고 첨단이 주관한 대구, 부산, 전주 ‘4차산업혁명 대응 스마트팩토리, 기업물류 경쟁력 강화 로드투어’를 진행했다. 이 행사에서 하니웰의 모빌리티 엣지 플랫폼은 기존의 플랫폼을 타파한 새로운 플랫폼이라는 사실과 하니웰만의 서비스를 부합해 물류뿐만 아니라, PDA가 들어가는 어떤 사업장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세미나에서 간략하게 소개한 모빌리티 엣지 플랫폼을 자세히 들어보기 위해 하니웰코리아 백승환 차장을 만나봤다. ▲ 하니웰코리아 백승환 차장 모빌리티 엣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하니웰은 수년 전부터 모빌리티시장의 트랜드와 고객의 니즈를 모두 만족시켜 줄 수 있는 PDA를 전사적으로 개발하고 있었으며 모빌리티 엣지는 1. 더 쉽고 빠르게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PDA. 2. H/W뿐 아니라 S/W 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PDA. 3. 더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DA. 이 세 가지 핵심과제에 대한 결과물입니다. 하니웰은 이를 위해 구글, 퀄컴과의 1세대 모빌리티 엣지를 위해
[첨단 헬로티] 지브라의 ZT230 산업용 프린터와 TC75 모바일 컴퓨터 적용 그린웨이 그룹(Greenway Group)이 지브라테크놀로지스의 하드웨어 제품과 CP Handheld Technologies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이뤄진 자동차 재고관리 솔루션을 도입했다. 도입한지 불과 2개월 만에 자동차 판매가 늘어났으며, 영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 재고 위치 관리는 소매 자동차 산업의 중요한 부분이다. 딜러점의 영업 및 서비스는 하루 종일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각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은 어렵다. 차량은 판매, 서비스, 시운전, 거래 및 판촉을 위해 끊임없이 이동한다. 올랜도의 Greenway Chrysler Jeep Dodge가 이러한 문제를 경험했다. 이 딜러점은 일정 시간에 1,700~2,000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어 직원이 차량을 추적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 차량들은 거의 25에이커에 위치하여 훨씬 더 복잡하다. 자동차들을 추적하는 것은 영업팀 뿐만 아니라 회계 부서에게도 중요하다. 과거에 그린웨이 팀 구성원들은 차에 있는 VIN을 기록하기 위해 많이 걸어서 사무실로 가져와 일반 원장 계정 기록과 비교했다. 구내에 2,0
[첨단 헬로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포켓몬고(GO)의 공통점은 모바일 웹이 아닌 모바일 앱을 통해 성공을 거뒀다는 점이다.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의 특성에서 성공의 이유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GPS, 카메라, 터치 ID 등 스마트폰이 가진 기술적 강점을 접목해 한층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앱 트렌드를 간략히 살펴본다. 스마트폰 사용자 중 모바일 앱 사용 비율 88%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모바일 웹 브라우저보다 모바일 앱에서 훨씬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2017년 상반기 기준으로 전체 스마트폰 사용시간에서 모바일 앱이 차지하는 비율은 88%에 달하며, 특히 한국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90% 이상을 모바일 앱에서 보내고 있다. 앱애니가 발표한 모바일 전략에 앱이 필요한 이유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시장에서 앱에 대한 선호도는 단지 젊은 사용자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전 연령층에서 90% 이상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GPS·카메라·생체 인식 기능으로 풍부한 서비스 제공 모바일 앱은 스마트폰의 OS 기능에 접근해 사용자의 위치 파악에 이용되는 GPS와 연동하
[첨단 헬로티] 중국 최대의 2륜 전기차 생산업체인 Yadea Group Holdings는 최근 베이징의 중국국립컨벤션센터에서 신규 모델 Yadea Z3s의 국제 출시 행사를 열었다. Yadea Z3에서 더욱 개선된 Yadea Z3s는 다양한 기능을 선보이고, 개선 요소가 37가지나 되는 더욱 스마트해진 2륜 전기차다. 이 모델은 고급 지능형 기능과 요소 측면에서 중국의 전기 모터바이크 시장에서 유행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Yadea Z3s는 전신 모델 Yadea Z3와 마찬가지로 세계적 수준의 보증된 파나소닉 리튬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 배터리는 중량이 9.6kg (21.1lb)에 불과하고, 단 두 시간 만에 완전히 충전된다. 이 모델은 경주 등급의 모터바이크 충격완화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편안함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그뿐만 아니라 Yadea의 독자적인 GTR-5세대 전기모터가 장착돼 있어, 전신 모델보다 동력을 13% 높였으며, 지속 주행거리도 15% 늘렸다. Yadea Z3s는 자동차 원격 감지, 운전자가 차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때 작동하는 작동 잠금 해제 및 잠금 기능, GPS, 차량 위치와 이동 경로 실시간 모니터링과 추적을 비롯해 불규칙한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와 제휴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KT는 지난 7월 NB-IoT 전국망 상용화에 이어, 국내 통신사 중 최초로 삼성전자 ‘커넥트 태그’를 독점 출시한다. ‘커넥트 태그’는 KT가 선보이는 첫 NB-IoT 기반 B2C 서비스다. KT는 이번 삼성전자 ‘커넥트 태그’ 출시로 기존 기업/공공 고객 서비스 중심에서 개인 소비자 대상까지 NB-IoT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게 된 셈이다. 이번에 출시하는 ‘커넥터 태크’는 NB-IoT 통신 기술을 활용해 저전력으로 적은 용량의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GPS와 WPS(Wi-Fi 기반 위치측위)와도 연동해 실내․외에서 보다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커넥트 태그’는 자녀 안심귀가, 반려동물 위치파악, 개인 사물(자산)위치 추적, 여행시 휴대품 위치 파악 등 다양한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커넥트 태그’는 가로 세로 각각 4.21cm, 두께 1.19cm의 콤팩트한 사이즈에 IP68
[첨단 헬로티] 반도체 업체 브로드컴이 새 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atellite: GPS) 신호를 사용해 정확도를 끌어올린 스마트폰 칩 BCM47755를 2018년 선보인다. 새 칩은 내년에 일부 스마트폰에 적용될 예정이다. 어느 제품일지 대해 브로드컴은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브로드컴에 따르면 BCM47755는 GPS 정확도를 현재 5m에서 30cm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이에 따라 위치정보 서비스의 정확도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위성항법시스템은 수신기를 탑재한 기기의 위치와 시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우주 궤도를 돌고 있는 특정한 인공위성의 신호를 지상에서 받아 위치·고도·속도를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인공위성과 수신기, 지상의 감시체계로 구성된다. 위상항법시스템으로는 미국이 개발하는 GPS, 유럽이 주도하는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ervices), 일본 QZSS, 러시아 글로나스 등이 있다. 브로드컴 BCM47755는 위성 합법 기술의 정확도를 센티미터 수준으로 끌올리려는 최신 행보 중 하나다. 유럽이 주도하는 GNSS( global na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