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은 지구상의 자연 또는 인공물과 같은 지물의 위치·형상을 측정하고, 또한 지물의 위치 관계를 구해 수치나 그림으로 표현, 그들을 기반으로 분석 처리를 하는 일련의 기술이다. 그 기원은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오래되고 전통적인 과학이다. 계량이라는 말도 천문관측과 토지를 측정하는 것을 연결하는 기술로, 고대 중국의 ‘측천량지(測天量地)’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긴 측량의 역사 속에서 지금까지 항상 최첨단 기술을 도입, 혁신을 계속해 왔다. 계량의 기본은 거리나 각도 등의 측정이다. 일본의 근대 측량에서는 메이지 시대(1868년~1912년) 초기부터 삼각측량이 전통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1960년대 이후 광파측거의의 보급에 의해 고정도 거리 측정이 가능해져 삼변측량과 트래버스 측량(traverse survey)이 확산됐다. 그 후 1990년대 전반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량이 실용화되어 위성 측위 시대가 막을 열었다. GPS 측량은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기 때문에 삼변측량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등에 의해 지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도 진전됐다. 그런데 측량은 평상시뿐만 아니라, 비상
측량 분야에서 고정도의 변위 계측 기술이라고 하면, 오랫동안 수준 측량이 사용되고 있었다. 기술의 진보와 함께 최근에는 GNSS 측량이나 위성 SAR에 의한 변위 계측이라는 선택지도 생겨났다. GNSS 측량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앞서 ‘고정도 GNSS 측위 기술의 계량 분야 이용 동향’에서 다루었는데, 많은 장소에서 활용되고 있다. 위성 SAR의 실제 이용은 GNSS 측량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면적으로 계측할 수 있는 점이나 지상에 계측기기가 필요 없기 때문에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계측할 수 있는 등 다른 기술에는 없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는 위성 SAR를 이용한 변위 계측 기술의 개요와 그 활용의 확대에 대해 다루기로 한다. 위성 SAR 및 간섭 SAR의 개요 SAR은 합성 개구 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의 약자로, 일반적으로는 ‘사’라고 부르고 있다. 플랫폼은 위성에 한정되지 않고 항공기나 UAV, 지상 설치형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위성에 초점을 맞춰 설명한다. 우선 처음으로 SAR는 일반적인 위성 광학 센서와 달리, 마이크로파에 의한 능동형 센서이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름을 투과하고, 야간에도
후세 다카시, 도쿄대학 대학원 공학계연구과 사회기반학 전공 계량은 지구상의 자연 또는 인공물과 같은 지물의 위치·형상을 측정하고, 또한 지물의 위치 관계를 구해 수치나 그림으로 표현, 그들을 기반으로 분석 처리를 하는 일련의 기술이다. 그 기원은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오래되고 전통적인 과학이다. 계량이라는 말도 천문관측과 토지를 측정하는 것을 연결하는 기술로, 고대 중국의 ‘측천량지(測天量地)’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긴 측량의 역사 속에서 지금까지 항상 최첨단 기술을 도입, 혁신을 계속해 왔다. 계량의 기본은 거리나 각도 등의 측정이다. 일본의 근대 측량에서는 메이지 시대(1868년~1912년) 초기부터 삼각측량이 전통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1960년대 이후 광파측거의의 보급에 의해 고정도 거리 측정이 가능해져 삼변측량과 트래버스 측량(traverse survey)이 확산됐다. 그 후 1990년대 전반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량이 실용화되어 위성 측위 시대가 막을 열었다. GPS 측량은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에 기초하기 때문에 삼변측량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등에 의해 지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파악하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위치 추적 및 무선통신 기술 전문기업 유블럭스(u-blox)가 NEO-M9V GNSS 수신기를 출시한다. NEO-M9V는 UDR(untethered dead reckoning)과 ADR(automotive dead reckoning) 기술을 동시 적용한 유블럭스의 첫 번째 위치추적 수신기다. 이번 제품은 도심의 빌딩숲 같은 까다로운 GNSS 신호 환경에서 미터 수준의 오차범위를 제공하는 신뢰도 높은 위치추적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군집 차량 관리나 마이크로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UDR은 관성 센서 측정을 사용해서 GNSS 신호 커버리지의 틈새를 메우고 GNSS 신호가 건물에 반사되어 생기는 다중경로 효과의 영향을 완화함으로써 밀집한 도심 환경에서 원활한 내비게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ADR은 차량 속도를 센서 융합 알고리즘에 포함시킴으로써 까다로운 환경에서 위치추적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동일 모듈 상에서 UDR과 ADR을 모두 지원하는 NEO-M9V는 최대의 위치추적 성능과 설계 유연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NEO-M9V는 자동차와 전동 스쿠터용으로 최적화된 동적 모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동적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이하 마이크로칩)가 극한 환경에서의 정확한 타이밍 정확도 및 안정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칩 스케일 원자 시계인 SA65 CSAC를 출시했다. 첨단 군용 플랫폼, 해저 측량 시스템 및 원격 감지 애플리케이션에는 정밀한 타이밍이 요구된다. 마이크로칩에 따르면, 칩 스케일 원자 시계(CSAC)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타이밍 신호를 사용할 수 없을 때도 안정적이고 정확한 타이밍을 보장한다. 마이크로칩의 SA65 CSAC는 향상된 환경 내구성을 갖춘 임베디드 타이밍 솔루션으로, 이전 세대 제품인 SA.45s CSAC 대비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두 배 높은 주파수 안정성, 낮은 온도에서 더 빠른 예열 등 우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SA65의 동작 온도 범위는 -40~+80℃이며 스토리지 온도 범위는 -55~+105℃이다. SA65의 예열 시간은 -40℃에서 2분으로, SA.45s보다 33% 빠르다. SA65 CSAC의 향상된 성능은 위치, 항법 및 타이밍을 보장하고 지휘, 통제, 통신, 컴퓨터, 사이버, 정보, 감시 및 정찰 등 군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이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가 5G 네트워크와 여타 주요 타이밍 인프라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재밍 및 스푸핑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타이밍 아키텍처 전체에 단일 콘솔 가시성을 제공하기 위해 BlueSky GNSS 방화벽을 마이크로칩의 TimePictra 11 동기화 모니터링 및 관리 플랫폼에 통합했다고 밝혔다. 오늘날 5G 무선 인프라는 이전 세대 네트워크 대비 더욱 복잡하고 고밀도의 동기화를 요구하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라이브스카이(live-sky) 타이밍 신호의 무결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주요 인프라 운영업체는 안정적인 성능과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기 위해 GNSS 소스의 정밀 타이밍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정확한 타이밍 분배를 필요로 한다. TimePictra는 5G 네트워크 동기화를 위한 TimeProvider 4100 그랜드마스터 등 마이크로칩의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로 만들어진 복원력 높은 타이밍 아키텍처에 완벽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또한 TimePictra는 이러한 네트워크의 분배 PTP(Precision Tim
[헬로티] 이노그리드는 고정밀 위치정보기술과 개발기술 상용화에 성공한 AKT공간정보와 클라우드기반CGIP(Cloud GNSS IoT Platform) 및 공동사업을 위해 사업제휴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출처 : 이노그리드 최근 국토교통부는 국산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을 완료하고 외산 위주의 GIS 엔진을 국산 GIS엔진으로 대체할 계획이라 밝혔다. 이 때문에 국토지리정보원에서도 cm급 위성측위시스템(GNSS_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이하 GNSS) 보정정보제공등 GIS시장 확대에 업계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노그리드와 AKT공간정보의 사업제휴 체결도 GIS와 GNSS 시장 진출을 위한 것이다. 양사의 이번 협약은 이노그리드의 퍼블릭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물론 엣지클라우드 기반에 AKT공간정보의 GNSS 고정밀 보정정보서비스와 고정밀측위(RTK, Real Time Kinematic)위치 정보를 결합해 SaaS 서비스로 제공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국내에서 대중에게 익숙한 기술로 다양한 위성항법 수신장치,
[헬로티] 전력 유틸리티, 금융 서비스, 모바일 네트워크와 운송을 비롯한 주요 인프라 시스템은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GPS가 제공하는 타이밍에 의존한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GPS 신호 수신에 의존하는 시스템의 GPS 취약성을 고려해 보다 높은 수준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BlueSky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방화벽 제품의 주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마이크로칩의 BlueSky GNSS 방화벽 소프트웨어 2.0은 GPS 신호의 수신을 보호하고 신호 중단을 피할 수 있도록 응답 및 복구를 강화하고자 재밍(jamming)과 스푸핑(spoofing) 탐지를 위한 실시간 분석을 수행한다. BlueSky GNSS 방화벽 소프트웨어 2.0은 시스템 가동 및 배치를 간소화하기 위한 위성 관찰, 반송파 대 잡음비(carrier-to-noise), 위치 분산, 위상 시간 편차, 무선 주파수(RF)의 전력 레벨과 같은 GNSS의 관측 가능 지표 및 고급 임계값 설정이 포함되어 있다. BlueSky GNSS 방화벽 소프트웨어 2.0에는 마이크로칩이 개발한 개선사항이 반영되었으며, 이는 마이크로칩이 미 국토안보부(
[첨단 헬로티] 위치추적 및 무선 통신 기술 기업 유블럭스는 문화방송 MBC와의 협업 결과를 발표했다. MBC는 유블럭스 ZED-F9P 고정밀 GNSS 모듈을 탑재한 초소형 L1/L2 멀티밴드 RTK(실시간 이동측위) 기기인 MRP-2000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국내 최초로 GNSS RTK 수신기와 GNSS 보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능이 들어있는 센티미터 급 RTK수신기라고 유블럭스 측은 설명했다. 고정밀 GNSS 수신기는 센티미터 수준의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기 위해 멀티밴드 위성 신호 수신 기능과 GNSS 보정 데이터가 필요하다. 멀티밴드 수신기는 위성 신호가 전리층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위치 오차를 줄여줄 뿐 아니라 수신기가 정밀한 위치를 표출하는 시간을 대폭 줄여준다. ZED-F9P는 통합 RTK 알고리즘을 이용해 DMB 혹은 LTE로 수신된 GNSS 보정 데이터를 처리하여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도를 표출할 수 있다. 이번에 MBC가 개발한 MRP-2000은 50g에 불과한 초소형, 초저전력 제품으로 자율주행차, 드론 및 탐사 장비와 같은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센티미터 수준의 위치 정확도를 제공한다. 특히MBC가 전국에 구축한 기준국 인프라를 통해
[첨단 헬로티] 유블럭스가 고정밀 위치추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유블럭스 F9 기술 플랫폼을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멀티밴드 GNSS 기술, 추측항법, 고정밀 알고리즘 및 다양한 GNSS 보정 데이터 서비스 호환기술들을 결합하여 센티미터 수준의 고정밀도를 구현한다. 유블럭스는 F9이 차세대 고정밀 내비게이션, 증강 현실 및 무인 차량 기술 개발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블럭스 F9의 향상된 주요 기능들 이 플랫폼은 다중 주파수 대역(L1/L2/L5) 내 GNSS신호를 사용하여 이온 층의 간섭 오류를 보정하고, 초기 위치 산출시간(TTFF, Time To First Fix)을 신속하게 제공한다. 또 지피에스(GPS), 글로나스(GLONASS), 갈릴레오(Galileo), 베이더우(Beidou) 등의 모든 GNSS 위성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F9 플랫폼은 더 나아가 어떤 주어진 시간 내에서도 가시 위성의 개수를 최대한 확보하여 성능을 향상시켜준다. 독립형 유블럭스 F9 솔루션들은 미터 수준의 정밀도를 안정적으로 구현한다. 유블럭스 F9은 센티미터 수준의 정밀도를 구현하기 위한 내장RTK(실시간 이동측위, Real Time
[헬로티] 키사이트코리아(윤덕권 대표이사)가 적합성 테스트 솔루션 E6950A eCall을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를 시뮬레이션하고 키사이트 무선 테스트 세트 및 RF 신호 발생기를 이용해 셀룰러 네트뭐크를 에뮬레이션하며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좌표를 제공한다. E6950A eCall 적합성 테스트 솔루션은 IVS 모뎀의 긴급 호출 트리거, 정확한 MSD 전송 및 PSAP와의 음성 연결 설정 검증이 가능하며 개발자가 오디오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또한 키사이트 E7515A 및 E5515C와 같은 기존의 무선 테스트 세트를 지원하고, 기존 E5515C 사용자는 필요한 옵션만 추가하여 기존 장비를 활용할 수도 있다. 키사이트의 자동차 및 에너지 솔루션 사업부 부사장 겸 총책임자인 시그프로드 그로스(Siegfried Gross)는 “EU 법률에 따라 EU의 모든 차량들은 2018년 4월까지 eCall을 지원해야 하며 러시아의 ERA-GLONASS는 2017년 1월까지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며, “키사
[헬로티] 무선통신, 위치추적 모듈 및 칩 업체 유블럭스가 성능과 초저전력 사용 측면 모두에서 균형을 제공하는 UBX M8230 CT 위성항법시스템(GNSS) 수신 칩 솔루션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UBX M8230 CT에 새롭게 선보인 슈퍼-E(Super Efficient) 모드는 전력 소비량을 기존 1/3 수준인 20mW로 줄이면서도 정확도 손실이 거의 없도록 위치를 매 초마다 업데이트해준다. 안테나가 작거나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지속적으로 위성 신호를 받을 수 없는 곳에서 웨어러블 및 이동식 전자장치에 탑재해 테스트한 결과, 이 솔루션은 우수한 속도와 위치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UBX M8230 CT 슈퍼-E 모드는 높은 사양의 속도와 위치 정확도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이 제한적인 기기에 적합하다. 배터리 수명에 최소한의 영향만 주면서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스마트워치, 스포츠용 웨어러블 및 피트니스용 추적기뿐만 아니라, 자산 추적기나 사람, 어린이 및 애완동물 추적용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유블럭스의 플로리안 부스케 (Florian Bousquet) 시장개발 담당 매니저는 “웨어러
[헬로티] 사물인터넷(IoT) 모듈 및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릿이 새로운 GNSS 모듈 SL869-3DR를 출시했다. SL869-3DR은 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 및 차량 내 시스템에서 내부 자이로(gyro), 가속도계, 바로미터 기압 센서로부터 얻는 정보를 활용하여 추측 항법(DR, dead reckoning)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제품은 여러 위성 수신기로부터 직접 위치 정보를 보내거나 다른 외부 장치 연결 없이 위성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안테나 및 전원만을 필요로 하는 DR 시스템을 통해서도 정확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인테그레이터는 이를 통해 차량 내비게이션 및 트래킹 디바이스를 비롯해 다양한 커머셜/컨슈머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차 전원 만으로 대시보드 상에서 작동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SL869-3DR은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한 모듈로서 3개 이상의 위성을 동시 추적할 수 있으며, MEMS가 결합되어 7 DOF(Degree of Freedom)를 지원한다. 텔릿의 MEMS 전용 추측 항법 소프트웨어 MoDR,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내부 센서 설계가 호스트 디바이스에 턴키 DR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MoDR 솔루션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