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라콤아이앤씨, 스마트 제조 新 패러다임 제시했다...‘솔루션 페어’서 차세대 방법론 다뤄 소프트웨어 기반 ‘진화형’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강조 “하드웨어가 지배하던 공장,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 제어하는 시대 열렸다” 디지털 전환(DX)이 파란을 일으키고 난 후 새로운 경향이 나타났다. 소프트웨어가 시스템 내 모든 요소를 연결·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oftware Defined Everything 이하 SDx)’가 그 주인공이다. SDx는 DX를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 기반 인프라가 확장된 개념으로, 여기서 ‘x’에는 데이터가 핵심 소재로 활용되는 모든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 Defined Network, SDN),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Software Defined Storage, SDS),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Software Defined Data Center, SDDC) 등이 이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oftware Defined Vehicle, SDV)’이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핫하다. 그렇다면 제조 영역은 어떨까? 제조업도 DX 프로젝트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이더넷은 이미 모든 산업 제어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많은 산업용 프로토콜은 독점적인 레이어 2 솔루션을 사용하여 이더넷을 통해 결정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있다. 새로운 IEEE 802.1 TSN 표준은 산업 제어에서 직면하는 동일한 부류의 문제들을 목표로 표준 기반 접근 방식을 위해 독점적 솔루션들을 대체할 것을 약속하고 있다. EtherNet/IP는 결정론적인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항상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표준 이더넷 기술에 의존해 왔으며 새로운 표준을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이 백서에서는 특정 사용사례에 대해 논의하고 새로운 TSN 표준을 EtherNet/IP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향상된 결정성과 성능 제공을 하는 방법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TSN 기반 네트워크에서 예상되는 결과를 현재 사용 중인 기술의 결과와 대조해 보려고 한다. 결정론적 이더넷의 개요 결정론적 이더넷은 공장자동화, 프로세스제어, 자동차 네트워크와 같은 크리티컬 한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에서 표준 이더넷을 사용할 수 있는 확장된 기능집합을 가리킨다. 이더넷은 “최선의” 네트워크였다. 이더넷이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려면 시간 동기화,
[첨단 헬로티] 시스코 코리아는 최근 개최된 SCTE 케이블 테크 엑스포에서 시스코가 △업계 최초 풀 듀플렉스 닥시스(FDX) 최적화 노드인 GS7000 FDXi 발표 △클라우드 네이티브 광대역 라우터(cnBR)를 통한 시범 사업 △업계 최초 유연성을 제공하는 닥시스(DOCSIS) 라이선스 정책인 IBU 케이블 고객사 유치 등 신규 기술 및 성과를 공유하며 네트워킹 분야의 리더십을 견고히 했다고 밝혔다. 시스코가 업계 최초로 발표한 GS7000 FDXi 노드는 FDX에 최적화되어 지능적이며 원격 프로그램 작동이 가능하고, 필요시 닥시스 서비스를 작동시킬 수 있는 리모트 PHY 노드를 지원한다. 현재 많은 케이블 사업자들이 고속 데이터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자 광대역 고도화 및 능률적인 워크플로우 지원을 목표로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이에 케이블 사업자들은 시스코 GS7000 FDXi 노드를 가상화·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가속화된 닥시스 등 신규 사업 개척 및 수익 창출에 활용할 전망이다. 또한 시스코는 최근 공개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광대역 라우터(cnBR) CCAP 솔루션을 활용, 미국 케이블 방송사인 미드코와 협력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는 국산 장비 제조사인 유비쿼스와 기존 LTE 장비보다 46배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을 10배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5G용 장비인 ‘100G(Giga) 스위치’를 국내 최초로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100G 스위치는 5G 무선기지국과 유선 네트워크간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해주는 장비로, 한번에 3.6Tb의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킷 하나를 0.12ms만에 전달할 수 있어 2GB 영화 한편 분량의 트래픽을 0.16초만에 전송 가능하다. 이번에 개발한 스위치는 현재 LTE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스위치보다 46배 많은 데이터를 10배 빨리 처리하면서도 장비 크기와 소비전력은 기존 장비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이 장비에 차세대 네트워크 핵심기술 중 하나인 SDN을 추가 적용하면 일반 데이터, IPTV, 자율주행차와 같은 정밀 원격제어가 필요한 컨트롤 데이터 등 다양한 성격의 서비스 트래픽을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구분해 전송함으로써 트래픽 처리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다. 한편 대용량 스위치 장비는 20Gbps 이상의 초고속 다운로드,
[첨단 헬로티]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28일부터 ‘SDN/NFV 포럼’ 의장사로 선임됐다. ‘SDN/NFV 포럼’은 5G 등 가상화 기술 기반SDN/NFV 공통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미래 ICT 융합 기술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지난 2014년에 설립된 산업체와 공공연구기관들 간 협의체다. SK텔레콤은 ‘SDN/NFV 포럼’ 의장사로서 ‘개방∙협업’ 기반 차세대 ICT 기술 선도 및 생태계 육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가상화 기반 핵심 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주도해 5G 상용화 시기를 앞당겨, 고객들이 보다 빨리 UHD 서비스, AR∙VR 서비스 등 5G 기반의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SDN/NFV 포럼’ 의장으로 선임된 SK텔레콤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은 “차세대 ICT 분야 핵심 기술인 가상화 기술 활성화에 이바지해 온 SK텔레콤이 SDN/NFV 포럼 의장사에 선출되는 것은 의미 있는 결과”라며 “향후 5G 를 포함한 차세대 통신 기술이 가상화를 기반으로 진화해 나갈 것으
[헬로티]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을 위한 네트워킹 기술을 확대하려는 구글의 행보에 가속도가 붙었다. 구글은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상화된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인도 통신사인 바르티 에어텔, SK텔레콤과 제휴를 맺었다. 구글이 개발할 폴랫폼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프레임워크를 포함하고 있다. 구글은 오픈소스 기반인 CORD(Central Office Re-orchestrated as a Data Center)와 관련한 운영 경험도 보다 많이 개방하기로 했다. 구글은 지난해 CORD 프로젝트에 합류했고 CORD 서밋 행사도 열었다. CORD는 NFV, SDN, 범용 클라우드의 탄력성을 결합해, 통신 서비스 데이터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민첩성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4G에서 5G로 통신 패러다임이 넘어가는 상황과 맞물려 이동통신 인프라에도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SDN,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 클라우드 플랫폼 등을 사용한 소프트웨어 기반 솔루션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통신 인프라 시장은 시스코시스템즈, 노키아
[헬로티] 통신 장비 업체 노키아가 핀란드 소프트웨어 업체 콤프텔을 3억7000만달러 규모에 인수하기로 했다. 노키아의 행보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일환이다. 콤프텔 인수로 노키아는 카탈로그 드리븐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과 수행, 인텔리전트 데이터 프로세싱, 고객 인게이지먼트, 애자일 서비스 모네타이제이션을 위한 의미있는 솔루션을 확보하게 됐다. 노키아 서비스 어슈어런스와 콤프텔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포트폴리오 간 결합으로 복잡한 이종 네트워크를 관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란 설명이다. 이미 제공 중인 클라우드밴드, 누아지 포트폴리오와 결합해 노키아는 고객들에게 대규모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배치를 위한 엔드투엔드 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헬로티] AT&T가 자체 개발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플랫폼인 ECOMP를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공개했다. ECOMP는 앞으로 리눅스재단의 관할아래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운영된다. 아파치 2.0 라이선스의 적용을 받는다. 오픈소스 ECOMP에 참여하는 프로젝트 멤버 10곳도 포함됐다. 회원사는 오렌지, 벨캐나다, 에릭슨, 화웨이, 인텔, 브로케이드, IBM, 메타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AT&T는 지난 2년여간 ECOMP 개발을 진행해왔고 올초 ECOMP 이니셔티브를 공개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돌아가는 네트워크 서비스와 인프라를 자동화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ECOMP는 서비스 딜리버리, 서비스 어슈어런스, 성능 고나리, 결함 고나리 및 SDN 업무를 위한 자동화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인 오픈스택과도 호환된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헬로티] 시스코코리아(대표 조범구)가 통신 사업자 및 웹서비스 기업에 특화된 ‘클라우드 스케일 네트워킹 솔루션(Cloud-Scale Networking Solutions)’을 18일 출시했다. 시스코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케일 네트워킹 솔루션은 통신, 웹 등 네트워크 서비스 사업자가 센트럴 오피스를 차세대 데이터센터로 전환하면서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가 지닌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프로비저닝과 네트워크 변경을 위한 대규모 자동화를 지원해 기존에 몇 시간 걸렸던 작업을 몇분안에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소프트웨어 확장성도 우수해 모듈식으로 빠른 서비스 구축을 지원한다. 스트리밍 텔레메트리(Streaming Telemetry)를 활용해 실시간 가시성 및 제어 기능도 지원한다. 통신사업자와 웹 서비스 기업이 클라우드 스케일 네트워킹 솔루션을 도입하면 5년을 기준으로 총 소유비용(TCO)은 기존 대비 절반으로 줄이고, 효율성과 성능은 두 배 끌어올릴 수 있다고 시스코코리아는 설
삼성전자가 SK텔레콤과 협력해 차세대 통신 기술 기반의 분산 LTE 교환기(SDN based Evolved Packet Core)를 개발하고 시연에 성공했다. 분산 LTE 교환기는 교환기 장비들을 한 곳에 집중시켰던 기존 방식과 달리 여러 지역에 나눠 배치하는 것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도 높은 품질을 유지하며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해준다. 분산 LTE 교환기는 차세대 통신 기술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SDN이란 네트워크 장비의 제어 부분과 데이터 트래픽 전달 부분을 분리해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정하는 분산 네트워킹 기술이다. SDN 기술이 보편화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보다 자유롭게 분산, 재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서비스 적용에 유리하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개발팀 박성용 상무는 “SDN과 같은 핵심 기술 도입으로 데이터 속도를 높일 뿐 아니라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최적화된 맞춤형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질 전망”이라며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구축에서 기술 선도력을 확보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SK텔레콤과 협력해 차세대 통신 기술 기반의 분산 LTE 교환기(SDN based Evolved Packet Core)를 개발하고 시연에 성공했다. 분산 LTE 교환기는 교환기 장비들을 한 곳에 집중시켰던 기존 방식과 달리 여러 지역에 나눠 배치하는 것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도 높은 품질을 유지하며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해준다. 분산 LTE 교환기는 차세대 통신 기술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SDN이란 네트워크 장비의 제어 부분과 데이터 트래픽 전달 부분을 분리해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정하는 분산 네트워킹 기술이다. SDN 기술이 보편화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보다 자유롭게 분산, 재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서비스 적용에 유리하다. 통신사업자가 가입자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최적의 트래픽 경로 설정을 통해 가입자의 데이터 체감 품질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신규 통신망 구축 없이도 기업이나 공공 기관에 사설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인터넷 망 경유 없이 가장 짧은 트래픽 경로의 기지국 근처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져, 클
데이터센터, 바이모달 IT, SDN, IoT 확산으로 민첩한 IT 인프라 구축 요구돼 바이모달 IT(Bimodal IT),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사물인터넷(IoT)이 계속해서 기존 시스템 아키텍처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네트워크 엣지뿐 아니라 코어와 클라우드 양쪽 모두에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또한 민첩성을 중시하는 통신 사업자들이 주로 모듈형과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채택하고 있으며, 하이퍼스케일 및 코로케이션 업체들 사이에서는 성능 최적화를 위해 고효율 전력, 냉각 인프라,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DCIM)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데이터센터란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장비, 저장장치인 스토리지(storage) 등이 설치된 시설을 말한다. 데이터센터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온라인 쇼핑 등의 작업을 처리하는 공간이다. 데이터센터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기업이 빠르고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전용 시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경우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라는 명칭의 대규모 시설을 보유하기 시작했으며 규모가 작은 기업은 비용 절감을 위
2016년 데이터센터 5대 핫 이슈 점검 바이모달 IT(Bimodal IT),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사물인터넷(IoT)이 계속해서 기존 시스템 아키텍처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네트워크 엣지뿐 아니라 코어와 클라우드 양쪽 모두에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또한 민첩성을 중시하는 통신 사업자들이 주로 모듈형과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채택하고 있으며, 하이퍼스케일 및 코로케이션 업체들 사이에서는 성능 최적화를 위해 고효율 전력, 냉각 인프라,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DCIM)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데이터센터란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장비, 저장장치인 스토리지(storage) 등이 설치된 시설을 말한다. 데이터센터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온라인 쇼핑 등의 작업을 처리하는 공간이다. 잠시라도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이러한 기능이 마비되기 때문에 예비 전력 공급 장치와 예비 데이터 통신장비를 갖추어야 하며, 컴퓨터에서 배출되는 열기를 제어하기 위해 냉방 시설, 소방시설 및 보안 장치가 갖추어져야 한다. 데이터센터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기업이 빠르고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전용 시설이 필요
데이터센터란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장비, 저장장치인 스토리지(storage) 등이 설치된 시설을 말한다. 데이터센터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온라인 쇼핑 등의 작업을 처리하는 공간이다. 잠시라도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이러한 기능이 마비되기 때문에 예비 전력 공급 장치와 예비 데이터 통신장비를 갖추어야 하며, 컴퓨터에서 배출되는 열기를 제어하기 위해 냉방 시설, 소방시설 및 보안 장치가 갖추어져야 한다. 데이터센터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기업이 빠르고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하려면 전용 시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경우 인터넷 데이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라는 명칭의 대규모 시설을 보유하기 시작했으며 규모가 작은 기업은 비용 절감을 위해 자사의 장비 보관과 관리를 전문 시설을 갖춘 업체에 위탁하게 되었다. 인터넷 데이터센터는 기업의 인터넷 장비(서버)를 맡아 대신 관리하기 때문에 서버 호텔, 혹은 임대 서버 아파트라고 불린다. 에머슨 네트워크 파워는 지난달 5일, 2016년에 예상되는 데이터센터(data center) 5대 동향을 발표했다. 에머슨 네트워크 파워 아시아의 아난 상이(Anand
미래창조과학부는 그동안 해외에서만 가능했던 개방형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킹(이하 ‘SDN’) 기술을 검증하는 “오픈플로우 인증”을 국내에서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최근 밝혔다. 미래부가 벤처 창업 활성화 및 신산업 육성을 위하여 지원하는 ‘정보통신장비산업의 신뢰성 기반구축’ 사업 수행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은 국제 개방형 SDN 표준단체인 개방형네트워킹재단(이하 ‘ONF’)으로부터 ‘오픈플로우 인증’ 시험기관으로 지난 7월17일 지정받았다. 오픈플로우 인증은 개방형 네트워킹 스위치 규격의 특성을 시험하는 인증으로서, 이번의 지정으로 ETRI는 SDN의 기술개발 플랫폼에서 국제인증까지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또한, ETRI가 국내 네트워크 시험 및 분석 능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었음과 동시에 개방형 네트워킹 연구개발 결과물들의 조기 상용화 토대가 마련되었음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는 SDN 장비는 아직 인증 받은 제품은 없는 실정이나, 앞으로 해외 인증대비 약 10%의 비용으로 국내 인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