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아토리서치(대표 정재웅)가 SK브로드밴드의 ‘클라우드 시큐리티 서비스’ 기능을 고도화했다고 30일 밝혔다. SK브로드밴드의 클라우드 시큐리티 서비스는 기존 ‘On Demand 통합보안서비스’의 새로운 명칭이다. 아토리서치가 기능을 고도화한 클라우드 시큐리티 서비스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보안서비스다. 아토리서치에 따르면, 고도화된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고객 자가 개통이다. 기존 서비스에서는 개통 기사가 고객 방문으로 서비스를 개통하였다면, 이제는 자가 개통 신규 기능을 통해 고객은 매뉴얼에 따라 3번의 클릭으로 직접 개통이 가능하다. 즉, 고객은 서비스 사용을 위한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고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구축형 서비스도 새롭게 출시됐다. 가맹점, 콜센터, 해외 지점 사업장 등 다지점 사업장을 운영하는 기업은 구축형 서비스로 자체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즉, 기업이 서비스를 직접 관리 운영할 수 있게 됐다. SK브로드밴드의 클라우드 시큐리티는 Docker기반의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과 NFV(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가상화 보안 기술로 방화벽, VPN(가
▲윈드리버가 리눅스 재단의 OVP에 참여한다. [첨단 헬로티] 윈드리버가 리눅스 재단의 NFV를 위한 오픈 플랫폼(OPNFV) 인증 프로그램(OPNFV Verified Program, 이하 OVP)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상용 NFV 제품 채택을 위한 과정들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OVP는 OPNFV 기능 및 테스트 사례를 기반으로 업계 기준치를 제공한다. 윈드리버는 화웨이(Huawei), 노키아(Nokia), ZTE와 함께 OVP 로고를 사용할 수 있게 된 첫 번째 기업들 중 하나이다. 통신 사업자를 포함한 OPNFV 회원사들은 그동안 긴밀한 협력을 통해 프레임워크를 설정하고, 그들의 POC 및 RFP에 대한 항목 기준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초기 기능 집합에 대한 합의를 이룩했다. OVP는 벤더 자체 테스트 및 서드파티의 실험 테스트를 모두 사용하게 되며, 초기 버전은 NFVi, VIM, 기본 클라우드 인프라, 기본 패킷 포워딩, IPv6 및 VPN을 포함한 NFV 인프라 구성 요소 및 기능들의 테스트 및 검증 거치게 된다. 윈드리버는 통신 사업자가 NFV를 구축하는데 있어 멀티 벤더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가상화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구성된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데이터 처리 통신장비인 ‘SPGW(Serving Packet data network GateWay)’에 가상화 기술인 NFV를 적용하면서 VoLTE (LTE망을 이용한 음성통화)서비스까지 수용했다고 16일 밝혔다.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는 통신장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 운영,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에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가상화해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다. 네트워크는 전화, 데이터, 문자 메시지 등을 처리하는 수백여 가지 통신장비가 망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데, 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서비스 종류가 급격히 늘자 이를 담당하는 장비도 증가하면서 가상화 기술애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스마트폰을 예로 들면, 과거에는 전화통화, 영화나 음악감상을 위해서 유선전화기와 비디오, 오디오라는 하드웨어 기기가 각각 필요했는데, 지금은 비디오포털, 지니뮤직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각 기능을 담당하는 별도 하드웨어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여러 기능을 한 기기에서 동시에 누릴 수 있게 됐다. 스마트폰에 다양한 앱을 탑재해
[첨단 헬로티]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28일부터 ‘SDN/NFV 포럼’ 의장사로 선임됐다. ‘SDN/NFV 포럼’은 5G 등 가상화 기술 기반SDN/NFV 공통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미래 ICT 융합 기술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지난 2014년에 설립된 산업체와 공공연구기관들 간 협의체다. SK텔레콤은 ‘SDN/NFV 포럼’ 의장사로서 ‘개방∙협업’ 기반 차세대 ICT 기술 선도 및 생태계 육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가상화 기반 핵심 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주도해 5G 상용화 시기를 앞당겨, 고객들이 보다 빨리 UHD 서비스, AR∙VR 서비스 등 5G 기반의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SDN/NFV 포럼’ 의장으로 선임된 SK텔레콤 최진성 종합기술원장은 “차세대 ICT 분야 핵심 기술인 가상화 기술 활성화에 이바지해 온 SK텔레콤이 SDN/NFV 포럼 의장사에 선출되는 것은 의미 있는 결과”라며 “향후 5G 를 포함한 차세대 통신 기술이 가상화를 기반으로 진화해 나갈 것으
[헬로티] 시스코시스템즈가 자사 디지털 네트워크 아키텍처((Digital Network Architecture: DNA) 전략을 뒷받침해줄 새로운 네트워크 가상화 및 보안 기술을 공개했다. 우선 시스코는 기업들이 지점사무소를 연결하는 WAN(Wide Area Network) 구성을 위한 새로운 하드웨어 플랫폼과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를 내놨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지점사무소 IT 환경을 소프트웨어 및 컨트롤러 기반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됐다고 시스코는 설명했다. 시스코는 그동안 기업 네트워크 일부라고 여겨져왔던 DMZ 구간 자체를 가상화 시켜 IDC와 같은 외부 코로케이션(Co-location) 센터에 배치할 수 있는 솔루션도 함께 발표했다. 시스코는 이번 발표에서 엔드포인트에서부터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까지 이어지는 ‘소프트웨어 기반 망분리(Software Defined Segmentation)’를 실현했고 이와 관련한 가시성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시스코는 "과거 10년간 데이터센터 영역에서 발전해 온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네트워크 영역에 적용한 것으로, 기업이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기존
[헬로티]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을 위한 네트워킹 기술을 확대하려는 구글의 행보에 가속도가 붙었다. 구글은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상화된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인도 통신사인 바르티 에어텔, SK텔레콤과 제휴를 맺었다. 구글이 개발할 폴랫폼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프레임워크를 포함하고 있다. 구글은 오픈소스 기반인 CORD(Central Office Re-orchestrated as a Data Center)와 관련한 운영 경험도 보다 많이 개방하기로 했다. 구글은 지난해 CORD 프로젝트에 합류했고 CORD 서밋 행사도 열었다. CORD는 NFV, SDN, 범용 클라우드의 탄력성을 결합해, 통신 서비스 데이터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민첩성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4G에서 5G로 통신 패러다임이 넘어가는 상황과 맞물려 이동통신 인프라에도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SDN,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 클라우드 플랫폼 등을 사용한 소프트웨어 기반 솔루션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통신 인프라 시장은 시스코시스템즈, 노키아
[헬로티] 통신 장비 업체 노키아가 핀란드 소프트웨어 업체 콤프텔을 3억7000만달러 규모에 인수하기로 했다. 노키아의 행보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일환이다. 콤프텔 인수로 노키아는 카탈로그 드리븐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과 수행, 인텔리전트 데이터 프로세싱, 고객 인게이지먼트, 애자일 서비스 모네타이제이션을 위한 의미있는 솔루션을 확보하게 됐다. 노키아 서비스 어슈어런스와 콤프텔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포트폴리오 간 결합으로 복잡한 이종 네트워크를 관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란 설명이다. 이미 제공 중인 클라우드밴드, 누아지 포트폴리오와 결합해 노키아는 고객들에게 대규모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배치를 위한 엔드투엔드 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오픈 랩’[사진=KT] [헬로티] KT가 5G·IoT 시대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반 인프라 기술 연구를 위한 협력체 결성했다. KT는 4일 서울 서초구 KT 우면사옥에서 ‘소프트웨어 기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열린 생태계 협력체(SDI 협력체)’를 결성하고 선포식을 가졌다. 협력체에는 삼성전자, Affirmed Network, EdgeCore 등 글로벌 기업들과 다산네트웍스, 시큐아이, 아이엔소프트 등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국내 IT기업들이 함께 참여했다. KT 주도로 출범한 SDI 협력체에서는 차세대 기업용 ICT 서비스 개발과 인프라 전 분야에서 SDI(Software Defined Infra) 핵심기술 발굴과 표준화, 사전 테스트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KT는 개방된 생태계 구축을 통해 5G와 IoT시대에 필수적인 SDI 적용 준비를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에 앞서 3일에는 KT우면사옥에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오픈 랩’이 문을 열었다. KT는 이번 ‘오픈 랩’ 개소를 계기로 NFV 관련 기술을 적극 적용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는 클라우드 구축용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오픈스택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경제 환경에서 오픈스택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다. 지난 10월25일부터 26일까지 바르셀로나에서 진행된 오픈스택 서밋에 참석한 기조 연설자들은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오픈스택 서밋에는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이 어떻게 조직의 민첩성을 개선하고 비용절감으로 이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토론을 하기 위해 전 세계 50개국에서 5,000여 명이 참가했다. 행사 첫날 기조연설은 기업들의 오픈스택 도입을 다루었으며, 산탄데르은행, Sky UK, 노키아, 도이치텔레콤,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에서 온 각계 전문가들이 발표를 맡았다. 강연자들은 오픈스택의 다양한 활용성을 높이 평가하면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오픈스택 고유의 기능, 다양한 업무량 관리,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경제 환경에서 혁신 플랫폼으로서의 오픈스택 역할을 소개했다. 또한 오픈스택 Congress와 Vitrage를 통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결함 관리 현장 시연도 있었다. 헤비 리딩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텔레콤 응답자들의 85.5%가 오픈스택을 그들의 사업에 중요한
▲KT 직원들이 우면동 KT 융합기술원에서 NFV 라이선스 관리 기술을 이용해 가상으로 신규 장비를 추가하는 모습/ⓒKT [헬로티] KT가 제안한 5G(5세대) 이동통신 핵심 기술이 국제 표준 항목으로 승인됐다. KT는 지난 9월 프랑스에서 열린 15차 유럽통신표준기구(ETSI)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표준 회의에서 자사가 제안한 ‘NFV 라이선스 관리’가 국제 표준 항목으로 최종 승인됐다고 3일 밝혔다. NFV란 기존 네트워크 장비를 소프트웨어로 제공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기술로 5G 네트워크 및 B2B(기업 간 거래) 서비스 핵심 사항이다. 통신사는 앞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으며, 고객은 필요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신속하고 유연하게 제공 받을 수 있다. ETSI는 세계 전기·통신 국제표준기구 중 하나로 NFV 기술의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표준화 회의를 통해 글로벌 통신사와 주요 ICT 벤더가 참여해 기술규격을 정의한다. NFV 라이선스 관리 국제 표준 항목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장비를 생성하고 제거할 때 라이선스 정보를 중앙에서 신속하고 유연하게 설정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면 복잡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