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윈드리버는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을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 ‘윈드리버 스튜디오(Wind River Studio)’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 윈드리버 스튜디오의 첫 번째 릴리즈는 단일 창에서 지능형 5G 분산 엣지 클라우드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배치,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케빈 달라스(Kevin Dallas) 윈드리버 CEO는 “윈드리버 스튜디오는 유일하게 한 환경에서 제품 수명 주기 전체에 걸쳐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을 지원한다. 이 플랫폼을 통해 생산성, 민첩성, 타임투마켓 속도를 향상할 수 있으며, 엣지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분석, 시스템 레벨 보안, 5G, AI/ML 등의 최신 기술과 원활하게 통합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는 2022년까지 엔터프라이즈 생성 데이터의 50% 이상이 기존 데이터 센터 또는 클라우드 외부에서 생성 및 처리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 많은 컴퓨팅 워크로드가 데이터 센터에서 멀어짐에 따라 컴퓨팅 모델은 이제 지능형 클라우드 및 지능형 엣지 모델로 진화하고 있으며, 지연 시간이
[헬로티] 안랩은 아스트론시큐리티, 테이텀과 투자 협약 및 ‘클라우드 보안 사업을 위한 전략적 제휴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아스트론시큐리티 조근석 대표, 안랩 강석균 대표, 테이텀 양혁재 대표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번 MOU를 기반으로 3사는 향후 ▲클라우드 보안 관련 공동 연구개발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분야 제휴 및 공동 세일즈 ▲클라우드 보안 관련 국내외 정보 공유 등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안랩은 이번 투자와 전략적 제휴로 클라우드 보안 영역별 요소기술을 확보해 자사의 클라우드 보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보안’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조근석 아스트론시큐리티 대표는 “이번 안랩과 협업으로 안정적인 클라우드 워크로드 보안을 위한 솔루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며 “아스트론시큐리티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혁재 테이텀 대표는 “이번 투자와 제휴 MOU 체결로 클
[헬로티] Equinix가 2021년 디지털 인프라에 영향을 미칠 3대 기술 동향을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며 디지털 인프라와 기술의 중요성도 높아졌다. Equinix는 코로나19로 변화하고 있는 주요 기술 전망과 디지털 인프라 동향에 대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엣지 퍼스트, 엣지 인프라 기반의 5G’ 3가지로 파악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나 마이크로서비스, API 우선, 컨테이너 및 데브옵스와 같은 원칙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이스티오(Istio)와 같은 서비스 메시 ▲변경 불가능한 인프라와 같은 기능의 사용을 강조하는 소프트웨어 접근방식을 의미한다. IDC는 “2021년 말까지 기업의 80%가 클라우드 중심의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팬데믹 이전보다 2배 빠르게 구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 인프라 구축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2021년에는 엣지에서 멀티클라우드로의 디지털 인프라 조정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인프라 스택 계층에
[첨단 헬로티] JTC 1/SC 38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작업반(WG) 의장 연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전영만)은 지난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제22차 클라우드 컴퓨팅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승윤 책임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작업반 의장에 연임되었다고 밝혔다. JTC 1 / SC 38(클라우디컴퓨팅 및 분산플랫폼)회의는 15개국 50여명이 참석하여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핵심 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의장을 맡게 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작업반(Working Group)은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개념, 정책 등 핵심 공통 표준화를 진행하는 작업반으로, 최근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준 협약(SLA), 엣지 컴퓨팅,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으로 표준화 영역을 확장하여 표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클라우드 데이터 흐름, 카테고리 및 사용 표준의 세부 보완작업이 진행되었다. 해당 표준은 클라우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범주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