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제이엘케이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데이터의 수집, 관리, 가공, 검수까지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는 '헬로데이터(Hello Data)'가 정확하고 신속한 AI 어노테이션(Annotation)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출처 : 제이엘케이) 제이엘케이는 지난해 글로벌 회사로부터 자율주행 분야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인텔(Intel),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의료 데이터를 넘어 본격적인 자율주행 사업 분야에 나서고 있다. 인공지능 토털 데이터 매니지먼트 플랫폼 헬로데이터는 빠르고 정확한 AI 어노테이션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빅데이터 가공 기술을 꾸준히 축적해왔으며, 고품질의 자율주행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제이엘케이는 밝혔다. 자율주행 학습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라벨링(labeling) 가공부터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가공하는 기술이 핵심인데 필요한 객체를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검출해 라벨링하며 이미지, 비디오, 3D 등 여러 종류의 자율주행 학습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로, 인공지능을 위해 가공된 데이터는 오토머신러닝(AutoML)을 통하여 자동 학
[헬로티] 퀄컴 테크날러지 인터내셔널(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은 금일 퀄컴 스냅드래곤 사운드(Qualcomm Snapdragon Sound) 기술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출처 : 퀄컴 테크날러지 인터내셔널 이는 스마트폰, 무선 이어버드, 헤드셋 등 기기에서 끊김 없는 몰입도 높은 오디오를 구현하도록 오디오 혁신에 최적화돼 설계된 기술이다. 스냅드래곤 사운드는 소비자가 음악 스트리밍, 전화 통화, 무선 게이밍을 하는 중에도 우수한 음질을 경험하도록 설계됐다고 퀄컴은 전했다. 이번 출시와 맞춰 아마존 뮤직과 스냅드래곤 사운드 플레이리스트를 선별해 공개했다. 제임스 채프먼(James Chapman) 퀄컴 테크날러지 인터내셔널 음성, 음악 및 웨어러블 부문 부사장 겸 총괄은 "퀄컴의 시스템 수준 접근 방식은 모바일 및 오디오 플랫폼 군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술과 최신 제품을 통합해 고음질 유선 품질의 오디오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고 전했다. 이용자와 기기 간에 음질이 방해받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다. 기기가 연결되는 방식, 연결 끊김, 오디오 끊김 및 결함, 지연, 그밖에 저품질 오디
[헬로티] 퀄컴은 주요 글로벌 오디오 브랜드와 협력해 무선 오디오의 새로운 시대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출처 : 퀄컴 퀄컴 테크날러지 인터내셔널 (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은 무선 오디오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아 기술 혁신을 이끌며 광범위한 플랫폼과 기술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며, 제조사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수천 명의 오디오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2020 현황 보고서 (State of Play Report 2020)' 설문조사에 의하면 대부분의 무선 오디오 기기 소비자는 지속해서 새로운 활용 사례와 기능을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 세계적으로 진정한 무선 이어버드의 폭발적인 성장이 이어지면서 연장된 배터리 수명, 향상된 스마트폰 상호운용성,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호출어(wake word) 작동 음성 비서 기능 및 음질 개선 등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게이밍과 영상 미디어 소비에 대한 인기는 저지연 블루투스 무선 오디오 연결에 대한 수요 상승을 이끌었다. 고음질 오디오가 오디오 기기 전반에서 주요 차별 요소로 자리매김한 가운
[헬로티] 로지텍이 기업용 화상회의 올인원 솔루션 로지텍 랠리 바(Logitech Rally Bar)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로지텍 로지텍은 이번 ‘로지텍 랠리 바’ 출시를 통하여 기업용 화상회의 퀄리티 ‘기준’을 높였다고 전했다. 로지텍 랠리 바는 화상회의에 필요한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컴퓨터 (Collab OS)가 통합된 일체형 제품이다. 화상회의에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와 줌 (Zoom)이 기본으로 탑재됐다. 이외에도 PC 기반의 다양한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들과 호환이 가능하며, 상반기에 순차적으로 여러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탑재될 예정이다. 로지텍은 랠리 바를 활용하면 장비의 설치 및 관리를 간소화해 운용에 드는 비용은 줄이고, 사용의 편리함은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제품 박스를 개봉하고, 수 분에 걸친 간편한 구동 설정(올인원 or PC 기반)을 마치면, 사용자는 곧바로 최상의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로지텍은 업그레이드된 화상회의를 원하는 기업을 위해 회의실 크기, 참석 인원, 업무 형태 등 다양한 환경에
[헬로티] 차세대 오디오, 이미징 및 센싱 기술 분야의 선도기업 엑스페리는 루마니아에 위치한 엑스페리의 자회사 포토네이션이 ISO9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포토네이션은 DTS 오토센스 카메라 기반의 탑승자 및 운전자 모니터링 솔루션 개발을 책임지고 있다. ISO9001 인증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품질경영시스템 표준으로, 고객 중시, 리더십, 프로세스 접근법, 지속적인 개선을 포함한 여러 품질경영원칙을 바탕으로 한다. ISO 9001 인증은 고객이 일관되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받음을 보장한다. 엑스페리의 오토모티브 담당 수석 부사장 겸 총괄인 제프 주리는 “이번 성과는 우리의 인캐빈(in-cabin) 센싱 제품의 상용화를 이끌 또 하나의 중요한 성과”라며, “엑스페리는 ISO9001 인증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품질을 제공함은 물론, 차량 탑승자 및 운전자의 안전을 지키고 전반적인 차량 내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TS 오토센스는 운전자 모니터링 솔루션(DMS)과 탑승자 모니터링 솔루션(OMS)으로 구성된다. OMS와 D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지사장 홍사곽)는 SHARC 오디오 모듈(SHARC Audio Module, 이하 SAM)을 특징으로 한 오디오 시스템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SAM은 오디오 FX 프로세서,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 MIDI 합성기, DSP 기반 오디오 시스템 등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기기 개발에 자양분이 될 것으로 보인다. ▲ ADI ADSP-SC589 평가보드. SAM은 Arm Cortex-A5 코어 기반의 듀얼 SHARC+ 코어 ADSP-SC589 오디오 프로세서 SoC를 포함하고 있으며, 아나로그디바이스의 A2B 오디오 버스 기술을 활용한다. ADI는 SHARC 오디오 모듈 메인 보드와 더불어 도터 보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오디오 시스템의 기능을 더욱 확장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젝트 핀(Audio Project Fin) 도터 보드는 메인 보드에 직접 결합하여, MIDI 입력/출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오디오 효과를 조정할 수 있도록 푸시 버튼과 다이얼도 제공한다. 이 A2B 증폭기 모듈은 두 가닥의 꼬인 선으로 구성되는 A2B 버스를 이용해 메인 보드(또는 연결된 또 다른 A2B 노드) 상의 PDM 마이크나 직렬 TDM 소스로부터 디지털 오
[첨단 헬로티=이나리 기자] ▷▶ 최수철 지사장, 유진혁 부장 - 노르딕 세미컨덕터 코리아 노르웨이 반도체 기업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 이하 노르딕)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시장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수년간 이어 나가고 있다. 노르딕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시장에서 분기별로 차이는 있지만 지속적으로 점유율 40~50% 사이를 오가며 독보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노르딕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오로지 집중해서 기술 개발을 해온 결과이다. 더불어 노르딕은 블루투스 시장에서 선도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며 기술 전환에 앞장서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연장선으로 노르딕은 차세대 블루투스 오디오 기술인 ‘LE 오디오’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1월 31일 LE 오디오 평가 플랫폼을 출시했다. LE 오디오는 블루투스 SIG가 올해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한 기술이다. 최수철 노르딕 세미컨덕터 코리아 지사장과 유진혁 노르딕 세미컨덕터 코리아 부장을 직접 만나 신기술인 LE 오디오와 노르딕의 사업 계획을 들어봤다. ▲노르딕세미컨덕터 코리아의 최수철 지사장(좌측)과 유진혁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San Diego)에 위치한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스택 개발업체인 패킷크래프트(Packetcraft)와 협력해 LE 오디오 평가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LE 오디오의 장점을 실질적으로 입증한 이 LE 오디오 솔루션은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가 2020년 상반기에 발표할 예정인 새로운 LE 오디오 사양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현재 블루투스 무선 오디오 솔루션은 전통적인 블루투스 기술을 적용하고 있지만, LE 오디오는 블루투스 LE 무선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고품질 무선 오디오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LE 오디오는 전통적인 블루투스 오디오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어 배터리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으며, 보다 뛰어난 오디오 품질과 함께 무선 데이터 전송 및 오디오 스트리밍을 모두 지원하는 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은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지원해 여러 사람에게 오디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노르딕의 LE 오디오 솔루션은 노르딕의 nRF52832 블루투스 LE SoC(Sys
[첨단 헬로티] 아날로그 및 전력반도체 전문 기업 실리콘마이터스는 오는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9’에 2년 연속 참가해 오디오 제품군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실리콘마이터스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테두리가 없는 베젤리스 추세에 대응하는 오디오 솔루션을 포함, 신규제품 라인업을 확보하고 오디오 분야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실리콘마이터스는 ▲압전 스피커 드라이버 ▲하이파이 DAC ▲스마트PA (모바일폰용 파워앰프) ▲AI 스피커 및 사운드바용 스피커 앰프 등 주력 제품을 전시, 시연할 예정이다. 베젤리스 디자인 제품은 제품 테두리가 얇아지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스피커가 없어지거나 스피커 공간이 줄어들어 사운드를 구현하는데 고난도 기술을 요한다. ▲피에조 드라이버와 스마트PA 현장에서 시연 가능한 SMA6101은 베젤리스 디자인에 최적화된 압전 스피커 드라이버로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노트북 및 컴퓨터에 적용이 가능하며, 패널에 미세한 진동을 일으켜 디스플레이에서 소리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오디오 칩이다. 또 음악 재생시 파일 정보를 소리로 전환하는 하이파이 DAC(제품명: SAM3101,
[첨단 헬로티] 로옴(ROHM)은 고해상도 오디오 음원의 재생에 적합한 Hi-Fi오디오 등, 고음질 오디오 기기에 최적인 D/A 컨버터 IC (이하, DAC 칩)의 제품화 기술을 확립했다. DAC 칩은 오디오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인 저잡음과 저왜곡율 (S/N비와 THD+N 특성)에서 높은 수준을 실현했다. 시청 평가를 거듭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켰으며, 2019년 여름에 제품 샘플을 출하할 예정이다. 최근, 고해상도 오디오 음원의 보급에 따라, 오디오 기기에서는 고음질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오디오용 DAC 칩은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음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고해상도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음원이 지닌 정보를 손상없이 아날로그로 변환해야 한다. 로옴은 50년에 걸친 오디오 IC의 제품 개발을 바탕으로 원음에 매우 가까운 음질을 재현하는 「음질 설계 기술」을 확립하여, 고음질 오디오 기기용으로 고음질 사운드 프로세서 IC 및 고음질 오디오용 전원 IC 등, 음질에 포커스를 맞춘 제품을 개발해 왔다. 그와 동시에 오디오 디바이스의 토탈 솔루션 컴퍼니로서 DAC 칩 개발에 착수했다. 2018년 5월에 독일 뮌
[첨단 헬로티]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자사의 IS2064GM-0L3에 소니(Sony)의 LDAC 오디오 코덱 기술을 적용한 완전 인증 블루투스 5-지원 SoC(System-on-Chip)를 출시했다. 뛰어난 오디오 품질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블루투스(Bluetooth) 오디오 디바이스에서 실감나고 매끄러운 청취감을 기대한다. 하지만 블루투스 오디오의 설계는 오디오 무선 전송에 사용되는 통신 및 압축 기술인 기존 코덱의 비트 깊이와 주파수 속도에 따라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마이크로칩의 SoC를 통해 제조업체들은 고급 코덱을 갖춘 최신 세대 오디오 디바이스를 개발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 오디오 시장의 범위를 전문가용을 넘어 대중용 블루투스 무선 제품까지 보다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고급 헤드폰 제조업체인 오디지(Audeze)는 자사의 하이엔드 모비우스(Mobius) 게임용 헤드폰에 본 제품을 채택했다. 오디지의 모비우스 헤드폰은 LDAC와 여타 오디오 코덱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무선 연결에 마이크로칩의 IS2064GM-0L3 SoC를 사용한다. 소니의 LDAC는 시중 제품 중 품질이 가장 우수한 오디오 코덱으로 평가받고
[첨단 헬로티] 텍사스인스트루머트(TI)는 다양한 스마트홈과 음성지원 애플리케이션에서 고해상도 오디오 개발을 위한 3개의 디지털 입력 클래스 D 오디오 증폭기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전에 볼 수 없던 기능들, 실시간 보호 기능 및 새로운 변조 방식을 결합함으로써 보드 공간과 전체 BOM(Bill Of Material)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신제품들은 스마트 스피커, 사운드 바, TV, 노트북, 프로젝터, IoT를 포함한 모든 전력 수준의 개인 전자기기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TAS2770은 최초의 넓은 전원 공급 I/V 감지 증폭기로서 TI 스마트 증폭기 알고리듬과 함께 사용할 때 최첨단의 실시간 스피커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이 증폭기가 스피커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음량을 키울 수 있으며, 또 한편으로 소형 스피커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기존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서 오디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TAS2770은 업계 최초로 디지털 마이크로폰 입력과 강력한 I/V 감지 증폭기를 결합한 오디오 프론트 엔드(AFE) 디바이스이다. 이 디바이스가 음성과 주변 음향 정보를 포착할 수 있으므로 음성 지원 애플리케이션에
[첨단 헬로티] 래티스 반도체가 HDMI® 2.1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 오디오 리시버와 트랜스미터 디바이스인 SiI9437과 SiI9438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eARC는 홈 시어터 연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술로, 단순하며 장애가 없고 최근 공표된 HDMI 2.1 규격에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래티스의 HDMI® 2.1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 솔루션 현재 활용할 수 있는 eARC 기술은 80개 이상의 선도적인 컨슈머 기기 제조회사들로 구성된 단체인 'HDMI 포럼'에 의해 개발됐다. 래티스는 HDMI 규격 설립자이자 컨트리뷰터, 어답터이며 eARC 기술을 지원하는 HDMI 2.1 제품을 발표함으로써 시장을 주도해나가고 있다. eARC는 HDMI 케이블 내부 2개 핀을 사용해 지터가 적은 고대역폭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오디오 기능을 발견 및 제어하는 양방향 통신 신호의 전송도 가능하다. 이 핀들은 HDMI 이더넷 채널 기능을 위해 고안된 것과 동일하다. eARC의 이러한 특징은 구식 TOSLINK와 SPDIF 오디오 출력에 비하면 엄청난 향상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8'을 앞두고 '최고 혁신상' 2개를 포함 총 36개의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는 현지시간 9일 'CES 혁신상' 수상 제품들을 28개 부문에 걸쳐 발표했다. 특히 CES 2018에서 새롭게 선보일 삼성 TV 신제품과 패밀리허브 냉장고 신제품이 각각 해당 제품군에서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들 제품을 포함해 TV, 생활가전, 모바일, 반도체, PC주변기기, 오디오, 스마트홈 제품들이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TV 부문에서 7년 연속 ‘최고 혁신상’을 수상하는 위업을 달성했으며, 생활가전 부문에서도 패밀리허브 냉장고가 이번에 ‘최고 혁신상’을 수상하면서 3년 연속 ‘혁신상’을 받는 쾌거를 이룬 셈이다.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세탁기, 조리기기 등 다양한 제품들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 특히 ‘패밀리허브’는 ‘최고 혁신상’뿐만 아니라 스마트홈 부문 혁신상도 수상하며 IoT 리더십을 주도하는 스마트 가
[헬로티] LG전자가 전략 스마트폰 ‘LG V20’를 미국, 캐나다 이동통신사들을 통해 출시하며 북미시장을 공략한다. LG전자는 ‘V20’의 예약판매를 지난 10월 7일부터 미국에서 이통사별로 시작해 왔으며, 28일에는 ‘버라이즌’, ‘AT&T’, ‘티모바일’, ‘스프린트’ 등 미국 주요 이통사들을 통해 ‘V20’를 출시했다. 또한 LG전자는 ‘V20’를 캐나다에도 출시하는 등 북미 유통망을 확대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선다. LG전자가 ‘V 시리즈’를 미국 스프린트사와 캐나다에 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미국에서 ‘V10’이 주목 받았던 비디오 성능을 ‘V20’에서도 강조하며 북미시장 맞춤 마케팅을 펼친다. LG전자는 북미를 시작으로 홍콩, 대만, 중남미 등에 ‘V20’를 순차 출시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V20’는 비디오, 오디오,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