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애플이 3일(현지시간) 장중 시가총액 3조 달러(3580조5000억 원)를 돌파하며 새 이정표를 썼다. 애플은 올해 거래 첫날인 이날 나스닥시장에서 한때 시총 3조 달러를 넘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애플은 이날 182.88달러까지 치솟아 역대 최고점을 찍었고, 동부 시간 기준 오후 3시 현재 2.44% 오른 181.90달러에 거래됐다. 이로써 애플은 약 16개월 만에 시총 2조 달러에서 3조 달러 고지에 오르며 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이 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에서 애플이 차지하는 비중은 7%까지 올랐다. 로이터통신은 "아이폰 제조사 애플이 자율주행차와 메타버스 등 신시장을 개척하는 가운데 계속해서 잘 팔리는 제품을 출시할 것이라는 투자자의 확신에 힘입어 3조 달러 시총을 기록한 전 세계 최초의 회사가 됐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반도체 칩 부족, 금리 상승 전망으로 일부 우려가 제기되지만, 투자자는 애플 제품의 세계적인 인기와 꾸준한 성장을 유지하는 신제품의 잠재력, 회사의 강력한 현금 보유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대유행
아날로그 칩 확보 위해 많은 기업과 경쟁 중 TI의 시가총액 1,700억 달러로 껑충 팀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아날로그 칩의 공급 부족으로 아이폰과 다른 제품을 충분히 만들지 못했다고 말했다. 팀쿡은 첨단 반도체 관련 문제는 없지만, 아날로그 칩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많은 기업과 경쟁하고 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올해 아이폰 같은 제품이 부족했던 한 요인이 미국 텍사스인스트루먼츠(TI)의 부품이라고 애플 공급망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12월 25일 보도했다. 아날로그 칩 메이커인 TI의 시가총액은 1,700억 달러(약 202조원)로 폭등했다. 아날로그 칩은 온도, 소리 같은 실제 세계의 신호를 디지털 세계의 0과 1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준다. 삼성전자나 인텔 등의 첨단 디지털 칩처럼 주목받지는 못하지만 개당 몇 달러짜리 아날로그 칩의 부족 사태는 아이폰에서 포드의 F-150 픽업트럭에 이르기까지 많은 분야의 공급망을 타격했다. 최신 하이엔드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약 50개 칩 가운데 첨단 제품은 4∼5개뿐이며 나머지에는 배터리 충전 관리나 디스플레이 전력 공급 등의 아날로그 칩이 포함된다. TI는 1930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이 우리나라에서 애플 아이폰 12보다 다운로드 속도가 더 빠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이는 올 가을 나온 아이폰 13이 제외된 한국 내 비교 결과다. 아이폰 13은 비교 대상에 포함된 거의 모든 해외 국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일 인터넷 속도측정 사이트 '스피드테스트'를 운영하는 우클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국내 주요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5G 다운로드 속도를 조사한 결과 갤럭시S21울트라 5G가 221.18Mbps로 가장 빨랐다. 이어 갤럭시S21 5G(215.1Mbps)가 2위였고, 작년 모델인 갤럭시노트20울트라 5G(199.91Mbps)와 아이폰12(193.34Mbps)가 각각 3·4위였다. 올해 출시된 아이폰13은 표본 수가 적어 우리나라에서는 비교 대상에서 빠졌다. LTE 다운로드 속도 조사에서도 갤럭시S9+가 60.41Mbps로 최고 기록을 세운 것을 비롯해 갤럭시 모델이 1∼4위를 차지해 5위 아이폰11(56.96Mbps)을 따돌렸다. 이와 달리, 이번에 함께 조사된 다른 국가에서는 아이폰13이 비교 대상에 포함됐고 휴대전화 모델들 중 5G 다운로드 속도 1위를 차지했다. 중국에서만 화웨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애플이 LG전자와 손잡고 한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려는 계획이 국내 모바일 업계를 혼돈 속으로 빠뜨리고 있다. 애초 애플과 협력으로 모바일 사업 철수의 공백을 메우려던 LG전자는 중소 유통업자와 여론의 반발에 갈지자 행보를 하고 있고, 애써 외면 중인 삼성전자는 행여 이번 일이 국내 시장의 주도권 약화로 이어질까 긴장하고 있다. "대기업이 영세상인 생계위협" 반발에 멈칫한 LG 8일 모바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가전 매장인 베스트샵에서 애플 제품을 판매하는 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을 최근 잠정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해당 건에 대해 이동통신 대리점들이 반발하는 데다 해외업체와 함께 삼성전자를 견제하는 모양새로 비치면서 LG전자가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며 "최근 내부적으로 의사결정이 중단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열린 대책 회의에서는 정부가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 정책 기조를 강조하는 와중에 대기업 유통점이 코로나19로 형편이 어려운 영세 유통점의 생존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검토된 것으로 전해졌다. 베스트샵도 애플 판매를 위한 직원 교육을 보류하는 등 애플 판매가 기존 인력과 유통망을 활용하는 효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애플(Apple)이 독일의 프리미엄 완성차업체 BMW의 전 고위 임원을 영입했다. '애플카'로 불리는 전기차 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애플은 최근 BMW에서 전기차를 담당해온 전 수석부사장 울리히 크란츠를 영입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익명의 관계자들을 인용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크란츠는 BMW에서 전기차 개발 부문을 이끌었던 인물로, 순수 전기차 'i3'와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i8'이 그 작업의 결과물이었다. 그는 BMW를 나온 뒤에는 캘리포니아에 자율주행 전기차 제조 스타트업 '커누'를 공동 창업하고 최고경영자(CEO)를 맡아왔다. 커누는 지난해 12월 상장했으며 내년께 전기 미니밴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애플이 테슬라 같은 완성차 업체들과 경쟁할 전기차 제조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CNBC는 평가했다. 애플은 단 한 번도 자동차 제조 방침을 확인한 바 없다. 그러나 자동차 업계의 많은 인재를 영입했고 캘리포니아에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시험하기도 했다. 2018년에는 테슬라에서 보급형 전기차 '모델3' 개발에 관여한 더그 필드를 데려왔다. 필드는 현재 애플카 프로젝트를 이끄는
[헬로티] 시장조사업체 분석…올해는 애플 5G 스마트폰 1위 전망 작년 5G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가 1위를 차지하고, 애플이 2위, 삼성전자가 3위를 차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작년 5G 스마트폰 시장에서 4천100만대를 출하해 점유율 15.1%로 3위를 차지할 것으로 파악된다. 1위는 7천960만대를 출하한 화웨이(29.2%)이고, 2위는 5천230만대를 출하한 애플(19.2%)이다. 화웨이는 미중 무역분쟁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5G가 빠르게 확산함에 따라 5G 스마트폰 출하량을 크게 늘린 것으로 분석됐다. 5G 도입 첫해인 2019년 5G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화웨이가 37.2%, 삼성전자가 36.0%로 크게 차이 나지 않았으나, 자국 내 '물량 공세'로 화웨이가 올해 앞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예년보다 아이폰12 시리즈를 작년 한 달 늦게 출시했으나, 5G 시장에 처음 진출하자마자 큰 인기를 끌었다. 사진. 삼성-화웨이-애플(CG) (출처:연합뉴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아이폰12는 출시 2주 차를 제외하고 출시 1~6주 차에서 모두 아이폰1
사진. 전기차 시장 진출한 폭스콘(출처: 연합뉴스) [헬로티] 아이폰의 조립회사로 유명한 대만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이 이르면 2025년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10%의 점유율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고 블룸버그와 로이터 통신 등이 지난 16일 보도했다. 이 회사는 이날 전기차 제조 지원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을 발표하면서 현재 주로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전고체 배터리를 2024년까지 내놓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특히 리우 영 회장은 이르면 2025년까지 자사 플랫폼을 활용한 전기차가 약 300만대로, 10%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회사 창업자 궈타이밍의 뒤를 이어 작년 7월 회장에 취임한 그는 폭스콘의 사업에서 애플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높은 가운데 다른 소비자 가전의 성장세는 둔화하자 자동차와 의료장비 등 사업 강화에 힘쓰고 있다. 폭스콘은 피아트크라이슬러와 중국에서 전기차를 생산할 합작 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고 올해 초 공표하기도 했다. 이 회사의 자율 운행 기술은 일본의 몇몇 공항 셔틀 교통편에 이미 사용되고도 있다. 지난해 폭스콘의 자동차 부품 매출은 약 3억3천만달러 규모였다.
[첨단 헬로티=이나리 기자] 스마트폰의 카메라는 단순히 사진을 촬영하는 수준을 넘어서 AI 기능이 접목되고, 보안을 위해 세분화된 얼굴 인식이 요구되면서 고도화된 감지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됐다. 이처럼 3D 이미지 센싱을 위한 기술로 등장한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수직 공진 표면 발광 레이저)와 ToF(Time-of-Flight, 비행거리측정) 센서는 최신 하이엔드 스마트폰에 탑재률이 높아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또 3D 이미지 센싱 기술은 스마트폰 외에도 AR, VR, 게임 산업 분야 등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어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업체간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욜디벨롭먼트(Yole Développement)에 따르면 전세계 3D 이미징 및 센싱 시장은 2019년 50억 달러에서 연평균 20% 성장해 2025년이면 150억 달러로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된다. 3D 센싱 시장에서 주요 트렌드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ToF 카메라 부착이 전면을 넘어서 2025년에 탑재율이 4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3D 센싱 기술은 스마트폰 외에도 지능형 구동 디바이스, 로봇, 스
[첨단 헬로티] 아이폰 제조업체 폭스콘도 1분기 매출 하락 예상 중국의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의 영향으로 애플의 올해 1분기 아이폰 출하량이 2019년 대비 50% 감소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아이폰의 90%가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스위스 금융기관인 크레디트스위스 애널리스트는 이와 같은 전망을 내놓으며 “1분기는 아이폰판매의 비수기임에도 시즌 평균 출하량 보다 15~20% 하락이 예측된다”며 “그러나 이는 올해 전체 출하량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제조라인이 빨간불이 켜진 애플은 위기감을 느꼈는지, 지난 2월 20일 팀 쿡 애플 CEO가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 “협력업체와 함께 안전한 업무 복귀를 위해 노력 중이다”라며 “애플은 줄곧 중국 여러 사회에 대한 약속을 지켜왔다"는 게시물을 중국어와 영어로 작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다수의 스마트폰의 부품이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아이폰 만의 비상사태가 아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이 전년 동기보다 12% 이상 감소해 5년만의
[첨단 헬로티] IHS, 2018년부터 2023년까지 무선 충전 수신기 60억대 이상 출하 전망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의 출하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시작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한 무선 충전 기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비자용 의료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모든 애플리케이션, 제품 분야에서 무선 수신기 및 송신기의 연간 출하 대수는 2017년의 4억 5000만 대에서 2023년 22억 대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로써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출하되는 수신 장치 누적수는 총 60억개 이상, 송신 장치 누적수는 20억개 이상이 예상된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2017년에만 약 3100만 대가 출하됐다. 2017년의 상위 3개 무선 충전 수신기가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은 유닛 출하량 기준으로 스마트폰, 웨어러블(예 : 스마트 워치), 개인 위생기구(예 : 전동 칫솔) 순이었다. 향후 소비자용 의료 디바이스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2023년 약 1300만대 유닛 기록이 예상되며 주로 보청기 시장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분석된다. ▲무선충전 기능의 전동칫솔 (
[첨단 헬로티] 아이폰7 출시 이후 NFC 도입 증가세 이어져… NFC 기반 애플리케이션도 늘어나 NFC 포럼의 2017년 기술 규격은 기존의 NFC 애플리케이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레거시와 미래의 NFC 기술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규격과 수정 사항을 제공한다. NFC 포럼은 빠르게 진화하고 성장하는 NFC 산업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표준을 제공하고 근거리통신(NFC) 기술 개발을 위한 21가지의 새로운 규격을 발표했다. NFC 포럼의 ‘2017 기술 규격(2017 Technical Specification)’은 전 세계적으로 NFC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수와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제공되는 것이다. NFC 포럼의 전무 이사인 폴라 헌터(Paula Hunter)는 “향상된 NFC 포럼 기술 스펙의 주된 동기는 상호 운용성의 추가적인 증가에 있다”고 말했다. 그가 설명하는 세 가지 스펙은, 첫째 스마트 워치와 같은 제품의 더 작은 NFC 태그가 기존 판독기로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두번째는 포럼의 인증 프로그램에 의해 인증될 수 있는 NFC 태그에 대한 표준을 만드는 것이
[첨단 헬로티] 올해 3분기 전세계에서 팔린 스마트폰은 4억대에 이른다. 삼성전자는 7,000만 대를 넘게 팔며 스마트폰 시장 1위 자리를 굳혔다. 애플은 4,300만 대, 화웨이는 3,200만 대를 팔아 2위, 3위 자리를 지켰다. 가트너는 최종 사용자 대상 스마트폰 전세계 판매량이 2017년 3분기 3억8,300만 대로 2016년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상위 5개 스마트폰 공급 업체 모두 애플과 별개로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 전체적으로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트너 책임연구원인 안술 굽타(Anshul Gupta)는 "중국의 시장 약세에도 불구하고 2017년 3분기에 스마트폰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신흥 아태 지역과 북미 지역이 이번 분기의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굽타는 "삼성과 화웨이 모두 샤오미, 비보와 함께 신흥 아태 지역의 활발한 수요로 자국 시장을 넘어 시장 범위를 넓힐 수 있었다. 북미 지역에서는 삼성이 새로운 주력 상품으로 3분기 전체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2017년 3분기에 19.3% 증가했다. 굽타는 "새로운 디자인의 갤럭
[첨단 헬로티] 모바일 액세서리 업체 벨킨은 아이폰8, 아이폰8 플러스 및 아이폰X를 위한 새 무선 충전 패드를 13일 발표했다. BOOST↑UP™무선 충전 패드는 아이폰8, 아이폰8 플러스 및 아이폰X에 무선 충전을 제공한다. Qi 기술을 응용한 솔루션으로, 호환 장치의 경우 최대 7.5W까지 충전을 할 수 있다. 벨킨은 세계 무선 충전 시장에 대해 고객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고객의 생활 방식 및 구매 선호도, 그리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제품을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벨킨의 제너럴 매니저이자 부사장인 스티브 맬로니(Steve Malony)는 "전 세계 고객들은 아이폰을 사랑하며 미래의 충전은 무선 충전이라 생각한다. 소비자들이 신기술의 힘을 실감 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사명으로, 벨킨의 성장하고 있는 무선 충전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아이폰8, 아이폰8 플러스 및 아이폰X를 위한 새로운 BOOST↑UP 무선 충전 패드로 지속적으로 확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벨킨은 아이폰8, 아이폰8 플러스 및 아이폰X 사용자에게 케이블 없는 최고의 편리한 충전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애플의 새 아이폰 시리즈가 공개됐다. 애플은 12일(현지시간) 쿠퍼티노 새 캠퍼스 스티브 잡스 극장에서 개최한 신제품 발표회에서 아이폰X(아이폰10) 등 스마트폰 3종 외에 LTE 이동통신망 연결이 가능한 애플워치,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애플TV 신제품을 공개했다. 새 아이폰의 경우 아이폰 탄생 10주년을 기념해 선보인 프리미엄 제품인 아이폰X 외에 아이폰8과 아이폰8 플러스가 이번 행사를 통해 모습을 드러냈다. 새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기술 외에 그전 아이폰에서는 없었던 무선 충전 기술도 탑재됐다. 아이폰10으로 발음되는 아이폰X 외에 아이폰8, 아이폰8 플러스 모두 애플이 새로 만든 A11 바이오닉 칩에 기반한다. 애플에 따르면 A11은 이전 A10 프로세서에 비해 성능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다. 인공지능을 지원하는 신경망 엔진도 포함한다. 애플이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GPU도 탑재됐다. A11 바이오닉은 64비트 기반이며, 43억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다. 6코어 CPU가 있는데, 2개 고성능 코어는 이전 A10 퓨전에 비해 25% 빠르고, 4개 고효율 코어는 이전 A10에 비해 70% 효율적이다. 신경망 엔진은 아이폰X가 제공하는
[첨단 헬로티] 애플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신형 스마트워치를 선보일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아이폰 없이 스마트워치 자체적으로 많은 일들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블룸버그통신이 내부사정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애플이 제공하는 스마트워치 제품인 애플워치는 무선에 연결되려면 아이폰과 연결되어야 한다. 올해말 선보일 것으로 보이는 신형 애플워치는 LTE 칩을 탑재, 아이폰없이도 앱을 사용하고 음악을 내려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새 애플워치에 쓰일 LTE 모뎀은 인텔이 공급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몇년간 애플 모바일 기기에 부품을 공급하려고 애써온 인텔 입장에선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애플이 판매하는 모바일 기기의 핵심 모뎀 공급 업체는 퀄컴이다. 그러나 양사는 최근들어 법적 분쟁에 휩싸이는 등 사이가 예전에 비해 악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