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진 대표, 마크베이스 우리는 이미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서 있다.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는 스마트 시티나 스마트 팩토리 등 우리 삶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는 스마트-X 산업은 IoT 데이터 폭증이라는 또 다른 도전을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마크베이스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TSDB)는 지난 2019년 이후 3년 연속 국제성능평가협회인 TPC에서 IoT 부문 1위를 매년 갱신하면서 IoT 데이터 처리의 세계 최강자임을 증명해오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지구상의 다양한 산업계 중에서도 가장 많은 IoT 데이터를 생산해 내는 반도체 분야의 대규모 데이터 실시간 처리 기술을 통해, 상상을 넘어선 그 성능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에 대한 성과를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폭증하고 있는 IoT 데이터의 처리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이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 분들께 희망찬 소식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Smart-X 시대 : IoT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 1. 데이터 증가 원인 우리는 현재 IoT 센서 데이터를 분석해 인공지능(AI)을 이용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IoT 센서 데이터란 온도, 습도, 전류, 전압, 진동과 같이
"아무도 안 할 수는 없고, 누군가 하긴 해야겠고... 어떻게 하다보니 이 짐을 제가 짊어지고 있네요.(웃음) 참 험난한 길인데, 내가 여기서 못하겠다고 나자빠져버리면 우리 동료 스타트업들, 후배 기업들, 협력 기업들이 '우리나라는 정말 어려운건가?'하면서 탁 꺽여버리지 않을까 두렵기도 해요.“ "대표님께 자율주행이란?". 인터뷰의 막바지, 유명한 예능 프로그램의 클로징 장면을 따라 반쯤은 장난스레 건넨 질문에, 뜻밖에 무슨 질문에도 척척 대답하던 그가 쉽게 말을 잇지 못했다. 적당한 표현을 찾지 못해 뜨문뜨문 꺼내놓은 말들 사이에서, 단어 몇 개로 정의할 수 없는 복잡한 마음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단한 진심이 느껴졌다. 자신이 창업한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다가오는 자율주행 시장에서 산업의 구심점으로서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냈으면 좋겠다는 한지형 대표는 업계에서 제법 뼈가 굵은 선배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를 창업하기 전, 한지형 대표는 11년간 현대자동차에서 근무했다. 처음 6년 동안은 일반 양산차 개발 PM(Project Manager)을, 이후에는 자율주행차 개발을 맡았다. 당시는 현대자동차가 합작법인 모셔널을 설립하기 전으로, CES 2017에서 정의선 회
헬로티 서재창 기자 | LG CNS가 지난 1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1 대한민국 소프트웨어대전에 참가해 스마트 물류, 스마트 팩토리, 메타버스 등의 분야에 적용되는 IT 솔루션을 소개했다. LG CNS의 사업 분야는 광범위하다. AI 및 빅데이터를 비롯해 통신과 미디어, 데이터센터, 블록체인, 클라우드,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교통, 리테일, 스마트 정부 등 각 영역에서 디지털 혁신을 이끌고 있다. LG CNS의 강점은 국내 대형 IT 프로젝트를 성공시킨 노하우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컨설팅, 시스템 구축 및 운영, 토털 아웃소싱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 CNS는 부스 전면에 스마트 물류 솔루션을 내세웠다. 도심물류센터를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인 LG CNS의 MFC(Micro Fulfillment Cente) 솔루션은 시장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고객사별 최적의 물류 프로세스 및 설비 구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컨설팅, 상세 설계, 구축, 설비 및 솔루션 공급, 유지보수까지 물류 자동화 설비 분야에서 토털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전체 운영 과정에 걸친 AI 서비스 오퍼링으로 스마트 MFC 구현을 지원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스타트업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현대차 그룹과 MOU를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 협약에서 인피니언은 스타트업에 제품 차원의 기술 전문성을 지원하고, 싱가포르에 있는 인피니언 코이노베이션 스페이스에서 긴밀하게 협력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중점 분야는 미래 모빌리티,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 팩토리 애플리케이션이다. 싱가포르에 위치한 코이노베이션 스페이스는 스타트업에 1년 동안 R&D 장비, 제조 설비 및 인피니언의 첨단 기술, 엔지니어링 전문지식, 글로벌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인피니언이 매년 개최하는 OktoberTech Asia Pacific 2021 행사에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경영이사회 위원이자 CMO인 헬무트 가젤(Helmut Gassel) 박사는 “전동화와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는 환경에서 창의성과 혁신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 분야 간에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인피니언은 통합하기 쉬운 반도체 솔루션과 시스템 전문성 및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스타트업 에코시스템을 육성하고 스타트업이 지속가능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에이모가 영국 워릭셔에 있는 MIRA 테크놀로지 파크에 첫 유럽 사무소를 개소하고 현지 진출을 본격화 했다. 에이모는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가공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에이모는 유럽의 모빌리티 연구개발 캠퍼스인 MIRA 테크놀로지 파크 내 유럽 사무소 개소를 통해 현지 자율주행 기업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다양한 협업을 통해 고품질의 자율주행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에이모는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카카오모빌리티, 코마츠, 경기도자율주행센터 등과 자율주행 분야의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MIRA 테크놀로지 파크는 1945년 영국 정부가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해 설립한 MIRA가 주행시험장, 차량 테스트, 엔지니어링 설비 등을 갖춰 조성한 곳으로, 현재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자율주행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MIRA 테크놀로지 파크에는 재규어, 랜드로버, 도요타, 혼다, 보쉬, 콘티넨탈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을 비롯해 1차 협력사, 자동차 OEM 기업, 핵심 부품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정도일 에이모 해외사업 본부장은 “유럽 현지 진출을 통해 자율주행 선진 기술을 가진 고객사들과 다양한 기술 파트너십을 통해 에이모의 진보된 기술력을 전
[헬로티] 사무용 건물 내부 및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의 커버리지 향상 (출처 : 유블럭스) 위치추적 무선 통신 기업 유블럭스가 유럽,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400~450MHz LTE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새로운 모듈을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유블럭스 SARA-R540S는 LTE 대역 31, 72, 73, 87 및 88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들 저주파 대역은 전파 전달력이 우수해 스마트 검침, 공공 안전, 스마트 그리드 및 스마트 시티 시장의 고객이 표준 셀룰러 연결 기술로는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는 엄격한 실내외 커버리지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유블럭스 SARA-R540S는 뛰어난 가용성과 탄력성을 보장하는 사물인터넷(IoT) 전용 통신 인프라 설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대응해 출시된 제품이다. SARA-R540S는 유블럭스 UBX-R5 셀룰러 칩셋을 기반으로 하며, 유블럭스 SARA-R5 제품군에 이미 적용돼 있는 많은 기능들을 활용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 같은 소유권은 유블럭스가 이 모듈 제품의 장기적 가용성을 보장하고, 향후 수십 년 동안 전체 플랫폼에 대한 평생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헬로티] 세연테크(대표이사 김종훈)는 딥러닝 기반의 번호인식 기능과 지능형 영상 분석 기능이 내장된 임베디드 타입 NVR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세연테크의 신제품은 기존 NVR과 마찬가지로 IP 카메라의 영상을 실시간 디스플레이, 저장, 검색 및 재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딥러닝 기반의 다양한 영상 분석 솔루션을 탑재하여 임베디드 타입의 지능형 NVR로 최적화된 제품이다. 특히 업그레이드를 통해 다양한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할 수 있으며, 개방형 개발환경을 지원하여, 고객들도 원하는 AI 기능을 탑재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을 더불어 제공한다. 또한, 윈도 OS 기반이나 다른 리눅스 플랫폼에서 사용 중인 인공지능 기능도 ONNX 변환을 통해 NVR로 인공지능 기능을 포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를 통해 작동하던 중앙 집중적인 인공지능 추론 및 분석을 에지 단으로 이동시켜 TCO의 절감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다. 한편, 실시간 영상에 대한 인공지능 분석뿐만 아니라 내장된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기간을 지정하고, 해당 기간의 영상에 대한 AI 분석도 가능하다. ▲ 세연테크의 신제품 NVR 완제품 ‘FWR2P4-NN’과 보드 &ls
[헬로티] 만도는 라이다 제품, 서울로보틱스는 AI 소프트웨어 맡아...스마트 센서 솔루션 조기 사업화 목표 ▲만도 ADAS BU R&D 강형진 센터장(사진 좌)과 서울로보틱스 이한빈 대표(사진 우). 서울로보틱스가 만도와 8일 판교만도중앙연구소에서 라이다와 이미징 레이다 상용화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고성능 3D·4D 센서의 국산화 및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만도는 외부에서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3D 라이다 및 4D 이미지 레이다 제품을 만들고 서울로보틱스는 정보를 빠르게 분석해 사람, 차량 등의 사물을 식별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만든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보다 안전하고 고도화된 자율주행용 센서 솔루션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양사는 자율주행을 넘어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무인로봇 등 다양한 산업군을 겨냥한 스마트 센서 솔루션을 사업화해, 국내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함께 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스마트 센서 솔루션의 조기 사업화를 목표로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자율주행차의 눈’이라고 불리는 라이다는 현재 빠르게 제품 고도화와 가격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Microchip Technology)의 WLR089U0 LoRa Sub-GHz 모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Microchip_WLR089U0 790nA의 초저전력 절전 전류를 제공하는 WLR089U0 모듈은 사물 인터넷(IoT)이나 스마트 시티 솔루션 등의 배터리 전원 공급식 원격 센서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에서 제공하는 Microchip WLR089U0 모듈은 LoRa 및 FSK 변조를 지원하는 고집적 SAM R34 제품군 IC를 기반으로 한다. WLR089U0 모듈은 32비트 Arm Cortex-M0+ 프로세서와 256KB 플래시 및 40kb SRAM(8KB 배터리 백업 SRAM)을 포함한다. 고도로 구성 가능한 모듈은 12비트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채널 7개, 아날로그 비교기 2개 및 최대 4개의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다양한 주변 장치를 제공한다. WLR089U0 모듈은 RF 스위치를 통합하여 863MHz에서 928MHz까지 전 세계 LoRaWAN 작동을 지원하며, 각 지역의 개발자들이 단일 부품 변형을 사용하여 설계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LoRaWan 기술을 위한 신규 리소스 사이트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LoRaWan은 지역, 국가 및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배터리 작동 장치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저전력 광역(LPWA)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이 고성능 프로토콜은 종단 간 보안, 양방향 통신, 이동성 및 현지화 서비스를 포함한 주요 사물 인터넷(IoT) 요구 사항을 지원한다. 마우저의 신규 리소스 사이트는 LoRaWan 기술, 전략 및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LoRaWan Alliance는 표준화 및 공인 인증 체계를 통해 LPWA 네트워크 확장에 필요한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며 LoRaWan을 글로벌 LPWAN 배포를 위한 솔루션으로 만든다. 마우저에 따르면 LoRaWan은 저전력 및 보안 기능 사양과 설계 각각의 미묘한 차이와 함께 다양한 사용 사례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또한 신규 LoRaWan 리소스 사이트에는 농업, 스마트 시티, 센서, 자율 주행 차량 및 기타 애플리케이션에서 LoRaWan 연결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 기사, 동영상, 제품 설명 및 교육용 플립북이 포함되어 있다고 전했다.
[헬로티] ▲서울로보틱스의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벨로다인의 교통 트래픽 솔루션 라이다 이미지 (출처 : 서울로보틱스) 서울로보틱스가 글로벌 기업 퀄컴, 벨로다인과 함께 스마트시티용 라이다(LiDAR)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고 23일 밝혔다. 퀄컴은 공공 서비스를 개선하고 안전을 높이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 ‘스마트시티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서울로보틱스는 퀄컴에 라이다 소프트웨어를, 벨로다인은 퀄컴에 라이다를 공급하는 형태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라이다는 빛을 발산해 그 빛이 주위의 대상 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받아 물체까지의 거리 등을 측정함으로써 주변의 모습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장치다. 라이다 센서는 최근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 12에도 장착될 만큼 다양한 산업군에 쓰이기 시작했다. 해당 기술은 특히 자율주행을 보완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에 중요한 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는 “글로벌 기업에서 국내 스타트업의 기술력을 알아보기 시작한 때”라며, “서울로보틱스의 기술력을 인정한 벨로다인과 손잡고, 퀄컴의 스마트시티 애플리케이션의 고도화에 앞장설 것&
[헬로티] IP 카메라 개발 제조 전문업체 세연테크(대표이사 김종훈)는 암바렐라 기반의 SOC를 적용한 IP카메라용 보급형 IP 모듈 ‘FW1172-A3B’를 양산한다고 밝혔다. 최근 대만 TSMC에서 중국 H사의 반도체 생산이 중단됨에 따라, 현실적으로 IP카메라용 칩의 납기가 불안정해져, 많은 제조사에서 다른 대안을 찾고 있음에 따라, 세연테크는 국내외 시장을 확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화소에 대응할 수 있는 IP카메라용 모듈을 출시하고, 공격적으로 고객을 발굴하고 있다. ▲ 암바렐라 SOC 기반의 범용 IP 카메라 모듈 ‘FW1172-A3B' 세연테크는 신제품 IP 모듈이 2메가 화소 수 ~ 5메가 화소 수까지 지원한다. 이와 병행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서까지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자동차 번호판 감지에 많이 사용되는 글로벌 셔터 센서와도 연동되며, PTZ 카메라에도 활용이 되고 있어 시장 모가 크다. 현재, 세연테크는 이스라엘, 이태리, 대만, 미국 등 해외 제조사에서 성능 검증이 완료돼 납품하고 있으며, 사용 목적에 맞는 센서와 함께 모듈을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IP 비디오가 필요한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드
[첨단 헬로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는 국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이하 DBMS)이 세계 최고 성능으로 사물인터넷 분야 국제공인인증(TPC)을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국내 토종 강소기업인 마크베이스는 2019년도부터 TTA의 지원을 받아 TPC 국제공인인증 획득을 위해 노력했으며, 지속적인 성능 개선 과정을 통해 세계 최고 성능을 갱신하고 있다. 2019년에는 기존 사물인터넷 분야 세계 1위 성능을 차지했던 Apache Hbase보다 약 140%이상 높은 성능으로 인증을 획득('19.11.11.)했으며, 올해는 작년보다 약 2배 이상 향상된 성능으로 인증을 다시 획득했다. 이번 인증을 획득한 마크베이스의 DBMS는 초당 수백만 개의 센서 데이터를 시간 순으로 수집, 저장하여 실시간 분석이 가능한 시계열 DBMS로, 사물인터넷,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빅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TTA는 과기정통부 소관 사업(HPC이노베이션허브)의 일환으로 국내 강소기업 발굴과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협업은 제품의 우수성과 TTA 성능평가 기술력을 높이 평가한 글로벌 기업인
[첨단 헬로티] 중국 내 스마트 시티, 클라우드, 스마트 물류 등의 사업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추진 삼성SDS(대표 홍원표)는 지난 25일 삼성SDS 잠실캠퍼스에서 중국 내 IT서비스 사업 확대를 위해 디지털차이나와 사업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차이나는 시스템 통합, IT아웃소싱, 클라우드 서비스, IT제품 유통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IT서비스 민간 기업이다. 이번 협약으로 삼성SDS는 클라우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RPA 등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디지털차이나는 현지 영업과 사업수행을 맡아, 중국 내 스마트 시티, 클라우드, 스마트 물류 등의 사업분야에서 협력하게 된다. 삼성SDS는 △AI 기반 대용량 데이터 분석 플랫폼(Brightics AI) △사물인터넷 플랫폼(Brightics IoT) △AI 기반 대화형 업무 자동화 솔루션(Brity Works) 등을 중국 고객에게 적용이 용이하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디지털차이나에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SDS는 ‘대외사업을 통한 혁신적 성장’ 경영방침에 따라 해외사업 강화를 위해 이
[첨단 헬로티] 한국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의 정부 인사이트(IDC Government Insights) 프로그램에서는 제5회 스마트 시티 아시아 태평양 어워드(Smart City Asia Pacific Awards, 이하 SCAPA)의 후보들을 대상으로 공개 투표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투표는 일본을 제외한 아태 지역의 우수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선정을 위한 것으로, 추천 기간 동안 아태지역의 지자체 및 기술 공급업체들이 170여 개의 프로젝트를 제출했으며, IDC는 12개의 수상 부문에서 57개의 프로젝트를 수상 후보자로 선정했다. IDC 아시아 태평양 공공부문 연구를 총괄하고 있는 제럴드 왕(Gerald Wang)은 “IDC는 지난 5년간 최고의 스마트 시티 벤치마킹 및 모색을 위한 이정표를 마련했다. 올해는 전 지역의 우수 사례 공유 및 벤치마킹에 대한 일관된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시티 어워드 카테고리를 재정의 했다”고 말했다. 한국IDC에서 스마트 시티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김경민 수석 연구원은 “국내 스마트 시티는 ICT 인프라에서 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