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원장 주영창, 이하 융기원)은 앤시스코리아와 함께 11월 11일 ‘한국 자율주행 개발자 포럼(KADF 2021)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자율주행차량의 개발·시험·평가와 시뮬레이션’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융기원 경기도자율주행센터 임경일 센터장을 비롯해 한국자동차연구원 스마트카연구본부 이재관 본부장, 모라이 정지원 대표, 앤시스코리아 자율주행 솔루션 부문 제프 블랙번 수석 세일즈 매니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자율주행차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 과정 △자율주행의 기능적 안전성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동향 및 핵심 기술 소개 △경기도 판교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및 운행 안전 관리 기술 개발 △법규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차 안전도 확보 및 검증 방안 등 완전한 자율주행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소식이 공유될 예정이다. 융기원 경기도자율주행센터 임경일 센터장은 “KADF 2021을 통해 자율주행 산업 분야의 전문가 및 업계 종사자들이 모여 자율주행 산업에 관해 교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이바지하고 나아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는 FiRa Consortium으로 부터 세계 최초 국제 공인 시험소(ATL) 자격을 10월 25일에 획득하여 초광대역 기술 분야에 대해 본격적으로 시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FiRa Consortium(이하 ‘FiRa’)은 초광대역(UWB) 기술을 활용한 위치측정 및 보안 서비스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는 협의체로 가전, 통신, 서비스 플랫폼, 차량, 보안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 전 세계 90개 기업이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FiRa 인증의 주요시험은 물리 계층(UWB 전파 세기 및 특성), 매체 접근 제어 계층(메시지 정합성), 상호운용성(기기 간 연결성)으로 구성된다. TTA는 FiRa 국제 공인 시험소 자격 획득을 위해 지난 8월에 KOLAS 시험기관 자격을 획득 했으며, 국제 공인 시험소 운영에 필요한 시험인력 양성 및 전문시험기술도 습득했다. TTA 최영해 회장은 “뉴노멀로 부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조되는 시대에 FiRa가 제공하는 정밀한 위치측정과 강화된 보안 기능은 스마트시티, 스마트빌딩, 스마트카, 스마트홈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서비스에서 활용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김성진 대표, 마크베이스 | 스마트 X 시대의 도래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는 IT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만 이해할 법한 전문 용어였지만, 최근 들어 TV, 냉장고, 에어컨, 보일러 등 다양한 가전제품은 물론 침대 광고 영상에도 IoT라는 표현이 등장하면서 어느새 일상생활의 친근한 표현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으로 판단하고 동작하는 스마트 세상은 이제 공상과학영화 속에서나 그려지던 미래의 모습이 아니라 현재 우리 주변에서 현실이 되고 있다. 또한,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점점 더 우리의 일상을 바꿔나가고 있고 우리 주변을 IoT로 가득 채우고 있다. 우리가 인지하고 있든 인지하지 못하고 있든 이미 우리의 일상은 IoT 세상에서 살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을 한번 들여다보자. 현관문을 열고 들어오면 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등이 자동으로 켜지고,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와 실내 공기 질을 측정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상태가 나빠지면 스스로 동작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한다. 에어컨과 가습기 또한 실내 온도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현대자동차가 중국 현지 IT 기업과 손잡고 자동차를 통해 운전자 건강을 관리하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29일 현대차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현대차 선행 디지털 연구소는 현지 IT 기업인 이통 테크놀로지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운전자 건강 관리 기술 개발에 협력할 계획이다. 이통 테크놀로지는 지난달 중국 IT업체로부터 심박수 센서 모듈 지식재산권을 양도받은 자회사 허페이 웨일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를 통해 관련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선행 디지털 연구소는 중국에 특화된 인포테인먼트와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중국 자동차 시장 트렌드 및 신기술 연구를 위해 신설된 곳으로,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이통 테크놀로지와의 협업을 통해 중국의 스마트카 생태계 조성에도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현대차 관계자는 "이통 테크놀로지와의 협업은 초기 검토 단계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밝혔다.
[헬로티] 전 세계 2위 차량제조사, 전 세계 1위 차량 OS사인 '블랙베리 QNX' 등 메이저 자동차 업체에 스마트카 소프트웨어 플랫폼 공급 최근 미국 전기차 테슬라가 국내에서 월 7천900원의 유료서비스인 ‘프리미엄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전기차 원조기업인 닛산이 전기 SUV 아이야 모델에 아마존의 AI 음성인식 플랫폼 ‘알렉사(Alexa)’를 선보이며 본격적인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오비고 스마트카 소프트웨어 플랫폼 제품 2023년까지 연평균 22.3%의 급성장이 예상되는 커넥티드 카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각 완성차 메이커들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커넥티드 카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소프트웨어 플랫폼 시장의 주도권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기업 오비고가 세계 3대 모바일 브라우저 기업에서 글로벌 커넥티드 카 시장을 선도하는 스마트카 소프트웨어 플랫폼 회사로 성장하며 주목받고 있다. 2003년 설립된 오비고는 스마트카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스마트카 콘텐츠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오비고 AGB 브라우저, 오비고 앱 프레임워크, 오비고
[첨단 헬로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는 2월 17일부터 22일까지 스페인 말라가에서 진행된 제39차 oneM2M 기술총회에서 2020년 4월 개최하는 제45차 oneM2M 기술총회 국제회의 국내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oneM2M 기술총회’는 사물인터넷 분야의 세계 공통 표준화를 목표로 하는 oneM2M 기술에 대한 표준 개발 논의의 장으로서 TTA, ETSI 등 전 세계 8개 표준개발기구 및 회원사들이 협력하고 있는 사실표준화단체이다. oneM2M 기술총회 국제회의를 국내에 개최하게 됨에 따라 국내 전문가의 참여 확대 및 국내 기술의 국제 표준 반영 기회를 제공하고, 국내 업체들의 국제 사물인터넷 표준화 선도 및 세계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제38차 oneM2M 기술총회에서 완료된 3차 규격(Release3)에 이어 이번 제39차 기술총회에서는 4차 규격(Release4)에 포함될 신규 기능과 관련하여 사물인터넷 분야의 데이터 모델 통합을 목표로 하는 One Data Model Liaison1 그룹 참여, 스마트시티 서비스 연동을 위한 Ontologies for Smart City Servi
[첨단 헬로티] 스마트카기술포럼 발족식 및 기념세미나 개최 한국정보산업연합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와 공동으로 스마트카 관련 산학연이 협력하여 신부가가치 산업이자 미래혁신성장동력 분야인 스마트카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카기술포럼’을 발족했다. ‘스마트카기술포럼(의장 박종관, 現 SKT 네크워크기술원 원장)’은 지난 18일 쉐라톤서울팔래스강남호텔에서 발족식 및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초대의장에는 박종관 SKT 네트워크기술원 원장이 취임했으며, 부의장사로는 현재 LG전자, KT, 화웨이코리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활동한다. 운영위원사로는 카카오 모빌리티, NVIDIA, 인텔코리아, LGU+ 등 17개사가 활동한다. 박종관 스마트카기술포럼 의장은 “모빌리티 산업의 패러다임이 ICT기술과의 융합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스마트카기술포럼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스마트팜과 스마트시티에 적용 가능한 소형 모빌리티로 분야를 확장하여 정책 방향 제시, 국내외 표준 개발, 기술정보 공유, 네트워크 및 협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포럼의 향후
[첨단 헬로티] ‘시각 센서-솔루션 중심’의 클러스터 구축해야...Trillion 센서시대 개막 센서수요가 2007년 스마트폰 및 이후 IoT 기기의 연이은 출시로 급증하고 있으며, 2020년 연평균 1조개 이상 생산되는 Trillion 센서시대에 임박했다. 스마트폰 1대에 센서 20여 개가 사용되고 있으며, 2007년 연평균 1,000만 개 수준에 불과했던 센서 생산량이 2015년에는 150억 개로 급증했다. 일반폰에는 이미지와 음향센서 2가지 종류만 사용한다. 반면, 스마트폰에는 전후방 카메라에 이미지 센서 2개, 마이크로폰 센서 3개 외에 근접·터치·위치·가속도·압력·온습도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향후 스마트홈·웨어러블·스마트카 등 다양한 IoT 기기들이 끊임없이 출시될 것이기 때문에 센서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이후에는 에너지·인프라·팩토리 등의 극한환경 분야에서도 수요가 증가하면서 센서 시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고온·고압·다습한 극한환경에서는 센서로
[첨단 헬로티] 한컴MDS 장명섭 대표가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9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KESSIA)는 최근 서울 쉐라톤 팔래스 호텔에서 제 16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한컴MDS 장명섭 대표를 신임 회장으로 선임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 9대 회장으로 선임된 장명섭 회장은 “4차 산업 대응을 위한 산업 전 분야의 관심이 증대되는 만큼 미래 산업 기술을 선도하기 위하여 임베디드SW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다양한 분야의 산업들과 대중소기업 간 상생을 통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협회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협회에서 발족한 스마트카 기술 포럼과 같이 앞으로의 산업 및 기술의 발전을 위해 함께하는 협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첨단 헬로티] 테크포럼이 1월 24일,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에서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응용 분야별 기술 및 최신 동향 세미나’를 개최한다. 스마트카, 드론, 로봇, 의료기기, 보안감시, 가상현실 분야 등에 적용되어 첨단 전략부품으로 주목받는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시장과 기술동향을 살펴보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2018년 카메라모듈 시장전망 △카메라모듈 센서/부품 분야별 연구, 기술 및 최신 동향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이동체를 위한 카메라 기반 영상 인식 기술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을 위한 픽셀 기술 동향 및 전망 △차세대 CMOS Image Sensor용 OPD 기술개발 동향 △카메라/이미지 기반 VR/AR 기술 및 사용자 인터랙션 응용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테크포럼 관계자는 “세미나를 통해 유망 핵심 요소기술로 주목받는 차세대 카메라모듈 기술개발 동향과 주요 과제 및 응용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최신 IT기술과 산업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순커뮤니케이션이 31일 상암동 중소기업 DMC타워 3층 대회의실에서 ‘2018 스마트센서/부품 기술 및 산업 전망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센서산업 △차세대 로봇용 센서 부품 및 융합 적용기술 △영상보안을 위한 지능형 객체 추적 기술 △스마트카 협력주행을 위한 V2X통신 센서 기술 동향 △의료영상용 초소형 카메라 및 조명기술 : 생체모방기술 △IT융합 서비스 및 센서 퓨전 사업화 동향의 발표가 이어진다. 스마트센서 기술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카, 스마트홈, 스마트공장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곳에 장착되어 중요한 핵심 기능을 하고 있고 글로벌 센서 시장 규모도 매년 9% 이상 고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2010년대 들어 급성장하기 시작한 스마트홈 시장은 올해 14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며 주요 가전제품을 제외하면 스마트홈 기기 관련 시장 규모는 올해 말 3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국가별 센서 시장 규모는 미국, 일본, 독일이 70% 이상을 점유하고
필자는 지난 CES 2017에 이어 2월 말에 열린 MWC 2017에 다녀왔다. 지난 호에서 언급한 CES 2017과 마찬가지로 언론과 증권사, 기업 소속 연구소들이 내놓은 미리 보는 MWC 모습과는 사뭇 다른 인사이트를 가지고 돌아왔는데, CES 2017의 주제와 유사한 수준의 디바이스와 IoT, AI, 그리고 좀더 부각된 VR/AR 쇼 수준이었다. 특히, GSMA 주도의 전시회였기 때문에 RCS(Rich Communications Services)와 로라(LoRa) 네트워크에 대한 홍보도 한 자리를 차지했다. 한편, 필자는 이번 MWC 2017의 주제가 ‘모바일. 그 다음 요소(Mobile. The Next Element)’에서 암시하듯이, 눈에 가시화되어 보여진 디바이스와 5G 네트워크, IoT 이면에 그 이상의 다른 요소가 내재되어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우선 첫 날 경험한 겉으로 포장된 행사 모습은 MWC 개최 전부터 예상된 주제들로 가득 차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러나 전시회가 열린 이후 실제로 언론 상에서도 보도된 것들을 훑어보아도 새롭게 선보여진 기술들은 많지 않았으며, 평이한 쇼의 모습이라는 점에 동의하는 논조들이다.
ⓒGetty imagesBank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895억원을 투입해 신산업 등의 분야 전문 인력을 6500명 양성한다. 석박사급이 1700명이며 학부급은 4800명이다. 산업부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7년도 산업인력 양성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미래형 자동차, 무인비행장치 분야의 인력 양성을 신규로 추진하고 바이오, 로봇 등 신산업 분야 고급인력 양성에 역량을 집중 투입한다. 자동차·정보통신기술(ICT) 융합형 핵심기술 전문 인력 180명을 양성해 스마트카 핵심부품 산업에 고급 인력을 공급하고, 무인기에 정보기술(IT)·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융합형 전문 인력 200여명을 육성한다. 로봇 분야에서는 기업 참여 설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비즈니스 창출형 석사과정, 학부생·취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융합 단기 집중교육과정 등을 통해 현장밀착형 인력 180명을 배출한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기획에서 디자인, 생산, 유통 등 전 과정을 주도할 디자인-공학 융합형 석·박사급 전문 인력 45명을 교육한다. 두 번째로는 구조조정 퇴직
[헬로티] 한국자동차공학회(회장 조용석)는 오는 24일 ‘CES 2017 스마트카 인사이트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후원으로 한국자동차공학회 표준위원회와 스마트카자동차 표준화 추진협의회와 공동 주관한다. 이번 행사는 CES 2017, 아이오닉 자율주행차 및 현대 관련 전시 (현대자동차 최서호 팀장), CES 2017, V2X 동향 및 켐트로닉스 전시(켐트로닉스 임용제 소장), CES 2017, 블랙박스 동향 및 팅크웨어 전시(팅크웨어, 김형준 부장), CES 2017,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동향 및 오비고 전시 (오비고 황도연 대표), CES 2017, 스마트카 관련 동향(국민대학교 정구민) 세션으로 구성돼 진행된다. 코엑스 컨퍼런스룸 301호에서 열리며, 참가비는 없다. 학회에 따르면 스마트카 관련 표준화 기반 구축을 위해서 현재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인 ‘자율 주행 실용화를 위한 ADAS 기술 표준기반 구축(주관기관: 한국자동차공학회, 연구책임자: 국민대 정구민 교수)’ 과제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행사는 국내 스마트카 기술 및 표준화 역량 발전을 도모하는 의미는 자리가 될 것
▲ 볼보 S90 [사진=볼보] [헬로티] 볼보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사 차량에 마이크로소프트(MS)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스카이프(Skype for Business)를 통합한다. 볼보는 자사 90시리즈(XC90, V90, S90 등) 모델에 ‘스카이프포비즈니스(Skype for Business)’를 탑재했다고 밝혔다. 볼보 차량에 탑재된 스카이프포비즈니스는 인터넷 전화와 PC, 스마트폰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연결하는 비즈니스 전용 서비스로 컨퍼런스 콜에 최적화 돼 있다. 사용자는 운전에 집중하면서도 차량 인포테인먼트 터치 한 번으로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수 있다. 볼보 관계자는 “이번 스카이프 탑재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볼보 간 협력 신호탄으로 앞으로 MS 음성인식 가상개인비서 코타나(Cortana)도 탑재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볼보 자율주행차를 위한 초석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