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대중교통비용 절감을 위해 시행중인 알뜰교통카드의 올해 상반기 이용자들은 월 평균 1만 4816원을 아껴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23.6%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지난해 12월 16만4000명에서 올해 6월 23만6000명으로 크게 늘었고, 8월말 현재 26만명을 넘어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시 보행·자전거 이동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지급(20%, 공공재원)하고 카드사가 추가 할인(약 10%)을 제공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일 이 같은 내용의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올해 상반기 이용실적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알뜰교통카드 사업은 지난해의 경우 대중교통비를 월 평균 1만 2862원, 20.2%를 절감했던 데 비해 올해는 월 평균 1만 4816원, 23.6%로 절감률이 더 높아졌다. 특히 저소득층 이용자는 월 평균 1만 5939원, 28.9%를 절감한 것으로 분석돼 대중교통비 부담을 대폭 경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얼리버드 제도’와 저소득층 범위 확대 등 올해 도입된 추가 마일리지 혜택을 받은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이르면 10월부터 서울 마포구 상암동 일대 일반 도로를 달리는 영업용 자율주행차를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자율주행차 상용화 촉진을 위한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운영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해 2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조례 시행에 따라 상암 일대에서 대중교통처럼 일반인이 요금을 내고 이용하는 다양한 영업용 자율주행차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시는 자율차 유상운송 서비스를 시행할 사업자를 이달 말 모집하고 10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상암 일대를 순환하는 자율주행버스, 정해진 노선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호출하면 오는 자율차 이동서비스,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교통약자 특화 서비스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사업 초기 적자가 예상되는 만큼 시는 다양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시는 내달 중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운영위원회를 신설하고 자율차 유상운송 면허발급 절차 등 세부 안전기준을 정한다. 시 소유 공공주차장 내 전용주차구역을 제공해 차고지 문제도 해결할 계획이다. 상암동 일대 6.2㎢, 총 24개 도로 31.3㎞는 지난해 12월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됐다. 백 호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자율주행 모빌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는 일반시민이 자율주행버스에 탑승할 수 있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대중교통 서비스 실증을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중기부 장관과 세종시장은 3월 30일 세종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를 방문해 특구 참여기업 대표들과 소통 간담회를 갖고 특구기업이 개발한 자율주행버스를 시승해 운행 등 안전성 전반에 대해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권칠승 장관 취임 이후 규제자유특구 첫 현장 행보로 세종 특구사업의 실증 진행 상황을 살펴보고 기업 애로사항과 사업화 방안 등 자율주행산업 발전방향에 대한 현장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세종 규제자유특구는 지난해 5월부터 주거단지, 도심공원, 일반도로에서 자율주행차의 실증을 착수해 위치측정 기술력 향상, 안전 매뉴얼 수립 등 기술 안전성 확보에 주력해 왔다. 이번 실증은 그간 축적된 기술 안전성과 실증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실제 대중교통 노선으로 실증구간을 확대해 '국내 최초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유상 운송 서비스'를 실증하는 등 사업화 모델을 한층 강화해 나간다. 이번 실증을 위해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간에 여객운송 한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대중교통 티켓 및 결제 카드 가상화를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STPay-모바일(STPay-Mobile)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STPay-모바일(출처 : ST) STPay-모바일은 모바일 기기 제조업체들이 ST의 ST54 보안 SoC(System-on-Chip) 기능을 활용해 비접촉식 거래를 처리하고, 데이터 및 인증 자격 증명과 같은 중요 정보를 보호하도록 지원한다고 ST는 설명했다. ST는 카드 가상화의 적용사례로 스노우볼 테크놀로지가 개발한 온보드(OnBoard)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대중교통 티켓 결제 솔루션을 발표하고 그 세부 정보를 공개했다. 이 플랫폼은 ST54 보안 SoC에 구현된 STPay-모바일 관리 서비스와 함께, 대중교통 운영 기관들이 간편하게 사용하고 여행자들이 편리하게 구매 및 사용할 수 있는 가상 티켓을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로 호스팅하게 해준다고 밝혔다. 스노우볼 테크놀로지의 CEO이자 공동 창업자인 시아란 피셔(Ciaran Fisher)는 “ST54 제품군과 새로운 STPay-모바일 서비스는 스노우볼의 온보드 플랫폼과 결합돼 스마트 기기
[헬로티] 인텔 자회사이자 서비스형 모빌리티(이하 MaaS) 솔루션 및 도심 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 운영사 무빗(Moovit)은 지난 28일(목) 글로벌 대중교통 보고서 2020 (2020 Global Public Transport Report)를 발표했다. ▲무빗 글로벌 대중교통 보고서 2020 인포그래픽 이번 연간 보고서는 세계 28개국 104개 도시에서 사용자 연구를 통해 수천만 개에 달하는 무빗 앱 상에서 이루어진 이용자들의 이동 요청 건의 데이터 분석 자료를 종합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대중교통 및 공유 이동 수단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내용 등 포함 사람들이 지난해 어떻게 이동했는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교통 기관 및 지방자치 단체들에 승객들의 안전한 이동 경험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전 세계 수백만의 무빗 사용자는 코로나19가 대중교통 이용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수 많은 질문들에 답을 제공하는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글로벌 대중교통 보고서 2020에서 나타난 바로는 대중교통 및 공유 이동 수단 이용자들이 미래 로보택시 서비
[첨단 헬로티] 빅데이터 기반 지하철 혼잡도 분석 통해 최적 경로 추천 서비스 개발 나서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서울교통공사(사장 김태호)와 빅데이터∙5G등 첨단 ICT 기술 기반의 '대중교통 안전 및 혼잡도 해결을 위한 연구 협력'을 체결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서울지하철은 1~9호선으로, 총 290개 역에서 하루 평균 약 700만 명이 이용하며 '시민들의 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출∙퇴근 시간 등의 지하철 혼잡 문제는 서울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혼잡한 열차는 운행 지연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더 큰 피해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교통공사는 고객들의 교통 카드 데이터, 객차에 부착된 무게 감지 IoT 센서, 열차 운행∙편성 정보 등을 활용해 지하철 혼잡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객차 내 정확한 인원 산출 및 객차 외에 플랫폼, 지하 환승 통로 등의 혼잡도 분석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양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SK텔레콤이 보유한 다양한 통신 데이터와 서울교통공사의 교통카드 이용 데이터, 전동차의 하중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