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이 2일 오후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 대회의실에서 갤럭시 노트 7 관련 품질 분석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16.9.2/뉴스1 © News1 최현규 기자 삼성전자가 사태 발생 넉달여만에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발표한다. 제품 소손 원인으로는 배터리 제조과정의 결함을 지목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사장은 23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 서초사옥에서 '갤럭시노트7' 소손 관련 원인 및 품질관리 대책을 발표한다. ◇ 갤노트7 사태 계기로 차세대 전지 개발 속도내 갤노트7 사태의 주요 원인이 삼성SDI가 만든 리튬이온전지의 결함으로 지목되면서 폭발 위험이 낮은 차세대 전지인 '전고체전지' 개발도 빨라질 전망이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소재 중 하나인 전해질이 액체 상태라 폭발위험이 상존한다. 이때문에 삼성SDI 등 전지업체들이 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액체를 고체로 대체한 '전고체전지'다. 전고체전지란 쉽게 말해 고체 리튬이온배터리다. 액체는 일정한 틀 안에 두지 않으면 흩어지고 고정되지 않는 반면, 전해질이 고체가 되면 안전성이 높아져 열에
[사진=삼성전자] [헬로티] 삼성전자는 23일 서초사옥에서 국내외 언론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을 공개하고,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배터리 결함이 갤노트7 발화의 원인이었다. 삼성전자는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 개로 진행한 대규모 충방전 시험에서 소손 현상을 재현했고 노트 7에 채용된 A배터리와 B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분석에 참가한 해외 전문기관들 분석 결과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모아졌다. 글로벌 과학회사 UL은 갤럭시 노트 7 소손 원인 규명을 위한 상세한 기술적 분석을 진행했다. UL은 제품 레벨에서 노트7 소손과 연관된 문제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A배터리는 배터리 위쪽 코너에 눌림 현상과 얇은 분리막으로 배터리 내부 단락을 발생시켜 소손 유발 요인으로 분석했고, B배터리에 대해서는 비정상 융착돌기, 절연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의 조합이 배터리 내부에서 단락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 과학기술 분야 분석 전문 기관 Exponent도 제품 전반에 걸친 상세한 분석을 진행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석에서는 소손과 관련 있는
▲ 삼성전자 2016년 3분기 매출실적 [자료=삼성전자] [헬로티] 삼성전자가 지난 3분기 매출 47조 8200억 원, 영업이익 5조 2000억 원, 순이익 4조 5400억 원의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9.7% 감소했다. 기타 영업 외 이익은 약 5400억 원 수준이며, ASML 등 투자자산 처분 이익의 영향이 컸다. 부문별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3분기 반도체 사업은 고용량 제품 공급 확대에 따른 메모리 실적 성장으로 매출 13.15조 원과 영업이익 3.37조 원을 달성했다. 메모리 사업은 48단 V-NAND 공정 전환의 지속적인 추진과 수요가 집중된 20나노 제품 출하량을 크게 늘린 결과 전 분기 대비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시스템LSI 사업은 14나노 파운드리 수요 호조, 중저가 모바일 시스템온칩(SoC) 판매 확대, 중국에서의 이미지센서 매출 증가에 힘입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3분기 디스플레이 사업은 매출 7.06조 원, 영업이익 1.02조 원을 달성했다. OLED 패널의 경우,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실적이 대폭 개선됐고, LCD 부문도 수급 개선과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흑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딜라이트샵에 갤럭시노트7이 전시되어 있다. 뉴스1 © News1 박재만 인턴기자 미국과 대만, 한국 등지에서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리콜 제품에서도 발화했다는 보도가 잇따르면서 결국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새 제품에 대한 생산을 일시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10일 삼성전자 협력사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노트7의 생산을 일시중단했으며, 이번 조치는 노트7 글로벌 물량을 책임지는 베트남 공장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뿐 아니라 중국과 한국 등 글로벌 소비자들의 안전을 고려해 취해진 조치로 알고 있으며, 한국 국가기술표준원,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 중국 규제 당국 등 각국 정부기관과 협력해 진행된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8월 출시한 노트7이 배터리 과열로 발화 사건이 여러건 일어나자 지난달부터 글로벌 전량 리콜에 들어갔다. 삼성전자는 새로운 배터리를 탑재한 노트7은 안전하다고 밝혔지만 지난 5일 교환한 새 노트7으로 추정되는 제품이 미국 여객기에서 발화한지 사흘만인 8일 미국과 대만에 이어 지난 주말 국내에서도 교환한 갤럭시노트7이 발화했다는 제보가 추가로
▲삼성전자는 19일부터 이동통신3사를 통해 갤럭시노트7에 대한 교환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배터리 발화 문제를 일으킨 갤럭시 노트7을 전량 새제품으로 교환해주는 리콜 조치를 밝힌 지 17일 만이다. 2016.9.18/ 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삼성전자가 19일 이동통신3사를 통해 '갤럭시노트7'(이하 노트7)에 대한 교환 서비스를 시작했다. 삼성전자가 배터리 발화 문제를 일으킨 노트7을 전량 새제품으로 교환해주는 리콜 계획을 발표한 지 17일만이다. 삼성전자는 배터리 문제가 해결된 새로운 노트7의 판매를 재개할 28일 직전까지 제품 교환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추석 연휴에도 국내 휴대폰 생산 라인을 모두 가동하고 신제품 교체 물량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새 배터리를 장착한 노트7은 배터리 충전량이 흰색이 아닌 '녹색'으로 표시된다. 삼성전자는 새제품과 이전 불량 배터리 장착 제품을 구분하기 위해 기존 흰색에서 녹색으로 변경했다. 기존 노트7 사용자들은 기존 단말기가 부서졌거나 충전기, 이어폰 등 구성품이 없어도 본체만 갖고 가면 교환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 이미 팔린 갤럭시 노트7은 약 43만 대, 이를 새 제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