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노키아 솔루션 통해 획기적 서비스 품질 제공 및 신속한 B2B 서비스 제공 노키아는 LG유플러스의 5G B2B 디지털 플랫폼을 시연한다고 11일 밝혔다. ▲출처 : 노키아 공식 홈페이지 향후 플랫폼 구축 시 LG유플러스는 기업 및 각 업종별 고객 대상 5G 기반 서비스 출시시기를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인더스트리 4.0, 스마트 팩토리 등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민첩하게 선보일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플랫폼이 구축되면 한국 정부의 디지털 뉴딜 이니셔티브에 맞춰 비즈니스 성장을 도모하고자 하는 LG유플러스의 기업 및 각 업종별 고객의 5G 이용이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5G B2B 디지털 플랫폼의 개념검증(PoC, Proof-of-Concept) 테스트는 총 2단계로 진행된다. 지난 2월 시작된 1단계는 노키아의 연구소에서 시연되며, 2단계는 LG유플러스 경남지역 운영센터에서 현장 시연 예정이다. 다중 도메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노키아의 솔루션은 완전 자동화와 거의 실시간에 가까운 전송 서비스를 보장한다. 노키아의 디지털 운영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운영 매니저, 네트워크 노출 기능, 등록, 클라우드 패킷 코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헬로티]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 여파로 지난해 중국 이외의 이동통신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이 하락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화웨이는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여전히 점유율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화웨이는 여전히 점유율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델오로에 따르면, 이동통신 장비 매출 기준으로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시장에서 지난해 화웨이의 점유율은 약 20%로 전년보다 2%포인트 낮아졌다. 이런 점유율은 에릭슨과 노키아에 이어 3위로, 순위 변동은 없었다. 다만 에릭슨의 점유율은 35%로 2%포인트 상승했고 노키아의 점유율은 25%로 1%포인트 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2019년 5월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려 전방위 제재를 가했으며 동맹국을 대상으로도 화웨이의 5G 사업 참여 배제를 요구했다. 델오로 애널리스트인 스테판 퐁라츠는 25개 이상의 유럽 통신업체가 최근 몇 년간 화웨이 장비를 다른 업체의 것으로 교체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 이동통신 장비 시장에서는 화웨이가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델오로는
[헬로티] 가상화, 자동화, AI 등 고성장 영역 비롯해 모든 통신 소프트웨어에서 시장 선도 노키아는 글로벌 시장조사전문기관 애널리시스 메이슨(Analysys Mason)이 최근 발표한 '2019년 전 세계 통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시장점유율 보고서'에서 매출 기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노키아 본사 전경(출처 : 노키아) 이는 노키아의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강화 전략이 점차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애널리시스 메이슨에 따르면, 지난 해 전세계 통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시장이 전년대비 약 1% 성장한 669억 달러(한화 약 78조3천억 원) 규모에 이르며, 그 가운데 노키아는 약 45억 달러(한화 약 5조2천600억 원)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키아의 소프트웨어 제품군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다중 네트워크, 멀티 벤더 기반의 CSF(Common Software Foundation) 용도로 설계돼 모든 주요 공공 클라우드 플랫폼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통신사업자들에게 광범위한 운영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노키아의 포트폴리오는 가상화, 디지털 인프라,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화, AI 및 머신러닝, 인지분석과
[헬로티] LS ELECTRIC이 노키아와 ‘지능형 전력 자산 분석 플랫폼’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능형 전력 자산 분석 플랫폼은 유틸리티 자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솔루션이다. ▲ LS ELECTRIC과 노키아는 힘을 합쳐 유틸리티 자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지능형 전력 자산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기로 했다. (왼쪽부터 안태호 노키아 코리아 대표, 김영근 LS ELECTRIC 연구개발본부 본부장) 이 플랫폼을 통해 LS ELECTRIC 고객들은 자산 관리와 자산 교체를 위한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자산성능을 주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양사는 솔루션 출시에 앞서 노키아의 ‘스페이스타임 자산 수명주기 최적화 플랫폼(SpaceTime Asset Lifecycle Optimization)’에 대한 개념 검증을 수행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노키아의 스페이스타임 자산 수명주기 최적화 플랫폼의 자산성능 검증 기능은 LS ELECTRIC이 전력자산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유틸리티 자산 시장에서 보다 강력한 상품을 선보일 수 있는 기반이 될
[헬로티] 노키아는 데이터센터 패브릭을 재정의할 새로운 최신 네트워크 운영 체제(NOS)를 비롯해, 선언형 인텐트 기반 자동화(intent-based automation) 및 운영 툴킷을 새롭게 선보였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자들은 5G, 인더스트리 4.0과 같은 기술 전환(technology shift)으로 인하여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트래픽 증가와 지속적인 변화에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을 확장하고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노키아의 SR 리눅스(Service Router Linux) NOS와 노키아 FSP(Fabric Service Platform)는 이미 노키아의 데이터센터에 해당 기술을 구축 중인 애플을 비롯해, 전세계의 선도적인 웹스케일 기업들과 함께 공동 개발했다고 노키아는 밝혔다.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는 물론, AI, 머신러닝, AR/VR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급격한 이용 증가로 인해, 오늘날 클라우드 구축 사업자들은 네트워크 구성요소부터 광범위한 데이터센터 운영 과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전례 없는 수준의 커스터마이징과 유연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노키아는 "현재 대
[헬로티] 노키아는 5세대 코히어런트(Coherent)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제품군인 '포토닉 서비스 엔진-V(PSE-V)'를 비롯해, 포토닉 칩(photonic chips), 디바이스,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 '웨이브패브릭 엘리먼츠(WaveFabric Elements)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 지난 10여년간 영상과 모바일 대역폭 수요의 폭발적 증가는 옵티컬 및 실리콘 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힘입어 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전송 용량과 처리 능력에 있어 점차 근본적 한계에 가까워짐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은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5G와 클라우드 네트워킹의 데이터 급증에 부응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규모를 계속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그 핵심 변화요소는 바로 400G 이더넷이라고 할 수 있다. 100G가 처음 소개된 지 약 10년만에 400G속도는 IP, 옵티컬,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자리잡았고, 이제는 가장 먼저 떠올리는 보편적 데이터 속도가 되었다. 400G가 광대역폭 전송을 위한 기본 기술로 인정받으면서, 앞으로 전기 광학의 주요 업무는 각각 다른 크기, 전력 및 성능을 요
[헬로티] 노키아 상용 5G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통해 5G 환경에서 4.7Gbps 속도 기록 노키아는 미국 텍사스 댈라스에 위치한 OTA(Over-the-Air) 네트워크에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5G 속도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노키아는 미국 주요 이동통신사업자의 상용망에 구축된 기지국 장비에서 진행한 이번 테스트에서 800MHz의 상용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5G 스펙트럼과 이중 연결(EN-DC) 기능을 활용해 최대 4.7Gbps의 5G 속도를 달성했다. 이번 테스트에 사용된 노키아의 솔루션으로 가입자에게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모바일 광대역 속도를 제공할 뿐 아니라 재난망과 같은 미션 크리티컬한 애플리케이션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처럼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지연속도에 민감한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발굴하고 판매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이번 세계 최고 기록은 28GHz과 39GHz 대역에서 8개의 100MHz 채널 밀리미터파 스펙트럼(총 800MHz 대역폭 제공)과 노키아 에어스케일(AirScale) 솔루션의 EN-DC 기능을 활용한 40MHz LTE 스펙트럼이 결합된 결과다. EN-DC 기능을 통해 디바이스를
[첨단 헬로티]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노키아의 5G 기지국 제조 프로세스에서 인공지능(AI)과 고급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는 혁신적인 새 소프트웨어 접근법을 검증해 테스트 효율을 대폭 개선했다. 두 기업은 선도적인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가 첨단 제조에서 필수적인 테스트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협력을 확대해 왔다. 키사이트는 자동화된 테스트 및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전문 지식과 노키아의 과거 제조 데이터에 적용된 머신러닝(ML)을 결합해 테스트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노키아는 성공적인 검증 후 키사이트의 고급 AI 소프트웨어를 공급업체의 5G 제조 공정에 구현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5G 장비는 기존 기술 장비에 비해 훨씬 더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테스트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전 세계적으로 5G 배포가 급등하면서, 5G 장비 제조업체들은 경쟁력 있는 납품 일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테스트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키사이트는 응용 연구 사업부인 키사이트 연구소가 개발한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여 노키아가 제공한 방대한 양의 과거 제조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노키아는 데이
[첨단 헬로티] 노키아는 통신사업자들이 강력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와이파이 6 비콘(Wi-Fi 6 Beacon)을 자사의 홀-홈 와이파이 포트폴리오(whole-home WiFi portfolio)에 새롭게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비콘은 저전력 블루투스를 통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비콘 6는 대용량, 고성능 가정용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와이파이 6를 사용하여 기존 와이파이보다 40% 빠른 속도를 지원한다. 노키아는 가정에서의 경험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와이파이 포트폴리오에 노키아 벨연구소의 혁신이 담긴 저지연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노키아의 비콘 6는 주거용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대폭 개선시켜 게임과 같은 저지연 애플리케이션과 원활한 엔드-투-엔드 5G 환경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기가비트 속도를 지원하는 간편한 설치 솔루션을 통신사업자들에게 제공한다. 비콘 6는 여러가지 새로운 기술들이 완벽하게 연동되는 노키아 최초의 와이파이 디바이스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포함된다. 와이파이 6를 지원해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속도, 성능 및 대기시간이 개선된다. 여기에는 액세스포인트가 동시에 여러 디바이스와 소통하기 위해
[첨단 헬로티] 노키아는 5G 무선 포트폴리오 기술 혁신을 위해 인텔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에 출시된 인텔의 5G 기지국 전용칩인 인텔 아톰 P5900 프로세서(Intel Atom P5900 processor) 개발을 위해 양사는 그동안 긴밀히 협력해 왔다. 또 양사가 공동 개발한 맞춤형 실리콘 칩은 노키아의 5G '리프샤크(Powered by ReefShark)'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전세계에 출시되는 노키아의 에어스케일 무선 액세스 제품(AirScale radio access products)에 장착된다. ▲인텔과 노키아가 공동 개발한 노키아의 5G 칩 '리프샤크' 노키아는 에어스케일 포트폴리오에 리프샤크를 광범위하게 적용함으로써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5G 네트워크의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와 함께 노키아는 에어프레임(AirFrame)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솔루션에 최신 범용 인텔 제온 프로세서를 계속 채택할 계획이다. 양사간 협력을 바탕으로 노키아는 5G 포트폴리오 개발, 에어스케일 강화, 리프샤크 칩셋 기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리프샤크 칩셋은 최신 실리콘 칩 설계 기술과 제조 기능이 적용된다. 그 결과 노키아의 5G
[첨단 헬로티] 노키아는 이동통신사업사 LG유플러스와 5G 서비스용 IP 전송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키아는 이번 협력을 통해 LG유플러스가 새로운 5G 서비스를 더욱 빠르게 선보이는 것은 물론, 5G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더 빠른 속도와 최고의 품질과 안정성 및 보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자동화(Software-defined networking automation)는 5G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으로, LG유플러스는 이번 솔루션 구축을 통해 일반 가입자와 기업 고객 모두에게 한단계 진화한 5G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대규모로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노키아는 LG유플러스가 네트워크 운영 자동화와 쉬운 멀티 벤더 통합으로 신속한 5G 서비스 출시가 가능하도록, 유연하고 모듈화에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노키아의 NSP(Network Service Platform)를 적용했다. 또한, LG유플러스가 대역폭, 대기시간(latency) 및 복원력(resiliency) 측면에서 엄격한 5G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켜 최고의 서비스 품질, 안정성 및
[첨단 헬로티] 노키아는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에 선언한 5G 표준 필수 특허군이 2,000개를 돌파, LTE 는 물론 5G 셀룰러 기술 연구개발(R&D) 및 표준화 분야에서도 리더십을 이어가게 됐다고 밝혔다. 특허 선언(Patent Declaration)은 특허 등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으로, 특허 출원을 위한 내용이 사실임을 선언하는 선언서 형태로 제출한다.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를 비롯해 전사적인 차원에서 추진되는 노키아의 5G 특허 개발 작업은 국제민간표준화기구(3GPP)와 협력 하에 5G 표준화 설정 및 5G 네트워크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노키아가 5G 기술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노키아는 3GPP Release 15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상호 운용 가능한 5G 표준을 완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바 있으며, 현재 차세대 표준인 Release 16 개발에 기여하는 중이다. 최근 5G 특허 선언을 통해 2G, 3G, 4G, 5G 표준 가운데 하나 이상 선언된 노키아의 셀룰러
[첨단 헬로티] 핀란드의 글로벌 통신 네트워크 기업 노키아는 2019년 8월 말 기준으로 노키아의 전세계 5G 상용 계약 건수가 48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현재 공개적으로 노키아와의 계약 체결을 밝힌 이통사는 26곳이다. 한국의 이통사 3사인 SKT, KT, LGU+를 비롯해 티모바일(T-Mobile), AT&T, 스프린트, US셀룰러, 텔리아 컴퍼니, 엘리사 핀란드, 보다폰 이탈리아, TIM 산마리노, 살트, 보다폰 뉴질랜드, 소프트뱅크 등의 업체가 계약을 진행했다. 노키아는 전세계 고객들과 100회 이상의 5G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18년에 완료된 50여개 이상의 기술 계약, 2019년에 예정된 70여개 이상의 기술 계약을 체결했다. 5G 구축을 위해 노키아를 방문한 노키아의 기존 4G 고객 전원은 이미 노키아를 5G 장비 공급업체로 선정한 바 있다. 노키아는 4G보다 5G에서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핀란드 오울루에 위치한 노키아 미래 5G 공장 한편, 셰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과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는 노키아의 미래 5G 공장(5G factory of t
[첨단 헬로티] 글로벌 3D프린팅 분야 최신 트렌드를 만나볼 인사이드3D프린팅 컨퍼런스&엑스포(이하 인사이드3D프린팅)가 6월 26일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5홀에서 개최됐다. 인사이드3D프린팅은 올해 6회째를 맞아 국내 최대 규모 3D프린팅 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전시와 더불어 이번 인사이드3D프린팅에서 동시 진행되는 국제 컨퍼런스는 글로벌 3D프린팅 기업 인사가 두루 참여해 일찍이 참관객의 기대감을 높였다. ▲3D시스템즈의 이기봉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디지털 제조 솔루션이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소개했다. 지난 26일, 킨텍스 제1전시장 3층 그랜드볼룸 A룸에서 진행된 국제 컨퍼런스에서 3D시스템즈 아시아태평양(APAC)지역 프린터&소재 세일즈를 총괄하는 이기봉 대표가 키노트 발표를 진행해 디지털 적층제조 솔루션의 개념과 사례를 발표했다. '글로벌 AM 트렌드와 산업별 유즈 케이스'라는 주제로 발표한 이 대표는 적층 제조 기술이 각 부품과 제품을 디자인하거나 생산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는 선진 제조 기업이 늘어나는 추세다. 기업들은 제조 현장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개발
[첨단 헬로티]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자사 5G 필드 측정 솔루션을 사용해 노키아 라이브 테스트 네트워크의 5G 커버리지 검증을 위한 협업을 발표했다. 통신 기술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노키아는 필드에서 5G NR(New Radio) 파형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툴로서, 그리고 sub-6GHz 와 mmWave 주파수 범위에서 실내외 커버리지 검증을 목적으로 키사이트의 Nemo Outdoor 필드 테스트 솔루션, 필드폭스 휴대형 스펙트럼 분석기 및 Nemo Analyze를 채택했다. 노키아가 네트워크 분야에서 표준이 되는 새로운 솔루션을 출시하고 5G 네트워크의 품질을 검증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키아 클라우드 개발 서비스 책임자인 Erkka Ala-Tauriala는 “5G NR은 massive MIMO 및 빔 포밍 기능을 활용하며, 필드 환경에서 광범위한 테스트를 해야 한다”며, “키사이트 5G 필드 측정 솔루션은 필드 검증팀이 네트워크를 전개하기 전에 성능을 검증하고 사전에 적절한 기능을 시험할 수 있다. mmWave 및 sub-6GHz 주파수 범위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단일 휴대용 솔루션을 통해 실내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