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FOSTEC(포스텍)은 광섬유 코어 정렬 방식을 갖춘 업그레이드된 광융착접속기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포스텍은 이번에 출시한 광융착접속기가 6개의 모터를 적용해 광섬유 코어 정렬 방식을 갖춘 제품으로, 접속 손실 특성을 향상시켜 광선로 구축 시 더욱 안정적인 성능 구현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모델 광융착접속기(FS-21S)의 접속 시간은 세계 최고 수준인 6초로 매우 빠르며, 보호슬리브 수축 시간도 기존 18초에서 16초로 단축했다. 자동으로 광섬유 타입을 식별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유지 보수에 필요한 ARC 교정은 간단하게 자동 및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원격 지원시스템을 갖췄고 실시간으로 히팅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을 더했다. 고객이 선택의 폭을 높일 수 있도록 기존에 출시했던 광융착접속기(FS-17S)와 더불어 고객이 원하는 가격대에 맞춰 선택해 구매할 수 있다. 포스텍 마케팅 담당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하고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했다. 열악한 작업 환경에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헬로티] 코닝이 7일 SMF-28 Contour 광섬유를 출시했다. 커넥티드 단말기, 5G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으로 인해 통신 사업자들은 달라지는 환경에 맞춰 지속적으로 진화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코닝은 SMF-28 Contour 광섬유를 통해 통신 사업자들이 끝없이 증가하는 커넥티드 단말기, 5G 네트워크 확대,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코닝은 광섬유를 설치할 때 오류를 최소화하고, 업그레이드 중에도 기존 인프라가 효율적으로 가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해 SMF-28 Contour 광섬유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SMF-28 Contour는 ITU-T G.657.A2 광섬유로 매크로밴딩 복원력(resilience)이 G.652.D 광섬유보다 10배, G.657.A1 광섬유보다 7배 높다. 매크로밴딩 복원력(resilience)이 높을수록 미래의 고용량 네트워크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광섬유 밀도가 높은 대용량(high-fiber-count) 케이블을 지원할 수 있다. SMF-28 Contour 광섬유는 탁월한 굽힘 보호성(bend protection)을 구현하는 동시에 기존 네트워크와의 뛰어난
[헬로티] LS ELECTRIC, 광기술로 과열 시 설비 가동 중단하는 솔루션 개발 열화로 인한 설비교체 부담은 Down, 효율운전 통해 고객 이익은 UP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의 원인 중 하나인 배터리 과열 현상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솔루션이 나왔다. LS ELECTRIC(일렉트릭)은 광(光) 기술을 활용, 배터리 셀 단위까지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고 일정 수준 이상 과열될 경우 ESS 가동을 중단시키는 BTS(Battery Temperature Sensing)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ESS 배터리 제조사 역시 온도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통신방식과 온도 외 대량의 배터리 정보를 통합 운용하기 때문에 세부적인 온도 정보만을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했다. 특히 완성품 단계인 랙 수준에서 온도 측정이 이뤄져 왔고 최근 들어선 보다 세분화된 모듈 단계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나 일정 온도 이상 넘어설 경우 랙과 모듈 손상이 불가피하고, 과열 원인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LS일렉트릭이 개발한 BTS는 모듈을 구성하는 셀 단위 온도측정을 위해 전기·전자 기기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특수 설계된
[첨단 헬로티] 아태지역 및 일반 기계 가공 부문의 점유율 높아 2017년 글로벌 광섬유 레이저 절단 장비 시장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된 2D 레이저 절단 장비가 이끌었다. 특히, 일반 기계 가공 부문은 업계에서 가장 우수한 절단 기술의 요구로 인해 거의 40%의 점유율로 글로벌 광섬유 레이저 절단 장비 시장 선두 분야로 부상했다. 2017년 2D 레이저 절단 장비는 세계 광섬유 레이저 절단 장비 시장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특히 아태지역에서의 시장점유율이 48%로 높게 나타났다. 시장조사기관인 Esticast Research and Consulting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광섬유 레이저 절단 장비 시장, 유형(2D, 3D 레이저 절단), 애플리케이션, 업계 트렌드, 2018-2025 예측'을 발표했다. 광섬유 레이저 절단 장비 수요 많아 2017년 글로벌 광섬유 레이저 절단 장비 시장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된 2D 레이저 절단 장비가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D 광섬유 레이저 절단기는 일반적으로 금속 가공, 항공 산업, 판금 작업장, 스테인레스 스틸의 빠른 절단 및 기타 여러 용도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2D 기술은
바이옵틱의 미디어 컨버터(BIMC4000 시리즈)는 광섬유를 이용, TP(10/100Mbps)를 광(100BASE-FX)으로 변환해 장거리 전송하는 컨버터이다. 이 제품은 광섬유로 신호를 전송하므로 전송로의 외부 전자계 잡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외부로 전계가 방출되지 않으므로 EMI나 RFI가 없다. 광랜, 인터넷망, FTTH 등에 네트워크 구성 장비로 사용된다. 김희성 기자 (npnt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