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제조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사업의 2025년도 참여기업 신청기간을 연장한다고 지난 29일 밝혔다.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사업은 기업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일반 ▲탄소중립 ▲지역성장형 ▲중대재해예방 ▲재기컨설팅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 유형별로 기업 특성에 맞춘 3개 서비스(컨설팅·기술지원·마케팅)를 바우처 방식으로 지원한다. 이번 공고는 5개 유형 중 ‘지역성장형’을 제외한 4개 유형에 대해 실시하는 것으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경영 위기 중소기업이 재기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사업기간은 일반 유형이 2024년 11월 8일부터 2025년 8월 말까지, 탄소중립 및 중대재해예방은 2024년 11월 8일부터 2025년 10월 말까지다. 재기컨설팅은 2024년 11월 8일부터 2026년 10월 말까지다. 신청기간은 오는 12월 13일 까지며 1차 모집 기간 신청서를 제출했던 기업도 필요한 경우 연장 공고 기간에 신청서 보완이 가능하다. 재기컨설팅 바우처는 2024년 11월 8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수시 모집 및 선정한다. 2025년도 지원예산은 2024년도(558억 원) 대비 56억원 증가한 614
[헬로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김학도 이사장은 취임 1주년을 맞아 중진공 3대 경영혁신 방향의 주요 성과를 설명하고, 향후 중점 기관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출처 : 중진공 김학도 이사장은 중진공 3대 경영혁신 ▲디지털 혁신 ▲지역산업 혁신 ▲사회안전망 혁신과 더불어 새롭게 설정한 ▲친환경·그린 혁신에 중점을 맞춘 운영 방향을 설명했다. 김 이사장은 “중진공은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사회안전망을 제공해 신속한 위기극복을 지원했다”며, “앞으로 탄소중립 등 중소벤처기업의 ESG경영 전환을 도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뒷받침하고, 지역기업과 주력산업 중심의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해 한국판 뉴딜 정책 성공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중진공은 지난해 디지털·지역산업·사회안전망 혁신을 3대 경영혁신 방향으로 설정하고,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력 확보를 지원하는 것에 기관의 역량을 집중했다. 디지털 혁신에서는 우선 ▲정책자금 비대면 상담·신청·평가 체계를 구축했다. ▲제조현장 디지털화를 위한 제조현장스
[첨단 헬로티] 매출 120억 원 이하 제조 소기업에 최대 5천만 원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은 올해 제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조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업당 최대 5,000만 원까지 바우처 형태로 지원하며, 보조율은 매출 규모에 따라 최대 90%까지 지원한다. 중기부와 중진공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제조 소기업의 혁신 역량 진단을 통해 특성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올해 사업예산 585억 원을 투입해 약 1,800개 제조 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대상은 3개년 평균 매출액 120억 원 이하의 제조 소기업으로 컨설팅, 기술지원, 마케팅 3개 분야 14개 프로그램을 패키지로 지원하고, 기업은 분야별 1개씩 최대 3개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기업당 최대 5,000만 원까지 바우처 형태로 지원하며, 보조율은 매출액 규모에 따라 50%에서 90%까지 차등 지원한다. 한 예로, 매출액 10억 원 규모 기업의 바우처 최대 발급액은 6,250만 원이다. 진단기술처 김양호 처장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제조 중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