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취업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자격증은 과연 무엇일까? 구인 공고에서 가장 많이 요구하는 자격증은 지게차운전기능사로 나타났다. 건축기사와 한식조리기능사도 2위와 3위로 인기가 여전했다. 특히 최근엔 탄소중립 정책 추진의 영향으로 대기환경기사 등 일부 자격증의 인기도 급상승했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지난 10월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채용시장 활용현황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이 결과를 국가자격정보포털 큐넷 누리집에 게재했다. 이번 결과는 공공부문의 대표 취업지원 누리집인 워크넷의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구인공고를 대상으로 분석했는데, 이 중 약 22만 5000 건이 국가기술자격을 채용요건으로 정하거나 우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국가기술자격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고용부에서 제도 및 운영을 총괄하며 19개 부처 등에서 소관종목을 운영하고, 현재 542종목을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10개 수탁기관이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워크넷의 공고에 많이 활용된 국가기술자격은 취업시장에서도 인기가 높은 국가기술자격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지게차운전기능사가 지난 3년 동안 부동의 1위를 차지했고, 이어 건축기사와 한식
[첨단 헬로티] 원하는 직장에 취업을 원하는 사람들, 은퇴 후 제2의 인생을 모색하는 사람들, 직장을 다니면서 더 좋은 스펙을 원하는 사람들. 여러 이유로 최근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이들이 많아졌다. 특히 전문 직종일수록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자격증 취득에 많은 이들이 도전하고 있다. 전기분야에서는 단연 전기기능사가 가장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과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국가기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전기기능사는 연간 4만 명 이상이 응시하는 전기분야 대표 기술 자격증으로 꼽힌다. 지난해 10대가 가장 많이 취득한 자격증도 전기기능사였다. 전기기능사는 자격증을 취득한 후 경력만 쌓으면 기사, 기능장, 기술사 등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은퇴 후 제2의 인생을 도모하려는 중장년층도 전기기능사 취득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하지만 전기기능사 시험이 쉽지는 않다. 실제로 필기시험은 합격률 30%를 채 넘지 못하는 낮은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전기 관련 수험서 분야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도서출판 성안당의 노하우를 가진 ㈜첨단이 첨단원격기술교육원을 통해 전기기능사 강의 코스를 마련했다. 30일 코스로 전기기능사(상), 전기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