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능형 엣지 네트워크를 위한 소프트웨어 선도 기업 윈드리버는 신임 최고제품책임자(CPO)에 아비지 신하(Avijit Sinha) 전 마이크로소프트 GM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아비지 신하 CPO는 윈드리버의 제품 전략, 제품 관리 및 커머셜 파트너십을 총괄하며 ‘윈드리버 스튜디오(Wind River Studio)’ 오퍼링 확산에 집중할 계획이다. 올해 초 출시된 윈드리버 스튜디오는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의 개발, 배포, 운영,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이다. 케빈 달라스(Kevin Dallas) 윈드리버 사장 겸 CEO는 “업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시스템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혁신을 이끌기 위해서는 업계 최고 수준의 전문성과 리더십이 요구된다”며 “아비지 신하 CPO의 우수한 역량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검증된 만큼 윈드리버 스튜디오의 비전, 즉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그들을 새로운 디지털 및 AI 퍼스트 세계로 안내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0년 이상 근무해 온 아비지 신하 CPO는 애저(Azure), 오피스(Office), 윈도(Windows) 제품 개발과 더불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능형 엣지 네트워크를 위한 소프트웨어 선도 기업 윈드리버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 ‘윈드리버 스튜디오(Wind River Studio)’의 최신 릴리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디바이스에서 클라우드 환경에 이르는 다양한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의 개발, 구축, 운영 및 서비스를 위한 것이다. 이번 릴리즈를 통해 윈드리버는 원거리 엣지(far edge) 컴퓨팅, 데이터 분석, 보안, 5G, AI/ML 등의 최신 기술과 완벽한 통합으로 생산성, 민첩성, 타임투마켓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5G와 정교한 AI 애플리케이션의 확산, 그리고 보다 지능적인 시스템 및 자율형 시스템이 늘어나며 IoT의 가능성이 실현되고 있다. 포브스와 윈드리버가 함께 조사한 바에 따르면 AI, 로봇공학, 자동화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GDP 성장의 70%를 견인할 것으로 예측된다. 케빈 달라스(Kevin Dallas) 윈드리버 사장 겸 CEO는 “차세대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시스템은 다수의 엣지 시스템으로부터 디지털 피드백을 받아 실시간으로 머신 데이터를 안전하게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필요로 한다”며 “윈드리버 스튜디오는 미래
[헬로티] 윈드리버(Wind River)는 벡터(Vector)와 협력해 오토사 어댑티브(AUTOSAR Adaptive) 표준 기반의 ADAS 및 자율주행 기능 개발을 지원하는 서비스지향아키텍처(SOA)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오토사 어댑티브 표준은 차량 출시 이후에도 기능성과 가치를 지속해서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양사의 협력 솔루션은 벡터의 오토사 어댑티브 기술과 윈드리버의 실시간 운영체제(RTOS) 브이엑스웍스(VxWorks)가 포함된 신제품 윈드리버 스튜디오(Wind River Studio)로 구성된다. 윈드리버 스튜디오는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의 개발, 구축, 운영 및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이다. 양사 협력 솔루션은 엄격한 실시간성(deterministic performance)이 있어야 하는 안전 필수(safety-critical)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SOA 구성요소를 통해 다양한 임계도(criticality)가 혼재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소비자 가전 시장의 혁신 주기가 빨라지며 자동차 소비자들의 기대치도 높아짐에 따라, 전통적인 전기/전자
[헬로티] 윈드리버는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을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 ‘윈드리버 스튜디오(Wind River Studio)’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 윈드리버 스튜디오의 첫 번째 릴리즈는 단일 창에서 지능형 5G 분산 엣지 클라우드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배치,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케빈 달라스(Kevin Dallas) 윈드리버 CEO는 “윈드리버 스튜디오는 유일하게 한 환경에서 제품 수명 주기 전체에 걸쳐 미션 크리티컬 지능형 시스템을 지원한다. 이 플랫폼을 통해 생산성, 민첩성, 타임투마켓 속도를 향상할 수 있으며, 엣지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분석, 시스템 레벨 보안, 5G, AI/ML 등의 최신 기술과 원활하게 통합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는 2022년까지 엔터프라이즈 생성 데이터의 50% 이상이 기존 데이터 센터 또는 클라우드 외부에서 생성 및 처리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 많은 컴퓨팅 워크로드가 데이터 센터에서 멀어짐에 따라 컴퓨팅 모델은 이제 지능형 클라우드 및 지능형 엣지 모델로 진화하고 있으며, 지연 시간이
[헬로티] ▲윈드리버는 IoT용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이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윈드리버가 자사의 고객 지원 조직이 서비스 품질 인증 SCP(Service Capability & Performance) 표준을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SCP 표준은 서비스 스트레티지 코퍼레이션(Service Strategies Corporation)과 선도적인 기술 기업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주도해 기술 서비스 운영의 품질과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인증이다. 인증은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 서비스 및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모범 사례를 정의하고, 성능 수준을 정량화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인증을 획득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매년 실시하는 인증 감사를 통해 자사의 성과와 우수성을 지속적으로 입증해야 한다. 아밋 로넌(Amit Ronen) 윈드리버 고객 성공 부 수석부사장은 “여러가지 혁신 기술들의 등장으로 인해 전세계가 빠르게 진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도전과제들에 직면하고 있는 최근의 상황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선택하는 것이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며 “SCP 인증 획득은
[헬로티] 윈드리버는 9월 1일 버라이즌(Verizon)이 윈드리버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스트럭처를 기반으로 완전 가상화 된 엔드-투-엔드 5G 데이터 세션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5G는 네트워크 에지 단에 대규모의 인텔리전스 및 컴퓨팅 자원을 배치시키므로 지능형 에지의 가상화가 5G 상용화의 핵심이 된다. 윈드리버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아키텍처를 통해 에지 네트워크를 가상화 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GSMA(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전세계 통신 사업자(CSP)들의 5G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9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윈드리버 자체 연구 조사에서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5G 프로젝트의 70% 이상이 빠른 개발 및 구축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5G 확산 추세가 분명해진 가운데 네트워크 에지의 가상화 작업이 필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사업자는 5G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원격 노드가 연결되는 동적 환경에서의 초지연성, 고가용성, 확장성, 보안, 비용 효율성을 확보해야 하므로, 데이터센터의 가상화 도입처럼 간단하게 이루어지
[첨단 헬로티] 윈드리버가 베이징 소재의 노천 채굴(open pit) 솔루션 공급업체 ‘TAGE’와 협력해 차세대 자율운행 채굴 차량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고 4월 16일 밝혔다. 채굴 산업은 안전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자율차 및 자율 운영 기계를 초기에 도입한 산업 중 하나이다. 자율 수송 시스템 솔루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채굴 작업자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채굴 산업의 전반적인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황리밍(Huang Liming) TAGE 최고기술책임자는 “노천 채굴 산업은 큰 잠재력을 가진 시장으로, 이번 협업을 통해 차세대 채굴 산업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게 됐다. 전세계 수십억 개의 디바이스와 시스템에서 검증된 윈드리버 소프트웨어를 자사의 자율 운행 솔루션의 핵심 기반으로 사용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TAGE는 지능형 클라우드 플랫폼, V2X 텔레매틱스, 지능형 자율 채굴 차량 등 클라우드 아키텍처 에지를 기반으로 자율 수송 시스템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TAGE는 윈드리버의 실시간 운영체제 ‘VxWorks’를 소프트웨어
[첨단 헬로티] 윈드리버는 개발자 중심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지원 사이트 ‘윈드리버 랩(Wind River Labs)’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윈드리버 랩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PoC, 오픈소스 통합, 실험적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기술에 대한 개발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사이트로, 윈드리버는 이 사이트를 통해 자사 최초로 실시간 운영체제(RTOS) VxWorks 소프트웨어 개발 킷(SDK)을 개발자 커뮤니티에 무료로 제공한다. 윈드리버 랩은 자사 고객은 물론 고객이 아닌 모든 개발자들을 위해 공개된 환경으로, 머신러닝,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에지 혁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누구나 프로젝트를 개발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및 유사한 과제들 진행하고 있는 다른 엔지니어들, 그리고 윈드리버 에코시스템 전체 구성원들과 소통할 수 있으며, 신규 시장 발굴 및 미래 지향적 설계를 논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한다. 이번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VxWorks SDK에는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및 UP Squared 하드웨어 오픈소스 BSP(board support package)가 포함되어 있다. 개발자들은 이
[첨단 헬로티] 윈드리버는 오늘 ‘윈드리버 리눅스(Wind River Linux)’ 고객을 위한 지속통합/지속배포(CI/CD) 모델을 공개했다. 향후 윈드리버 리눅스 사용자들은 CI/CD 프로세스를 통해 몇 주간의 간격으로 새로운 릴리즈에 계속 액세스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 고객을 위해 고유의 지속 통합 및 배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플랫폼을 더 빠르게 구축하고, 연간 혹은 장기 지원(LTS) 릴리즈와 동일한 수준의 CVE(Common Vulnerability and Exposure) 관리, 기술 지원 및 품질을 누릴 수 있다. CI/CD 기법을 활용하면 더 나은 데브옵스(DevOps) 환경을 구축하고 높은 수준의 소프트웨어 품질을 지속할 수 있다. 윈드리버는 지속 배포 모델을 통해 고객들이 윈드리버 리눅스를 각자의 통합 프로세스에 일관성 있게 통합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윈드리버 릴리즈의 개발 및 유지보수 프로세스는 ISO 9001:2015 품질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윈드리버는 오픈체인 프로젝트를 준수하는 첫 번째 기업으로서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표준 지원 및 배포에 기여하고 있다. 오픈소
[첨단 헬로티] 윈드리버는 2월 5일 도이치텔레콤의 자회사인 IT 서비스 컨설팅 기업 ‘티시스템즈(T-Systems)’가 고성능 시큐어 에지 컴퓨팅 플랫폼 ‘EdgAIR’에 에지 클라우드 인프라 소프트웨어 ‘윈드리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티시스템즈의 EdgAIR 플랫폼은 프라이빗 엔터프라이즈 에지 클라우드로서, 다양한 네트워크 및 프로토콜 표준(5G, Wi-Fi 6, TSN 등)을 지원하여 캠퍼스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다. 안전한 기반을 통해 10밀리초 이하의 저지연 성능을 제공하여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같은 실시간 온사이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폐쇄형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상에서 운용되는 EdgAIR는 퍼블릭 클라우드와도 결합이 가능하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성능 및 기타 주요 지표를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분석 기능 제공하며, 운영 기술(OT) 표준 및 워크로드를 지원한다. 폴 밀러(Paul Miller) 윈드리버 통신 부문 부사장은 “5G, IoT, MEC 애플리케이션의 에지 컴퓨팅 요구사항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솔루션을 구축하려는 기
[첨단 헬로티] 윈드리버는 1월 7~10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0에서 5G를 위한 지능형 엣지 및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자동차, 항공전자, 인더스트리얼, 의료, 통신 등 시장 전반에 걸쳐 있는 첨단 지능 및 자율 시스템의 보안, 안전, 신뢰성 기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미셸 제너드(Michel Genard) 윈드리버 제품 담당 부사장은 "5G 통신은 산업 전반에 획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자율 주행 자동차, 무인 항공기 및 드론, 의료 시스템 같은 분야와 같이 큰 위험이 내재된 분야에서는 특히 극도의 전문적인 조건이 요구되고 있다. 윈드리버는 보안, 안전, 컴퓨팅 성능 개선의 필요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검증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한편, 기업이 비즈니스 목표를 향해 순조롭게 나아가는 데 필요한 지원도 아끼지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번 기술 시연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커넥티드 카, 자율 주행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 분야용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이 시연에서는 하이퍼바이저를 통한 가상화를 다루고 각기 자체 OS 인스턴스가 있는 여러
[첨단 헬로티] 크리티컬 인프라용 사물인터넷(IoT)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윈드리버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기업인 에어비퀴티(Airbiquity)와 핵심 기술을 통합해 커넥티드 자율주행차를 위해 협업한다고 이달 5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윈드리버는 모듈화된 OTA(over-the-air : 지능형 무선) 업데이트와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 관리 솔루션인 엣지 싱크(Edge Sync)를 제공할 예정이다. 에어비퀴티는 OTA 오케스트레이션, 캠페인 관리,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관리, 그리고 업테인(Uptane) 기반 보안 프레임워크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오타매틱(OTAmatic)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윈드리버는 이번 협력의 배경에 대해 “차량의 수명기간동안 소프트웨어를 적절하고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치를 유지하며, 안전성과 보안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OTA를 통해 진단 및 운영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리콜 비용을 줄이거나 차량에 신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각자의 전문성
[첨단 헬로티] IoT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윈드리버에서 자사의 상용 실시간운영체제(RTOS) 및 임베디드 리눅스 배포판을 에지 컴퓨팅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통합한 윈드리버 헬릭스 가상화 플랫폼(이하 헬릭스 플랫폼)을 출시했다. 윈드리버 헬릭스 플랫폼은 윈드리버 제품뿐만 아니라 다른 운영체제 또한 동일한 프레임워크 내에서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윈드리버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헬릭스 플랫폼은 인증 요건 없는 매우 동적인 환경에서부터 항공전자 및 인더스트리얼과 같이 고도의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정적 환경은 물론, 세이프티 인증 애플리케이션과 비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혼합 사용하는 오토모티브 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장의 주요 인프라 개발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주요 특장점으로는 △RTOS 및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강력한 시간 및 공간 파티셔닝, 세이프티 인증 기능 및 상용(COTS) 검증 에비던스 제공 △단일 에지 컴퓨팅 플랫폼 기반에서 병렬 방식의 멀티 OS 기능을 통해 혼합 임계 워크로드 통합 △단일 플랫폼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함으로써 공통의 에지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시스템 아키텍처 요건 지원 등이다.
[첨단 헬로티] 기존 LS1 및 LS2 제품군과 더불어 NXP i.MX 8, NXP QorIQ T2080 및 T2081 멀티코어 플랫폼에 대한 지원 추가 주요 인프라스트럭처를 위한 IoT 소프트웨어 기술을 선도하는 윈드리버가 지난달 29일 자사의 실시간 운영체제(RTOS) VxWorks의 NXP 플랫폼 지원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VxWorks는 기존의 NXP 레이어스케이프(Layerscape) 제품군 LS1021A, LS1043A, LS1046A과 함께 NXP® i.MX 8, NXP QorIQ T2080 및 T2081 멀티코어 플랫폼에 대한 지원을 추가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윈드리버는 최신 Arm 및 NXP 파워 아키텍처(Power Architecture)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안전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보다 경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됐다. 윈드리버는 상용(COTS) 플랫폼을 통해 고난도 세이프티 애플리케이션 및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간편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특히 RTCA DO-178C, EUROCAE ED-12C, EN 50128, IEC 61508 등의 엄격한 안전 인증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
[첨단 헬로티] IoT 및 자동차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윈드리버는 자율주행 전문기업 티티테크 오토(TTTech Auto)의 자율주행 세이프티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자사의 실시간 운영체제(RTOS, real-time operating system) VxWorks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오랜 기간 동안의 파트너십을 다져온 윈드리버와 자율주행을 위한 안전성 SW/HW 플랫폼 공급업체인 티티테크는 폭넓은 확장성의 ECU 개발에 협력해 왔다. 네트워크 연결 멀티코어 SoC(system-on-chips)를 기반으로 양사에서 개발한 ECU는 고도의 안전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 돼있다. 아우디(Audi) zFAS(중앙 운전자 보조 컨트롤러) 아키텍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윈드리버 VxWorks는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의 안전성을 모니터링하고 유지한다. zFAS 플랫폼은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진보된 커넥티드 차량 중 하나인 2018 아우디 A8과 같은 차량의 차선 유지 보조, 적응식 정속주행 시스템 및 교차 지원 등의 자율 주행 지원 기능을 지원한다. 티티테크 오토(TTTech Auto)는 티티테크 그룹의 계열사로 자동차, 항공우주, 특수차량, 에너지,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