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정부가 내년에 메타버스, 신재생에너지 등 신기술 분야 인재 16만 명을 양성하기 위해 대규모 예산을 투입한다. 14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17개 관계 부처가 합동으로 편성한 1조6200억 원 규모의 '신기술 인력양성 협업 예산'이 지난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됐다. 정부가 선정한 신기술 분야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메타버스, 일반 소프트웨어(블록체인 포함), 3D 프린팅, 지능형 로봇·항공 드론, 신재생에너지 등 20개다. 특히 정부는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인력이 부족한 디지털 분야 인재 양성에 전체 예산의 68.2%를 편성했다. 이와 함께 현장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훈련 과정을 늘리고자 관련 예산을 대폭 확대했다. 정부는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해오던 인력 양성 정책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올해부터 협업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내년 예산은 올해(1조1885억 원)보다 36.3% 증가했다. 편성 분야는 6개에서 20개로, 대상 사업은 30개에서 140개로 대폭 늘었다. 내년 부처별 관련 예산을 살펴보면 노동부가 4978억 원으로 가장 많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4535억 원), 교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정부가 내년에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분야와 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등 '빅3' 핵심산업에 약 5조8000억 원을 투입한다.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예산도 약 4조9000억 원으로 늘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내용의 2022년 예산안을 11조8135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31일 밝혔다. 올해보다 약 5.6% 증액한 규모다. 예산안에 따르면, 친환경·디지털 기반 산업혁신과 유망 전략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예산이 올해 5조976억 원에서 내년에 5조8274억 원으로 14.5% 늘어난다. 우선 소부장 분야는 핵심 소재의 해외 의존도를 완화하는 동시에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전략 핵심소재 개발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전략핵심소재 자립화 기술개발에 1842억 원을 신규 편성하는 등 총 1조6845억 원을 투입한다. 빅3 핵심 전략산업 예산은 9108억 원이 편성됐다. 반도체는 시스템반도체 팹리스의 창업부터 성장까지 전 주기에 걸쳐 지원을 늘린다. 총 353억 원을 투입해 AI 반도체 핵심기술과 한국 주도형 'K-센서'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바이오는 단기간 신속한 백신 대량
[첨단 헬로티] 창업지원 예산, 1조 4517억 원으로 전년(1조 1181억 원)대비 3336억 원(29.8%) 증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020년도 부처별 창업지원사업을 조사한 결과, 16개 부처(90개 사업)에서 모두 1조 4517억 원이 지원된다고 지난 2일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먼저, 지원 규모가 지난해(1조 1181억 원)에 비해 3336억 원(29.8%) 증가한 역대 최대로, 중기부 등 13개 부처 예산 3354억 원이 증가했다. 2020년 신설 또는 추가로 발굴된 사업은 중기부의 4차 산업혁명 기반 마련을 위한 혁신창업 패키지사업(450억 원, 신규), 농진청의 농산업체 매출 증대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농업실용화기술 R&D지원사업(116억 원, 신규), 법무부의 창업이민 인재양성 프로그램(8억 원) 등 21개 사업이다. 부처별 지원 규모는 창업 및 스타트업 전담부처인 중기부가 지난해 9,976억 원에서 올해 1조 2611억 원으로 2635억 원이 증가해 가장 높은 비중(87%)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과학기술정통부가 지난해 152억 원에서 올해 489억 원으로 증가했다. 지원유형 별로는 창업사업화(50.4%), 연
[첨단 헬로티] 원천기술 개발, 인프라 확충 등에 전년대비 136% 증가한 2,336억 원 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2336억 원 규모의 ‘2020년도 과기정통부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과기정통부의 소재·부품·장비 지원 예산(소재·부품·장비 특별회계 기준)은 총 3359억 원으로 이번에 확정된 나노·소재 기술개발사업은 이중 약 70%에 해당하고, 전년 대비 136%가 증가한 규모다. 이 예산은 주력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창출을 선도할 나노·소재 원천기술 확보와 연구 인프라 확충을 중점 지원하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대폭 늘어난 나노·소재 연구개발(R&D) 예산이 조기에 현장에 지원돼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도록 국회 예산 확정 이후, 신속히 사업계획 수립을 마무리 해 시행하게 됐다. 지난 제2차 소재·부품·장비경쟁력위원회를 통해 확정된 ‘산학연 융합을 통한 소재·부품·
정부안 대비 1.2% 증액, R&D 분야 예산 814억원 증액 산업통상자원부 내년도 예산이 6조8558억원으로 확정됐다. 전년도 본예산(6조9695억원) 대비 1.6% 감소되었으나, 당초 정부안(6조7706억원) 대비로는 1.2% 증액되었다. 산업부 ‘2018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은 6일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 당초, 산업부는 미래신산업 육성, 친환경 에너지 전환 등을 위하여 총 6조 7706억원 규모의 정부안을 국회에 제출하였으며, 이후 국회 심의를 통하여 14개 사업 852억원이 감액되었고 49개 사업 1704억원이 증액되어 852억원이 순증되었다. 국회 심의 과정에서 증액된 주요 분야는 미래 신산업 육성과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창의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사업 등 R&D 분야 예산이 814억원 증액되었다. 아울러,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지원 강화를 위한 ‘무역보험기금출연’(300억원), 지역투자 촉진을 위한 ‘투자유치기반조성’(88억원) 등의 사업이 증액 의결되었다. 2017년 대비로는 ‘에너지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