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일본 소니가 일본에 반도체 공장 건설 계획을 밝힌 대만 TSMC와 협력할 수 있다는 뜻을 처음으로 밝혔다고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이 28일 보도했다. 도토키 히로키 소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실적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TSMC의 일본 공장 설립을 돕기 위해 TSMC, 일본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토키 CFO는 투자도 TSMC와의 협력 방안 중 하나로 검토되고 있다면서 결정이 내려지면 공식발표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토키 히로키 CFO는 TSMC의 일본 공장 건설과 운영을 지원한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라면서 TSMC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얻는 이익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안정적인 반도체 조달은 핵심 사안이며 TSMC의 공장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TSMC는 주로 자동차에 쓰일 22∼28나노미터 공정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을 일본에 신설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교도는 TSMC의 일본 공장 운영에 소니가 참여하고 세계적 자동차 부품업체 덴소도 제휴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앞서 일본 언론은 TSMC가 소니의 디지털카메라용 이미지센서 공장이 있는 구마모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지난 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 제조업체인 대만 TSMC의 구마모토(熊本)현 반도체 공장 건설 비용 중 절반을 경제안보 차원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TSMC가 구마모토현 기쿠요마치(菊陽町)에 있는 소니 이미지 센서 공장 인근에 지으려는 신공장 투자액은 총 8000억 엔 규모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절반을 부담할 경우 약 4000억 엔(약 4조3000억 원)을 내는 셈이 된다. 일본 정부는 오는 31일의 총선(중의원 선거) 후에 편성할 2021년도 추경 예산안에 TSMC 공장 건설 지원 관련 비용을 넣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TSMC 구마모토 공장 건설 사업은 대만과 밀월관계를 유지해온 일본 정부가 반도체 산업을 키우기 위해 적극적인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TSMC가 이바라키(茨城)현 쓰쿠바시에서 추진하는 반도체 연구개발 거점 조성 사업에 약 190억 엔(약 2000억 원)을 지원한다고 지난 5월 발표하는 등 TSMC 신공장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반도체 산업 전성기인 1980년대 후반에 세계 시장의 50%가량을 차지했던 일본은 관련 산업 육성 정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난해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업체 중 국내 업체는 9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간한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업체 현황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100대 부품업체 순위는 일본(23개), 미국(22개), 독일(18개), 한국(9개), 중국(8개) 순이다. 100대 부품사는 오토모티브 뉴스가 부품 공급 등을 기준으로 선정했다. 2019년 대비 미국, 한국, 중국 업체 수는 1개씩 증가했고, 일본 업체 수는 1개 감소했다. 국가별 순위는 1~5위까지 변동이 없었다. 국내 부품사는 현대모비스, 현대트랜시스, 현대위아 등 기존 8개 업체에 유라코퍼레이션이 새로 이름을 올렸다. 2019년에 이어 글로벌 부품사 7위를 차지한 현대모비스의 지난해 매출은 4.1% 감소했다. 평균 감소율이 7.2%인 상위 10개 업체와 비교하면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가별로 보면 한국과 중국 부품사들이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상대적으로 선전했다. 100대 부품사의 2019년 매출액 대비 지난해 매출액은 10.0% 줄었지만, 국내 부품사는 3.0% 감소했고, 중국은 6.9% 증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반도체 국산화까지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12일 발간한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공급난이 올해 2분기를 정점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점진적 회복할 것"이라며 "내년까지는 공급난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정부 지원정책과 자동차 업계 내재화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파운드리 확대는 미비하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이 반도체 내재화를 추진 중이지만, 정부의 '미래차-반도체 연대·협력 협의체'를 통한 수급난 품목 정보 공유에 그치는 등 기업 간 협업이 초기 단계라고 지적했다. 반면 미국은 인텔이 파운드리 산업에 진출해 포드·GM에 반도체를 공급할 예정이고, 일본은 도요타·덴소가 차 반도체 기업 르네사스에 지분을 투자하고 정부 주도로 공동투자를 통한 TSMC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고성능 반도체의 경우 삼성전자가 국내 유일하게 파운드리 공정을 갖춘 곳이기 때문에 현대차와 삼성전자의 직접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전 대비 국내 차량용 반도체 수요량이 적어 파운드리
[첨단 헬로티] 덴소는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자동차용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업 PiNTeam Holding GmbH (핀 팀 홀딩)에 출자했다고 17일 밝혔다. 덴소에 따르면, 출자 비율은 49%이다. 이에 따라 덴소는 자동차 전자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기본 소프트웨어의 개발 속도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자동차의 고성능화·고기능화에 따라 자동차에 탑재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수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고급차의 경우 세그먼트 당 80개 이상의 ECU를 탑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 전자 시스템 제어에서는 다양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높은 신뢰성을 가진 기본 소프트웨어를 요구하고 있다. 덴소는 “이번에 PiNTeam에 출자를 통해 덴소가 지금까지 쌓아온 자동차 전자 시스템 제어 기반 기술 및 양산에 요구되는 품질 등의 지식과 PiNTeam가있는 유럽 표준에 맞춘 고급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관점에서 기본 소프트웨어 개발 체제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글로벌 산업 표준을 반영한 시스템 개발은 자동차 업계 전체의 과제
[첨단 헬로티]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웨이브가 덴소 로봇 프로그래밍 및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WINCAPS Ⅲ’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WINCAPS Plus'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WINCAPS Plus는 산업용 로봇의 시설 설계·도입·운용·유지 보수까지를 포함한 모든 과정에서 로봇 종사자에 따라 적절한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발된 5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은 2020년 7월부터 판매 예정이며, 순차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추가 될 예정이다. 회사측은 WINCAPS Plus를 오는 18일부터 도쿄 빅 사이트에서 개최되는 도쿄 '2019 국제로봇전(iREX 2019)에서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웨이브는 “현재 산업용 로봇 도입 공정에서는 설비 설계, 설치, 세팅 등 각 공정의 설정 작업이 있으며, 담당하는 작업자는 공정마다 다르고, 필요한 지식 분야와 능력 수준도 달라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공정에서 작업을 담당하는 사용자가 로봇에 종사하는 업무 부담을 경감 할 수 있도록 WINCAPS
[첨단 헬로티] 덴소와 도요타 자동차는 내년 4월을 목표로 설립을 준비하고 있는 차세대 차량용 반도체 연구 개발을 실시하는 합작 회사의 명칭을 'MIRISE Technologies'(이하 MIRISE)로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MIRISE Technologies'는 Mobility Innovative Research Institute for SEmiconductor Technologies의 약어이다. 또한 '미래'와 'RISE (상승)'를 조합한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회사는 세계의 이동성을 혁신시키는 반도체 개발을 통해 미래를 더욱 발전· 향상시키고 싶다는 사명을 담았다고 덴소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아울러, 대표 이사에는 加藤 良文(카토 요시후미)로 선임하고 MIRISE의 2030년 목표로하는 모습과 2024년 중반 방침을 밝혔다. 2024년 중기 방침은, MIRISE는 토요타가 가진 모빌리티 시점 및 덴소가 길러 온 차재 시점에서의 노하우를 더함으로써, 자동차 축과 부품 축의 양바퀴로, 전동 차량이나 자동 운전 차량의 기술 혁신의 열쇠가 되는 차세대 차량 반도체를 보다 빠른 시간 안에 개발한다는 것이다. MIRISE가 임하는 기술
[첨단 헬로티]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2019 국제로봇전(INTERNATIONAL ROBOT EXHIBITION 2019 : iREX2019)이 이달 18 일부터 21일까지 일본 로봇 공업회, 일간 공업 신문사 주최로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에는 산업·서비스용 로봇 및 관련 기기를 한자리에 모아 전시할 예정으로 올해 전시회는 "로봇이 잇는 사람에게 친화적인 사회"라는 주제로 '2019 부품 공급 장치전'과 동시 개최된다. 주최측에 따르면 이번 전시회는 이전 전시회를 능가하는 3060개의 부스로 현재 최대 규모로 개최될 예정이다. 웨이브와 덴소는 이번 전시회에 참가해 ‘LEAN for your Factory’를 테마로, '생산성'과 '유용성'을 추구하고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덴소 로봇 신제품·신기능을 비롯해 공정 설계에서 장비 도입까지의 리드 타임 단축, 도입 후 유지·개선을 지원하는 솔루션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이 기업의 전시장 부스에서는 미니 생산 라인이 설치된다. 이 라인에는 덴소 로봇의 새로운 라인업과 신형 로봇 컨트롤러가 전시된다. 또한 지난해 출시 한 웨이브 최초의 협동 로봇 ‘
[첨단 헬로티] 반도체 기업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첨단 자동차 시스템 및 부품을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 덴소 (DENSO Corporation)와의 장기적 파트너십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인피니언은 자동차 산업을 위한 반도체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양사는 자율주행과 e-모빌리티 등 기존 및 신기술 분야에서 시스템 노하우를 공동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덴소는 강화된 협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인피니언 지분을 소액 인수했다. 덴소의 히로유키 이나(Hiroyuki Ina) 수석 이사는 " 반도체 회사와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통해 차량용 전자 시스템을 위한 최적의 반도체 솔루션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및 전기화된 시스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고 말했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CEO인 라인하드 플로스 (Reinhard Ploss) 박사는 "잘 확립되어 있는 덴소와의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엑스페리(XPERI)가 자동차 기술, 시스템 및 부품 공급업체인 덴소(DENSO)와 함께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포토네이션(FotoNation)의 이미지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덴소는 현재 상용 차량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정 장치인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Driver Status Monitor)’ 성능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자율주행 3단계에서 운전자가 운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포함, 향후 차세대 제품 개발 부분에 있어서도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번 협업은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분야에서 많은 노하우를 겸비한 덴소와 포토네이션의 정교한 안면 인식 및 신경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한다는데 있어 의미가 크다. 덴소는 양사의 기술 협업을 통해 빛의 밝기가 시시각각 변하는 자동차 내부에서도 운전자의 선글라스, 마스크의 착용 유무 및 페이스 커버링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세계에서 가장 정교한 운전자 상태 인식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덴소는 2014년부터 대형 트럭 및 대형 관광 버스에 ‘운전자 상태 모니터 시스템&rsquo
[헬로티] 덴소 코퍼레이션(이하 ‘덴소’)과 도시바 코퍼레이션(이하 ‘도시바’)이 첨단 운전자지원과 자율주행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두 회사는 영상 인식 시스템에 사용되는 ‘심층신경망-지적 재산’(Deep Neural Network-Intellectual Property, DNN-IP)이라는 인공지능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 위해 최근 계약을 체결했다. 인간 두뇌의 신경망을 본뜬 알고리즘인 DNN은 사람 두뇌만큼 또는 그 보다 더 정확하게 인식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 주행을 하려면 자동차의 컴퓨터가 다양한 장애물과 도로 표지, 주행할 수 있는 도로 공간이 확보됐는지 등을 포함한 각종 도로 교통 상황과 잠재적 위험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재래식 패턴 인식과 기계 학습에 기반한 영상 인식에서는 컴퓨터가 인식해야 할 대상물의 특성을 사전에 묘사하여 추출해내야 하는데, DNN기반 영상 인식 기술은 컴퓨터가 스스로 대상물의 특성을 추출하고 알 수 있기 때문에 탐지의 정확성과 광범위한 대상물의 식별 기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DNN기술이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글로벌 AIDC 시장이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이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지브라테크놀로지스와 하니웰의 경쟁이 불꽃튈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인 VDC 리서치에 따르면, 2014년 글로벌 AIDC(Auto Identification Data Capture) 시장규모가 전년보다 3.8% 성장한 59.68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 시장은 향후 5년 동안 매년 평균 4%씩 성장하면서 2019년도에는 72억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바코드 스캐너와 프린터 군이 4.6%씩 성장하고, 러기드 모바일 장비의 경우, 연평균 3.2%씩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VDC 리서치는 바코드 라벨과 같은 소모품은 제외하고, 주로 공장 및 창고, 물류에서 사용되는 휴대형 및 고정식 바코드 스캐닝과 이미지 장비, 바코드 프린터와 리기드 모바일 컴퓨팅 솔루션 등을 대상으로 AIDC 시장 규모를 산출했다. 표. 글로벌 AIDC 공급업체 순위 <자료:VDC리서치> VDC 리서치는 매년 글로벌 AIDC 공급업체의 매출을 파악해 'Top 20' 랭킹을 부여하고 있다. 당분간 글로벌 AIDC 시장은 지브라테크놀로지스(Zeb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