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상생과 피해회복 지원을 위한 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국회는 지난 24일 본회의에서 총 34조 9000억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처리했다. 이는 당초 정부안보다 1조 9000억원 순증한 규모로, 소상공인 피해 지원과 재난지원금 지급 및 코로나19 방역 등에 대한 추가 지원이 이뤄졌다. 재난지원금 지급의 경우 소득하위 80% 지급안에서 확대된 소득하위 88%로 조정됐다. 1인 가구의 연소득 기준을 설정하고 맞벌이와 4인 가구 소득 기준을 상향해 고소득자를 제외하는 방식으로 지급 대상을 넓혀 6400억원을 증액했다. 연소득 기준을 살펴보면 1인 가구 5000만원, 맞벌이 2인 가족 8600만원, 맞벌이 4인 가족 1억 2436만원, 외벌이 4인 가족 1억 532만원 등이다. 이에 따른 지급 대상 규모는 1인 가구 860만, 2인 가구 432만, 3인 가구 337만, 4인 가구 405만 등 전체 2030만 가구로 추산됐다. 희망회복자금과 손실보상 등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 예산도 5조 3000억원으로 1조 4000억원 증액됐다. 희망회복자금은 3조 3000억원에서 4조 3000억원으로, 손실보상은
[첨단 헬로티] 국회, 과기정통부, 중기부 주최로 5G 시대 스마트제조혁신과 융합보안 세미나 개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국회 이종걸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웅래 의원(더불어민주당), 윤상직 의원(자유한국당)과 함께 8일인 오늘 국회 의원회관에서 ‘5G 시대 스마트제조혁신과 융합보안’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스마트공장 보안강화를 위한 과기정통부와 중기부간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국회와 정부부처가 공동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스마트공장 확산 및 사이버보안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국회, 정부 및 산·학·연 전문가 다수가 참석했다. 이 날 세미나에서는 중기부가 ‘스마트공장 확산 전략’을, SK인포섹은 ‘스마트공장 보안위협과 대응기술’을 그리고, 과기정통부에서는 ‘융합보안 강화방안’을 주제발표했다. 먼저 스마트공장 확산사업의 주무부처인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확산 전략’에서 공장혁신(중소제조업 50% 스마트화), 산단혁신(제조혁신 구축), 일터혁신(사람중심 일터문화), 혁신기반(민간&mid
[첨단 헬로티] 한국태양광산업협회는 지난 9월 20일,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과 공동으로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실에서 ‘태양광산업의 현황과 쟁점, 발전방향 모색 생생토크’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공급과잉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태양광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정부와 국회 관계자에게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태양광산업협회 정우식 상근부회장은 ‘태양광 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기조발제를 하며, 국내외 태양광시장과 산업의 현황을 설명하고, 어려움을 타개하는데 필요한 기업과 정부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기조발제에 이어 한화큐셀코리아, LG전자, 현대중공업그린에너지, 신성이엔지, JSPV, 에스에너지 등 기업의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각 기업들은 태양광 산업 현장의 이야기를 전하며, 어려움을 타개하는데 필요한 기업과 정부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협회와 함께 간담회를 주관한 위성곤 의원은 “우리 태양광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심도 있는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한국태양광산업협회(회장 이완근, 이하 협회)는 더불어민주당 위성곤(서귀포시)과 공동으로 ‘태양광산업의 현황과 쟁점, 발전방향 모색 생생토크’를 개최한다. 협회는 이번 기업 간담회를 통해 태양광 산업의 제반 상황을 점검하며, 업계의 어려움과 당면과제에 대처할 방안을 모색한다. 2018년 9월 20일 오전 9시 30분, 국회의원회관 제 6 간담회실에서 개최되는 간담회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공단, 한국태양광산업협회와 협회 회원사인 한화큐셀코리아, LG전자, 현대중공업그린에너지, 신성이엔지, JSPV, 에스에너지, OCI, 웅진에너지 등이 참여해 발제할 계획이다. 기조발제를 맡은 정우식(협회 상근부회장)은 ‘태양광산업 현황과 과제’에 대해 발표한다. 이를 바탕으로 발제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업계의 각종 현안들에 대해 토의할 예정이다.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전기차를 둘러보고 있다.(뉴스1 자료사진)© News1 산업통상자원부가 전기자동차 구매비용을 금융지원하기 위해 편성한 300억원 규모의 예산이 국회에 막혀 물거품될 위기다. 법적 근거가 없고 환경부 지원사업과 중복되고 효과도 떨어진다는 지적에서다. 이에 산업부는 금융지원을 전기차 충전소 등 인프라 확대 사업으로 전환해 관련 예산을 사수하겠다는 계획이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산업부는 2017년 예산안을 수립하면서 전력산업기반기금(전력기금)을 이용해 전기차 구매비용을 지원하는 예산(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으로 300억원을 편성했다. 전기차 1대당 3000만원씩 총 1000대에 대한 융자금을 지원하기로 한 것. 산업부는 이를 통해 저조한 전기차 보급률을 끌어올릴 계획이었다. 현재 전기차 보급은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9월말 현재 전기차 구매 신청대수는 4812대다. 연간 목표치 1만대의 48% 수준이다. 하지만 공급량 부족으로 실제 보급률은 약 24%(2401대)에 그치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전기차 구매비용 금융지원'으로 전기차 보급율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었다. 올해 전기차 충전설비에 대한 금융지원 등 간접지원비를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