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CM는 특수 합금 소재 전문 제조업체로서 티타늄의 잉고트 제조를 위한 용해로부터 성형에 이르는 생산 설비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 대학-연구소-유수업체와의 공동연구개발로 석유화학, 원자력, 반도체, 방위산업용 고품질의 티타늄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그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생산제품으로, 25년간 축적된 밸브생산기술 및 통합 생산 시스템으로 티타늄 밸브에 대한 최고의 품질, 납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여 생산하고 있다. 생산설비로는 VAR설비 도입 후 수많은 실험과 용해경험으로 현재 안정적이고 완벽한 자동화 VAR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신성산전은 배전 전력기기 산업의 주요 구성 요소인 개폐기, 차단기 등 보호기기류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국가 전력기반 사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제품 소개 • 부하개폐기 : 전력용 보호기기로 배전선로에 설치되며, 최대 부하전류를 개폐하는 장치(SF6/Polymer 절연방식) • Recloser : 전력용 보호기기로 배전선로에 설치되며, 최대 고장전류를 차단하고, 가공 배전선로의 순간 고장 제거 및 고장 파급 방지용 차단기로 활용되는 제품(SF6 /Polymer 절연방식) • Ring Main Unit : 배전선로의 선로분기, 선로 구분 및 부하보호용 제품으로서 부하를 개폐하고, 사고전류를 차단기 및 파워퓨즈를 사용해 부하측을 보호하는 제품 이솔이 기자 (eltred@hellot.net)
서남은 초전도, 나노 및 첨단 소재 산업화를 목적으로 2004년 설립된 기술집약적 벤처기업이다. 동시 반응 증발법을 이용한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를 제공하고 있다. 제품 소개 2세대 고온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에 세라믹 초전도 물질을 증착해 제조된 테이프 형태의 제품이다. 기존 전력기기의 구리도체를 대체할 경우, 전력 손실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전력기기의 소형화도 가능하다. 현재 국내 전력망의 송배전 손실은 전체 송전량의 4%를 넘는데 초전도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이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이솔이 기자 (eltred@hellot.net)
비츠로씨앤씨는 꾸준한 기술 연구로 단락 기계력 강화, 전력 손실 감소, 환경 친화적인 제품 생산에 성공했으며, 특허 4건, 실용 신안 2건 등 연구실적을 인정받아 2004년 1월 산업자원부로부터 전력 신기술 16호를 지정받았다. 세계적인 전기 안전 인증기관인 네덜란드 KEMA로부터 Type Test에 합격한 바 있다. 제품 소개 • 주상/지상 변압기 • 배전용/전력용 변압기 • 풍력/태양광용 변압기 • 건식변압기, 리액터 • 특수용도용 변압기 • 변압기용 BCT • 차단기용 BCT • 계기용 변류기 • 계기용 변압기 • 태양광 발전소용 스마트 수배전반 이솔이 기자 (eltred@hellot.net)
모바일에서 가전까지 응용 가능한 RFID 리더 칩 파이칩스는 세계적인 RFID 기술 기업으로서 자사의 무선통신 핵심 반도체 원천 기술을 이용하여 RFID 리더용 초소형, 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칩(SoC)과 모듈을 전 세계 주요 RFID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이 회사의 RFID 리더 칩은 산업용 리더뿐 아니라 모바일 기기와 가전 기기까지 그 응용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UHF RFID 모듈은 SMD 형태의 RFID 리더 모듈로, 고객사 RFID 리더 PCB에 그대로 실장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제품이다. RED5보다 낮은 파워를 가지므로 전류 소모가 더 적고 단거리/중거리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주요 특징은 ▲25dBm output power ▲Low power consumption ▲Small form-factor : SMD-like component to fit small applications ▲Leakage Cancellation : Easier optimization 등이다. 김혜숙 기자 (atided@hellot.net)
스마트 워크 위한 IoT 플랫폼 확장 핸디소프트는 스마트 워크를 위한 EKP(그룹웨어), BPM, 네트워크 및 IoT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SW 기업으로, 표준 기반 IoT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전, 헬스 및 스마트 오피스 등과 관련한 IoT 솔루션을 개발/제공 중에 있다. Handypia IoT 플랫폼은 사물의 IoT 연동 및 데이터 처리, 시맨틱 기반의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 국제 표준기반의 IoT 플랫폼이다. 이 제품은 ▲국제 표준(ISO/IEC 30128) 기반의 미들웨어 ▲다양한 사물 등록, 사물 관리 및 사물 데이터 처리 인터페이스 제공 ▲시맨틱 웹 기술을 접목한 시맨틱 데이터 처리(변환, 적재) ▲대용량 시맨틱 데이터 레파지토리 기반의 시맨틱 추론 기능 등을 지원한다. 김혜숙 기자 (atided@hellot.net)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방식에서 설비단위가 지능화되고, 사람 대신 로봇이 작업하며, 운송단위는 AGV로, 장표는 MES/ERP로 처리한다. 또한, 한사람이 속해있는 경제단위가 다양해져 멀티경제시대라는 말이 나오며 모바일라이프에 영향을 끼치고 클라우드와 빅데이터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어드밴텍 최수혁 부장이 발표한 ‘IIoT 솔루션과 스마트 팩토리’에 대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어드밴텍 최수혁 부장 IoT 시대가 열리면서 필요한 플랫폼이 IoT SRP(Solution Ready Platform)이다. IoT SRP는 패키지 형태로 스마트 팩토리를 플랫폼화 하는 것이다. 여기서 패키지화하고 필요한 것들이 구성되면 이 플랫폼에 들어가는 디바이스들을 모듈화하고 여기에 모인 데이터들은 클라우드에 넘겨 분석한다. 그리고 산업 단위가 클라우드에 얼마만큼 사용되는가 하는 것이 그다음 단계인 IoT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IoT 시대의 클라우드 서비스 IoT의 혁명이 일어났을 때 임베디드 하드웨어 플랫폼이 늘어나려면 하드웨어를 많이 살 수밖에 없다. 여기서 다양한 이윤과 커버리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로 어드밴텍은
BNF테크놀로지는 플랜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솔루션 제공을 통해 고객 만족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다. Management, Maintenance, Repair, Operation 분야에 특화된 감시 시스템, 운전 정보 시스템, 조기경보 시스템, 성능 분석 시스템 등을 개발했으며 발전, 해수담수화, 석유화학, 가스 등 전체 플랜트 분야에 제품을 적용해 나가고 있다. 제품 소개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은 플랜트의 모든 실시간 및 과거 운전 정보를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제공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제공된 정보를 가공·분석하게 함으로써 플랜트 운영 최적화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플랜트 조기경보 시스템은 단위 기기뿐만 아니라 플랜트 전체적인 측면에서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어디가 취약한지 파악할 수 있으며, 고장 정지의 사전 예방을 위해 조기경보를 제공한다. 이솔이 기자 (eltred@hellot.net)
북성베스텍은 1996년 설립된 전원 및 통신, 신호용 서지 보호기 전문업체로, 수입품과 국산 대비 저렴한 가격과 고품질을 목표로 성장하고 있다. 전원, 통신, 제어, 신호용 서지 보호기 제품 중 일부 모델은 해외 인증(UL, CE) 및 S마크 인증을 획득했고 전 생산 품목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제품 소개 • NSB-□□A Class I 등급의 제품으로 IEC 뇌 서지 국제 규격을 만족시키는 고품질, 고용량의 서지 보호기다. • NST-□□□SC 전원, 신호, 데이터, 영상을 조립, 개별 모듈 형식으로 기존 일체형의 불편함을 개선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다양한 형식으로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으며, 시공자의 배선 작업이나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솔이 기자 (eltred@hellot.net)
범한은 산업용 건식 변압기, 리액터 전문 제조업체다. 고품질과 안전성, 신뢰성, 그리고 가격경쟁력을 보장하는 제품을 공급함과 동시에, 환경문제에도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품 소개 • 변압기(TRANSFORMER) - 용량 : 50VA∼500kVA - 냉각방식 : 건식(DRY TYPE) - 용도 : CONTROL PANNEL, 배전반, HEATER 제어, 액정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장치 전원 공급, 태양광, 제어반 • 리액터(REACTOR) - 냉각방식 : 건식(DRY TYPE) - 용도 : INVERTER, CONDENSER, MOTOR STARTING, DC LINE, AC LINE, SERVO MOTOR, 태양광 이솔이 기자 (eltred@hellot.net)
인아오리엔탈모터는 1979년 설립 이후 세계적인 Motor 메이커 일본 오리엔탈모터社와 합작해 첨단 설비 및 기술을 도입하며 국내 소형정밀 Motor산업의 선두주자이다. 신제품 AZ 시리즈 중 AZ 펄스열(AC전원)은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 기계식 센서를 채용해 각각의 기어 각도를 인식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다. 드라이버 표면의 스위치를 누르면 간단하게 원점을 설정할 수 있어 ABZO 센서로 원점 위치를 저장한다. 또한, Data 설정 Software (MEXE02)나 외부 입력 신호에서의 원점 설정도 가능하다. AC MOTOR는 고품질, 고신뢰성의 AC 소형 표준 Motor이다. 동력용 INDUCTION MOTOR, REVERSIBLE MOTOR를 비롯해 속도제어가 가능한 AC SPEED CONTROL MOTOR BRAKE가구가 장착된 BRAKE MOTOR 등이 있다. 크기는 42mm에서 120mm까지, 출력은 1W에서 200W까지 다양한 종류를 갖추고 있다. BLDC Motor는 고성능 속도제어 Motor로, 소형 High Power의 Brushles Motor와 Driver로 조합된 속도제어용 Motor이다. AC 소형표준
LVD는 판금 가공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통합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레이저 컷팅 투자 효율성이 높은 기계와 아주 정밀한 자동화 솔루션을 위해 레이져 컷팅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가격면에서 경제적인 ORION(오리온) 시리즈부터 대형 철판 소재를 가공할 수 있는 IMPULS(임펄스) 시리즈, 레이저 컷팅 Electra FL 등이 있다. 펀칭 높은 펀칭 능력을 갖춘 경제적인 P-시리즈 펀칭기부터, Multitool 및 Wheel 금형 등 완전한 기능을 발휘하는 S-시리즈, V-시리즈의 펀칭기를 공급한다. 자동 로드/언로드 기능과 완벽한 소재 다루기 기능면에서 독보적인 능력을 갖췄다. 벤딩 CNC 버전의 기본 및 멀티 축 프레스 브레이크, LVD만의 독특한 레이저 각도 측정 방식인 Easy-Form® Laser(이지 폼 레이저) 시스템과 PC베이스 CNC 콘트롤 신형 CADMAN® Touch 소프트웨어를 갖춘 멀티 축 프레스 브레이크부터, 특수한 포밍 요구에 맞춰 주문 제작하여 턴키 방식으로 일괄 공급하는 기계까지 선택의 폭을 넓혔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신진기계는 다년간의 톱기계 및 소형기계를 판매해온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코센(cosen), 롱푸(RF) 기계를 수입, 판매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Cosen은 1976년에 창립되어 각종 금속가공절단장비를 위주로 생산하는 밴드쏘 전문업체이다. 40여년간 고객과의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최선을 다한다는 목표아래 밴드쏘업계의 최고봉으로 이끌어가는 업체다. Cosen의 본사는 대만의 신쭈에 위치하며 자체 개발과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100여종의 모델을 개발하였고 고객을 위해 혁신적인 기술과 더욱 효율적인 생산환경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Cosen이 개발한 밴드쏘는 200mm부터 2000mm까지의 다양한 절단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신진기계의 주요 제품에는 코센자동시리즈, 코센밴드쏘, 롱푸밴드쏘, 소형밀링, 톱날 등이 있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XN시스템즈는 보안 솔루션 개발 및 네트워크 보안장비 전문 R&D 기업으로, 자체 보유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꾸준한 기술 개발과 유/무선(LTE) 통합보안장비, M2M 보안장비 및 IoT 솔루션 개발 등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M2M LTE 보안장비는 3G/LTE 무선망 및 유선망을 함께 지원하는 제품으로 VPN, 방화벽, IPS, Web filtering 등을 지원하는 M2M 전용 통합보안장비(UTM)이다. M2M 전용 통합보안장비, 3G/LTE 회선 이중화 서비스, VPN, 방화벽, IPS, Web 필터링 등 기능 지원(UTM 기능 지원), UTM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M2M 통합보안장비이며, 방화벽 성능이 최대 3G까지 지원되어, 업무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비이다. M2M LTE 통합보안장비의 경우는 3G/LTE 무선망 및 유선망을 함께 지원하는 제품으로 VPN, 방화벽, IPS, Web 필터링, 와이파이까지 지원하는 M2M 전용 통합보안장비(UTM)이다. M2M 전용 통합보안장비, 3G/LTE 회선 이중화 서비스, VPN, 방화벽, IPS, Web 필터링 등 기능 지원(UTM 기능 지원), 와이파이 지원, LTE 모듈 이중화로(무선 이중
유가 하락, 중국 텐진항 폭발, 선박 인도 지연 등에 의해 무선통신기기, 반도체를 제외한 거의 모든 품목의 수출이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4/4분기부터는 무선통신기기의 가격 인하, 애플, 퀄컴 등 시스템 반도체의 위탁 제조 수출 확대, OLED 스마트폰 및 TV 판매 증가 자동차 분야의 신차 수출 등에 힘입어 수출 증감률이 개선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지난 8월 우리나라 수출 증가율(전년동기 대비 14.7% 감소)은 2009년 8월(전년동기 대비 20.9% 감소)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무역수지는 2012년 2월 이후 4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수출과 수입이 동반 하락하며 수입 감소폭에 비해 수출 감소폭이 작아 발생한 불황형 흑자였다. 표 1. 주요 국가별 무역수지 추이 (단위 : 억 달러) 수출 증가율 6년 만에 바닥 이와 같은 수출 증가세 하락은 유가 하락, 공급 과잉으로 인해 유가의 영향을 받는 석유 제품, 석유화학의 수출 감소폭이 각각 40.3%, 25.7%로 대폭 확대됐기 때문이며, 소폭이기는 하지만 자동차, 일반 기계 등의 수출도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 무선통신 분야의 수출은 꾸준히